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기본적으로 근대라는 문제 설정 속에서 주시경의 업적을 재해석해 낸 결과물이다. 또한 이를 통해 근대에 들어 생겨난 새로운 언어 인식이라는 것이 과연 어떠한 성격을 띠는 것이며, 그것이 특히 언어학적 텍스트에서 어떤 양상으로 드러나는지를 적극적으로 해명한 연구서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토론 부재’의 상황을 해소하는 데에도 일정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언어적 근대’라는 문제 설정
1. 왜 ‘언어적 근대’인가
2. ‘상상의 공동체’와 ‘하나의 언어’라는 믿음
3. 근대의 탐사-개념사와 담론분석
제2장 ‘언어적 근대’를 찾아서-동아시아의 경우
1. 동아시아의 전통적 담론
2. ‘언문일치’와 언어적 근대
제3장 ‘국어’를 찾아서
1. ‘국문’과 ‘국어’의 사이
2. ‘국어’의 발견
3. 자율적 실체로서의 언어
제4장 근대적 개인의 발견과 ‘국어’
1. ‘근대적 주체’와 ‘국문’의 관계
2. 민족적 서사와 주체의 문제
3. 근대적 주체의 양상과 근대언어학
제5장 ‘국어’의 지층들
1. 원소(元素)와 합음, 소리의 층위
2. 원체와 변법, 그리고 문장의 층위
3. 근대언어학과 균질화라는 문제
제6장 타자의 시선과 ‘국어’의 발견
1. 외부와 내부의 시선
2. 내적 전략-글쓰기 문제
3. 외적 전략-‘권위’의 형성
제7장 ‘국어’의 구축
1. 주시경 ‘씨난’의 재검토
2. 주시경의 ‘씨난’과 ??말모이??의 관계
3. 언어의 구축
제8장 맺음말 은유로서의 언어
참고문헌
부록 1. 보론:주시경 연구사
부록 2. 주시경 연구 논저 목록
부록 3. 주시경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