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다이쇼 데모크라시

$23.76
SKU
9788956266565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2/01/31
Pages/Weight/Size 188*254*30mm
ISBN 9788956266565
Categories 사회 정치 > 정치/외교
Description
이 책은 다이쇼 데모크라시를 논할 경우 불가결하지만 그동안 경시되거나 무시된 문제들에 관해 집필한 9편의 논문을 체계적으로 집성한 것이다. 제1부는 메이지 말년에 나타난 다이쇼 데모크라시 초기 단계의 양상을 살펴본다. 제1장에서는 러일전쟁 강화반대운동이라는 반동적인 국민운동이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출발점으로 자리매김한 이유를 밝히고, 제2장에서는 이 시기 운동의 중심적 담당자였던 비특권 자본가 계층의 군국주의 재정반대운동을 제1차 호헌운동의 전제로 보고 중시했다. 제3장에서는 이 운동이 낳은 부르주아 자유주의 사상의 양상을 『동양경제신보(東洋經濟新報)』의 논설에 입각해 검토했다.
Contents
:: 책머리에

제1부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초기 단계
제1장_러일전쟁 강화반대운동
1.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원류
2. 히비야 소타사건
3. 강화반대운동의 전국적 전개
4. 가쓰라ㆍ사이온지 내각 시대의 개막
제2장_군국주의 재정에 대한 저항
1. 러일전쟁 이후
2. 악세반대운동의 개시
3. 1908년의 악세반대운동
4. 악세반대운동과 민중
제3장_급진적 자유주의의 성립
1. 러일전쟁 전후의 『동양경제신보』
2. 우에마쓰 히사아키의 원로정치 비판
3. 『동양시론』의 개인주의 고취
4. 가타야마 센·미우라 데쓰타로의 제국주의 비판

제2부 민본주의의 저변
제4장_지방적 시민정사의 발생
1. 메이지 말년의 돗토리
2. 돗토리시 연합청년회와 산인 청년단
3. 1917년의 선거전
4. 전기시영운동과 쌀소동
5. 다른 지방의 시민정사
제5장_『제3제국』의 사상과 독자
1. 『제3제국』의 발간
2. 기고자들
3. 독자의 조직과 의식
4. 익진회의 분열
제6장_‘겨울시대’의 사회주의자
1. 고토쿠 사건과 자유주의자
2. 가타야마 센 그룹의 해체
3. 사카이 도시히코의 대의사 입후보
4. 사카이 도시히코와 요시노 사쿠조

제3부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전개
제7장_부락 개선에서 부락 해방으로
1. 데모크라시 운동의 새로운 단계
2. 쌀소동과 부락 문제
3. 삼협사의 결성
4. 『경종』의 초기
5. 개선이냐 해방이냐
6. 주와수평사 창립
제8장_보통선거·치안입법과 사회주의자
1. 보선운동과 사회주의자
2. 과격사회운동 단속법안을 둘러싸고
3. 3악법반대운동
4. 일본공산당과 보선 문제
제9장_민본주의자의 조선론
1. 제1차 세계대전 하의 나카노 세이고와 요시노 사쿠조
2. 3·1운동 후의 나카노 세이고
3. 요시노 사쿠조와 그 주변
4. 『동양경제신보』의 식민지 포기론
5. 사회주의자의 조선론

:: 후기
:: ‘현대문고’판 후기
:: 옮긴이 후기
:: 주석
:: 찾아보기
Author
마쓰오 다카요시,오석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