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피아제는 사고가 언어를 지배한다고 주장했고, 에드워드 사피어나 벤자민 워프는 언어구조가 사람의 심리구조에 영향을 준다고 주장했다. 그런가하면 노암 촘스키는 인간의 언어지식은 대부분 생득적으로 얻어진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다양해 보이는 주장들의 바탕은 사실 한 가지이다. 언어와 사고가 깊은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번역은 아무리 적확하고 객관적으로 행하려 한다 해도 누가, 무엇을, 어떠한 상황에서 번역하는가에 따라 그 의미나 함의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이런 점을 고려해보았을 때 여성과 남성의 번역에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 차이는 실제 텍스트를 놓고 보았을 때도 명확히 드러난다. 예를 들어 여성의 정조에 대한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가득 담겨 있는 셰익스피어의 ??오셀로??의 번역물을 여성의 것과 남성의 것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일차적으로 호칭에서부터 큰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데스데모나가 남편 오셀로에게 사용하는 ‘lord’는 ‘하나님’, ‘군주님’, ‘주인님’, ‘남편’ 등 다양한 의미로 쓰이는 표현이며 부부 관계를 상하 종속 관계로 파악한 가부장적 언어인데, 이 호칭은 번역가들마다 다르게 번역되고, 여기서 남녀 번역가들의 성정치성이 드러나는 것이다. ‘lord’ 외에도 매춘 행위를 하는 여성에 대한 묘사 부분, 아내가 바람을 피워 남편에게 망신을 준다는 의미의 ‘cuckold’ 등의 단어의 번역도 모두 남녀 번역가 사이에 차이가 있어 번역에 담겨있는 무의식적 성정체성을 살펴볼 수 있다.
이처럼 번역에서 젠더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요소이다. 그러나 번역의 위상 자체가 그리 높지 않은 한국사회에서, 그중에서도 소수자인 여성의 번역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거의 일궈지지 않았다. ??젠더와 번역-여성 지의 형성과 변전??(소명출판, 2013)은 한국문학사 내부에서 여성 번역가의 목소리를 찾아 여성 번역의 양상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번역이 한국에서 여성의 ‘지知’를 형성하고 변전시키는 양상을 조명하기 위해 탄생한 책이다.
Contents
책머리에
서론__여성주의 번역(문학)사를 다시 세우기 위하여
위태로운 정체성, 횡단하는 경계인-박지영
‘여성 번역가/번역’ 연구를 위하여
1. 한국여성(번역)문학사, ‘여성 번역가’ 호출하기
2. 여성 번역가의 탄생과 존재 양태
3. 맺음말
1부__젠더와 번역, 그리고 고전 여성 지식(문화)사
조선시대 규훈서 번역과 여성의 문자문화-이지영
1. 머리말
2. 언해본의 간행과 여성의 문자교육
3. 필사본에 수용된 규훈서
4. 규훈서의 수용과 이탈
5. 맺음말
한글 고전 대하소설 속 번역 한시문과 교양 지식의 체험-서정민
1. 머리말
2. 한글 대하소설 속의 번역 한시문
3. 한시문 번역 수용의 배경과 의미
4. 맺음말
중국소설 번안에 나타나는 여성형상 변개의 일양상―박상석
정숙?정조의 강화
1. 머리말
2. 중국소설과 한국 번안작의 여성형상 비교
3. 여성형상 변개의 배경
4. 맺음말
2부__젠더와 번역, 그리고 근대 여성 지식(문화)사
‘가정소설’의 번역과 젠더의 기획―김연숙
여성 번역문학사 정립을 위한 시론
1. 번역과 젠더
2. [호토토기스]의 번역/번안 과정
3. 가정소설의 번역과 감정의 성별화
4. 가정소설의 번역과 여성의 형성
아일랜드 번역과 민족문학 상상의 젠더―김복순
1. 아일랜드의 호명과 탈식민 전략으로서의 ‘차이’
2. 아일랜드 문학에 대한 네 가지 번역 방식
3. 맺음말
‘노라’의 조선적 수용 양상과 그 의미―김양선
채만식의 [인형의 집을 나와서]를 중심으로
1. 문제제기-식민 현실과 여성 현실의 접점 찾기
2. [인형의 집]의 수용상황과 조선의 ‘노라’
3. 집밖의 노라, 식민지 자본주의의 모순을 몸으로 경험하다
4. 사회주의 여성해방론의 소설화와 그 한계-성적 주체와 계급적 주체의 이원화
5. 맺음말
번역 텍스트의 젠더화와 여성의 모더니티―김윤선
[신여성]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번역 텍스트의 젠더화
3. 엇갈린 주체, 선택된 젠더
4. 왜곡된 젠더, 젠더의 번역화
5. 맺음말-남은 과제
근대적 번역행위의 동인과 번역양상―강소영?윤정화
이화여전 교지 [이화]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근대 지식과의 조우-1920∼30년대 여성 번역인의 장, [이화]
3. 맺음말-번역창작 주체로서의 여성의 발견
번역을 통한 근대 지성의 유통과 젠더 담론―장미영
[여원]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번역소설과 이상적 젠더 기획
3. 번역수기에 의한 코스모폴리터니즘적 정체성 추구
4. 동화와 위인전기를 통한 젠더 질서의 상징화
5. 맺음말
1980년대 여성해방운동과 번역의 역설-허 윤
1. 1980년대 여성해방운동과 ‘제2의 물결’의 번역
2. 교양교육운동으로서의 여성해방이론과 문제의식의 공유
3. 문화운동으로서의 여성해방이론과 페다고지의 개발
4. 계급운동으로서의 여성해방이론과 편역서의 기획
5. 민족해방운동으로서의 여성해방운동과 ‘제3세계’의 기획
6. 맺음말-여성해방운동의 (탈)식민성
성차에 따른 성담론 번역 양상 비교―권오숙
셰익스피어의 [오셀로] 번역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언어, 번역 그리고 젠더
3. [오셀로] 번역 텍스트들에 나타난 성별에 따른 번역의 차이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