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란한 태양이 있고, 공기가 맑으며, 일 년 내내 춥지 않고, 꽃이 많이 피는 천국의 땅, 시칠리아!
인생 노을, 그 끝자락에서 만난 시칠리아를 조용하고 느긋하게 조망한다. 85세 아마추어 여행가가 들려주는 시칠리아와 이탈리아 이야기로, 그리스와 로마 문화를 탐색하는 문명 기행기.
“괴테는 팔레르모를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시라 말했고, 핀다로스는 아그리젠토에 같은 찬사를 보냈으며, 모파상은 타오르미나를 예찬했다!”
저자는 자신의 마지막 시칠리아 방문이 될지도 모르는 이 여행을 준비하며 많은 현실적 문제들을 고민해야 했다. 자신이 집을 비우는 동안 혼자 있을 남편에 대한 미안함, 집안일에 대한 걱정, 마음처럼 따라주지 않는 건강… 그러나 여행을 사랑하는 저자는, 그 축복의 땅에 도착하자 마치 기적처럼 컨디션을 회복하여 마음껏 신들이 살던 곳을 누볐다.
Contents
머리말 그리스를 만나러 시칠리아에 가다
프롤로그. 세 바다 위에 떠 있는 섬
1 반도에 사는 사람들
2 외래문화 수용의 섬나라식 패턴
3 자연이 주는 것, 빼앗는 것
4 세 바다 위에 떠 있는 섬
Ⅰ 마그나 그레치아로 가는 길
1 신들이 살던 곳
2 인간 정복자들
3 식민지 만들기
4 식민지 지배의 다양한 패턴
-그리스형
-로마형
-카르타고형
Ⅱ 로마의 어제와 오늘
1 길, 그리고 길동무들
2 로마의 어제, 그리고 오늘
3 로마의 옛길
ⅰ) 오스티아 가도
ⅱ) 아피아 가도
Ⅲ 시칠리아 속으로
1 팔레르모
-몬레알레
산상에 세운 도시 / 성당 외벽의 ‘달라지기’ 경쟁 /
성당 안의 모자이크 그림들 / 주랑, 그리고 색동 기둥들
-팔레르모 시내관광
백 개의 성당이 있는 도시의 수치의 광장 /
외국 통치자들이 남긴 것들
2 아그리젠토
-아그리젠토로 가는 길
-신전의 계곡
-도리스식 신전과 노르만식 신전
-신들이 살던 곳을 거닌다
-텔라몬과 그리스의 항아리들
3 카타니아
-카타니아 평원의 밀밭
-에트나, 쟈카란다 그리고 벨리니
-아치 레알레와 벨베데레
4 시라쿠사
-오르티지아 섬
-제단과 극장
5 에피다브로스로 가는 길
-그리스 극장
-인과응보사상 ? 아가멤논 집안
-죄 없는 자의 수난 ? 오이디푸스 이야기
-그리스의 신들
-테바이와 아테네
-그리스 비극 관람기
소포클레스의 「엘렉트라」(1996년) /
아이스킬로스의 「테바이 공략의 7인」(2017년)
Ⅳ 본토 나들이
1 나폴리 고고학 박물관
2 아말피의 두오모
3 폼페이
-신의 차일 속에서 나온 폐허
에필로그
1 그리스와 시칠리아
2 그리스 신전과 노르만 신전
-외면성 존중과 내면성 존중
-휴먼 스케일과 거대취미
-짝수의 미학과 홀수의 미학
-직선 선호와 곡선 선호
-두오모와 파르테논 신전
부록
1 그리스 로마 시칠리아 연대 대조표
2 참고문헌
Author
강인숙
1933년 함경남도 갑산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숙명여자대학교 국문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5년「현대문학」을 통해 평론가로 등단했으며, 건국대학교 교수와 문학평론가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논문집 『일본 모더니즘 소설 연구』『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도시와 모성』『김동인』『자연주의 문학론 1 · 2』, 수필집 『언어로 그린 연륜』『생과 만나는 저녁과 아침』『겨울의 해시계』『네 자매의 스페인 여행』『아버지와의 만남』『어느 고양이의 꿈』『편지로 읽는 슬픔과 기쁨』『문명기행 내 안의 이집트』 『셋째 딸 이야기』, 옮긴 책으로는 콘스탄틴 버질 게오르규의 『25시』『키랄레사의 학살』과 에밀 아자르의『가면의 생』 등이 있다. 현재 건국대학교 명예교수이며, 영인문학관 관장이다.
1933년 함경남도 갑산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숙명여자대학교 국문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5년「현대문학」을 통해 평론가로 등단했으며, 건국대학교 교수와 문학평론가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논문집 『일본 모더니즘 소설 연구』『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도시와 모성』『김동인』『자연주의 문학론 1 · 2』, 수필집 『언어로 그린 연륜』『생과 만나는 저녁과 아침』『겨울의 해시계』『네 자매의 스페인 여행』『아버지와의 만남』『어느 고양이의 꿈』『편지로 읽는 슬픔과 기쁨』『문명기행 내 안의 이집트』 『셋째 딸 이야기』, 옮긴 책으로는 콘스탄틴 버질 게오르규의 『25시』『키랄레사의 학살』과 에밀 아자르의『가면의 생』 등이 있다. 현재 건국대학교 명예교수이며, 영인문학관 관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