문화시대에는 지방문화와 전통문화와 같은 자국의 문화원형이 가장 중요한 산업자원으로 각광 받게 된다. 문화 경쟁력은 무형문화제에 의해 결정되며, 누가 더 많이 좋은 무형문화재를 지니고 있는지에 따라 문화적 창조력이 결정될 것이다. 창조의 소재로서 무형문화재만한 것이 없으며, 그런 면에서 종합적 민속으로 전승되어 왔던 마을굿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된다. 이 책은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도움을 받아 장성의 마을굿의 현황에 대한 자료를 모은 것으로, 연구원들이 직접 땀흘려 조사해 엮은 책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