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노자의 『신학정치론』 읽기 [큰글자책]

$27.00
SKU
978895586743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0/15
Pages/Weight/Size 188*257*20mm
ISBN 9788955867435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정치사회가 성립하면 최고 권력인 주권은 국가에 귀속된다. 이 경우, 국가는 자연상태에서처럼 개인의 자연권을 실현해야 하며, 같은 이유에서 개인들의 종교의 자유 또한 보장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스피노자가 정치적 사안뿐만 아니라, 종교적 사안에 대한 결정권도 교회가 아니라 최고 권력 내지 주권을 보유한 국가에 있다고 주장한 이유 역시 바로 이 때문이다. 그리고 그럴 때야 비로소 사회적 평화는 물론, 자유가 가장 잘 실현될 수 있다. 바로 이것이 스피노자가 『신학정치론』을 쓴 가장 큰 이유이다.



Contents
"차 례/ 머리말·5/ 1장 스피노자의 생애와 『신학정치론』의 역사적 배경·15/ 2장 『신학정치론』의 대상과 연구방법·33/ 3장 스피노자의 성서해석과 종교비판: “성서는 철학이 아니라 오직 경건만을 가르친다”·51
1. 예언과 예언자: 상상적 지식에 의거한 도덕적 권위·55
2. 이스라엘인들은 과연 신에 의해 선택된 민족인가?·66
3. 진정한 종교의 토대로서의 신법·81/ 4장 성서 읽기의 민주화: “종교 문제에서도 자유로운 사고라는 최고의 권리는 개인의 권한이다”·101/ 5장 민주주의 국가와 자연권: “국가의 진정한 목적은 자유다”·123/ 6장 고대 이스라엘 국가의 성격과 통치원리: “그 누구도 최고 권력자에게 자신의 모든 권리를 양도할 수도 양도할 필요도 없다”·145/ 7장 정치와 종교: “종교 문제에 관한 권리는 전적으로 주권자에게 부여되어야 한다”·179/참고문헌·196/"
Author
최형익
한신대학교 국제관계학부 교수. 일본 게이오대학 및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 방문교수. 정치이론, 한미관계 및 국제관계사를 주로 강의, 주요 학술적 관심사는 민주주의와 사회계급, 그리고 정치권력의 관계.

저서로는 『마르크스의 정치이론』(1999), 『고전 다시 읽기』(2007), 『실질적 민주주의』(2009), 『대통령제, 정치적인 너무나 정치적인』(2013), 『스피노자의 『신학정치론』 읽기』(2017) 등이 있다. 역서에는 『자본주의와 사회민주주의』(아담 쉐보르스키, 1995), 『기로에 선 자본주의』(앤서니 기든스 외, 2000), 『제3의 길과 그 비판자들』(앤서니 기든스, 2002), 『신학정치론/정치학논고』(베네딕트 스피노자, 2011),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칼 마르크스, 2012).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입헌독재론”(2008), “사회양극화와 젠더민주주의”(2009), “벽초 홍명희의 『임꺽정』에 나타난 전통과 혁명”(2010), “계급투쟁과 보통선거제의 정치적 동학”(2011), “민주공화정의 정치이론”(2014), “북핵문제에 대한 정치철학적 접근”(2014), “마키아벨리의 ‘시민형 군주’ 사상과 현대 대통령제의 정치적 기원”(2015), “『자본론』의 방법”(2016), “국민주권시대, 권력분산의 제도화와 한국대통령제 개혁”(2018) 외 다수가 있으며, 『헨리 키신저의 세계질서』(2016).를 감수했다.
한신대학교 국제관계학부 교수. 일본 게이오대학 및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 방문교수. 정치이론, 한미관계 및 국제관계사를 주로 강의, 주요 학술적 관심사는 민주주의와 사회계급, 그리고 정치권력의 관계.

저서로는 『마르크스의 정치이론』(1999), 『고전 다시 읽기』(2007), 『실질적 민주주의』(2009), 『대통령제, 정치적인 너무나 정치적인』(2013), 『스피노자의 『신학정치론』 읽기』(2017) 등이 있다. 역서에는 『자본주의와 사회민주주의』(아담 쉐보르스키, 1995), 『기로에 선 자본주의』(앤서니 기든스 외, 2000), 『제3의 길과 그 비판자들』(앤서니 기든스, 2002), 『신학정치론/정치학논고』(베네딕트 스피노자, 2011),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칼 마르크스, 2012).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입헌독재론”(2008), “사회양극화와 젠더민주주의”(2009), “벽초 홍명희의 『임꺽정』에 나타난 전통과 혁명”(2010), “계급투쟁과 보통선거제의 정치적 동학”(2011), “민주공화정의 정치이론”(2014), “북핵문제에 대한 정치철학적 접근”(2014), “마키아벨리의 ‘시민형 군주’ 사상과 현대 대통령제의 정치적 기원”(2015), “『자본론』의 방법”(2016), “국민주권시대, 권력분산의 제도화와 한국대통령제 개혁”(2018) 외 다수가 있으며, 『헨리 키신저의 세계질서』(2016).를 감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