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의 수많은 착종과 당착의 실마리들을 단서 삼아 고대의 경험을 감지하는 것은 독자들의 마땅한 몫이다. 그들의 궁극적 지향점은 경험 당대의 진실이되, 그에 이르기 위해서는 설명 당대의 진실을 경유해야만 한다. 『삼국사기』의 역사 인식과 그를 규정한 현실 인식은, 그러므로 고대를 둘러싸고 있는 차폐물인 동시에 이른바 하나의 ‘관견’이다. 독자들은 비좁은 대롱에 눈을 대고 저 혼돈의 고대를 들여다보는 것이다. 거대한 고대의 경험은 스스로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 규정할 수 없는 고대의 집합체 앞에서 『삼국사기』는 하나의 시선이며 시각이다. 시선은 고대를 대상으로 하며, 시각은 중세를 기반으로 한다.
Contents
머리말·5
일러두기·14
1장 『삼국사기』가 매개하는 것·15
1. 읽히지 않는 고전·15
2. 고대를 향한 흐린 창·22
2장 위기의 시대 12세기·31
1. 거대한 전환과 질서의 전도·31
2. 조선역사상 일천년래 제일대사건·42
3장 김부식, 정치가와 역사가·53
1. 정치 현실과 관료의 길·53
2. 현실 대안의 모색과 충돌·61
3. 좌절, 그리고 절제된 항의·70
5장 사실 정보, 고대인의 경험과 설명·139
1. 경험과 인식의 거리·139
2. 고대인의 일상 경험·150
3. 고대적 사유 방식·165
4. 기억과 설명의 확산과 전승·176
5. 사실 정보의 당착·187
6장 사론의 세계, 중세의 현상과 인식·203
1. 찬술자의 역사 이해 방식·203
2. 사론의 현재성과 효용성·213
3. 자국사 중심 과거 인식·223
4. 문화적 주체 의식·238
5. 유교적 명분론의 현실·250
7장 『삼국사기』, 그 이후의 시선들·267
1. 수용 맥락과 준거의 착종·267
2. 남겨진 것과 잃어버린 것·275
3. 『삼국사기』를 위한 변명·286
Author
이강래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에서 한국 고대사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고대사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전남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있다. 한국 고대사 관련 기본 자료들의 성격과 형성 과정, 그리고 그를 통해 본 한국 고대 구성원들의 사유 방식 등, 주로 사학사적 맥락과 지성사적 관점에서 문헌 연구에 집중해 왔다.
대표적 저술로는 『삼국사기 전거론』(1996), 『삼국사기 형성론』(2007), 『삼국사기 인식론』(2011) 등 『삼국사기』에 대한 점층적 연구 성과 3부작과, 역주서 『삼국사기』Ⅰ?Ⅱ(1998) 및 교감서 『原本 三國史記』(1998)가 있다. 고대의 사태를 직접 경험한 이들의 정서와 사유를 중심에 두고자 한 최근의 저술로는 『『삼국사기』 읽기 : 고대의 경험과 중세의 인식』(2017), 『고대의 풍경과 사유 : 한국고대사의 경험과 인식』(2019), 『한국 고대의 경험과 사유 방식』(2020) 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에서 한국 고대사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고대사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전남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있다. 한국 고대사 관련 기본 자료들의 성격과 형성 과정, 그리고 그를 통해 본 한국 고대 구성원들의 사유 방식 등, 주로 사학사적 맥락과 지성사적 관점에서 문헌 연구에 집중해 왔다.
대표적 저술로는 『삼국사기 전거론』(1996), 『삼국사기 형성론』(2007), 『삼국사기 인식론』(2011) 등 『삼국사기』에 대한 점층적 연구 성과 3부작과, 역주서 『삼국사기』Ⅰ?Ⅱ(1998) 및 교감서 『原本 三國史記』(1998)가 있다. 고대의 사태를 직접 경험한 이들의 정서와 사유를 중심에 두고자 한 최근의 저술로는 『『삼국사기』 읽기 : 고대의 경험과 중세의 인식』(2017), 『고대의 풍경과 사유 : 한국고대사의 경험과 인식』(2019), 『한국 고대의 경험과 사유 방식』(2020)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