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데거의「“신은 죽었다”는 니체의 말」 읽기 [큰글자책]

$27.00
SKU
978895586742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0/15
Pages/Weight/Size 188*257*20mm
ISBN 9788955867428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하이데거는 니체를 ‘니힐리즘을 역사적 과정으로서 인식한 최초의 사상가’로 평하고 있지만, 니체 못지않게 하이데거도 니힐리즘을 서양의 역사 전체를 지배해 온 역사적 운동이라고 보고 있다. 니체와 하이데거는 이렇게 서양의 역사를 니힐리즘이 지배해 온 역사로 보면서 자신들의 사상적 과제를 니힐리즘의 극복에서 찾고 있다.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이러한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하이데거는 니힐리즘에 대한 니체의 대결은 니힐리즘의 극복이 아니라 완성으로 끝났다고 보았다. 「“신은 죽었다”는 니체의 말」이라는 하이데거의 글에서 우리는 니힐리즘을 둘러싸고 니체와 하이데거라는 19세기와 20세기의 사상적 두 거인이 벌이는 투쟁을 목격할 수 있다.



Contents
머리말_4

1장 니체의 핵심사상_13
1. 니힐리즘_13
1) 신의 죽음과 니힐리즘_13
2) 신의 살해_25
3) 니체, 프로이트, 포이어바흐_36
2. 가치전환_48
3. 힘에의 의지_63
1) 새로운 가치정립과 힘에의 의지_63
2) 힘에의 의지와 진리_70
3) 힘에의 의지와 예술_82
4. 영원회귀사상_93
5. 초 인_103
6. 완성된 니힐리즘_106

2장 니힐리즘과 서양 형이상학의 완성으로서의 니체의 형이상학_111
1. 존재의 역사_111
1) 존재-신-론으로서의 전통 형이상학_114
2) 전통 형이상학과 서양의 역사_117
3) 전통 형이상학의 존재와 하이데거 철학의 존재_128
4) 근본기분과 존재이해의 변화_141
5) 니체의 형이상학과 현대기술문명_149
6) 경악과 경외_152
7) 존재와 인간_162
2. 니체 형이상학의 존재사적 위치_167
1) 실체존재론으로서의 서양 고중세 형이상학_170
2) 체계존재론으로서의 근대 형이상학_173
3) 서양 형이상학 전체의 완성으로서의 니체의 형이상학_196

3장 맺으면서_207

참고문헌_217

Author
박찬국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니체와 하이데거의 철학을 비롯한 실존철학이 주요 연구 분야이며 최근에는 불교와 서양철학을 비교하는 것을 중요한 연구 과제 중의 하나로 삼고 있다.

저서로는 『원효와 하이데거의 비교연구』(청송학술상), 『니체와 불교』(원효학술상), 『내재적 목적론』(운제철학상), 『초인수업』(대만, 홍콩, 마카오 번역 출간), 『그대 자신이 되어라―해체와 창조의 철학자 니체』, 『들길의 사상가, 하이데거』, 『하이데거는 나치였는가』, 『현대철학의 거장들』, 『들뢰즈의 《니체와 철학》 읽기』,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 읽기』 등이 있고, 역서로는 『헤겔 철학과 현대의 위기』, 『마르크스주의와 헤겔』, 『실존철학과 형이상학의 위기』, 『니체 I, II』, 『근본개념들』, 『아침놀』, 『비극의 탄생』, 『안티크리스트』, 『우상의 황혼』, 『선악의 저편』, 『상징형식의 철학 I, II, III』가 있으며, 논문으로 「유식불교의 삼성설과 하이데거의 실존방식 분석의 비교」(반야학술상) 등 다수가 있다.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니체와 하이데거의 철학을 비롯한 실존철학이 주요 연구 분야이며 최근에는 불교와 서양철학을 비교하는 것을 중요한 연구 과제 중의 하나로 삼고 있다.

저서로는 『원효와 하이데거의 비교연구』(청송학술상), 『니체와 불교』(원효학술상), 『내재적 목적론』(운제철학상), 『초인수업』(대만, 홍콩, 마카오 번역 출간), 『그대 자신이 되어라―해체와 창조의 철학자 니체』, 『들길의 사상가, 하이데거』, 『하이데거는 나치였는가』, 『현대철학의 거장들』, 『들뢰즈의 《니체와 철학》 읽기』,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 읽기』 등이 있고, 역서로는 『헤겔 철학과 현대의 위기』, 『마르크스주의와 헤겔』, 『실존철학과 형이상학의 위기』, 『니체 I, II』, 『근본개념들』, 『아침놀』, 『비극의 탄생』, 『안티크리스트』, 『우상의 황혼』, 『선악의 저편』, 『상징형식의 철학 I, II, III』가 있으며, 논문으로 「유식불교의 삼성설과 하이데거의 실존방식 분석의 비교」(반야학술상)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