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의 『도덕의 계보』 읽기 (큰글자책)

$27.00
SKU
978895586735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8/31
Pages/Weight/Size 188*257*20mm
ISBN 9788955867350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현대철학자 가운데 가장 영향력 있는 학자로 니체를 꼽을 수 있다. 그의 저서 가운데 『도덕의 계보』는 가장 중요한 저서로 분류되고 있다. 이 저서는 앞서 집필한 『선악의 저편』,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등에서 소개한 사상을 담고 있다. 또한 기존의 글들이 운문, 단편, 아포리즘으로 구성된 것과는 다르게 논문형식을 갖춰 사유들을 집대성한 야심 찬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이 소개하는 『도덕의 계보』는 제목처럼 계보학이라는 방법론을 소개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고 있는 ‘선과 악’과 같은 가치판단의 근원과 유래를 밝히는 작업이다. 특히 이 책에서 다루어진 많은 주제는 프랑스의 철학자 미셸 푸코(M. Foucault)로 계승된다. 푸코는 『감시와 처벌』에서 이를 상세히 응용하고 자신을 ‘과격한 니체주의자’라고 공언하기도 했다. 독일뿐만 아니라 프랑스에서도 ‘니체 르네상스’라는 열풍이 불 정도로 니체철학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Contents
머리말 / 4

서 문 철학은 자기 인식의 길이다 / 11

제1논문 선과 악, 좋음과 나쁨 / 17
1. 역사적 고찰 비판 / 17
2. 심리학적 모순: 기억과 망각 / 21
3. 어원학 / 24
4. 성직자와 전사계급의 대립 / 28
5. 노예의 반란 / 31
6. 선과 악: 적극적인 것과 반동적인 것 / 35
7. 문화는 야수를 길들이기 위한 것 / 37
8. 독수리와 양 / 38

제2논문 죄, 양심의 가책 그리고 그와 유사한 것들 / 49
1. 약속을 허용하는 동물: 정치학의 기술 / 49
2. 주권적 개인과 양심 / 51
3. 죄의식과 양심의 가책: 형벌, 고문, 죄책감 / 54
4. 채권 / 채무관계: 계약 / 56
5. 정의와 처벌: 자기 지양 / 61
6. 공정함, 정의, 법 / 66
7. 형벌의 목적은 합목적이지 않고 우연적이다 / 71
8. 내면화로서의 양심의 가책 / 76
9. 조상에 대한 채무 의식 / 79
10. 신에 대한 채무감: 죄의식의 발전 / 80
11. 운명과 고통과 죄의식: 그리스인 vs 그리스도교 / 84

제3논문 금욕주의적 이상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 87
1. 금욕주의 이상: 성직자의 권력 지배 도구다 / 87
2. 순결 지키기: 자기 자신 부정 / 88
3. 관능에 대한 무관심: 칸트 vs 스탕탈 / 88
4. 결혼에 대하여 / 91
5. 금욕주의는 삶의 부정이 아니라 삶의 긍정이다 / 92
6. 금욕주의 이상 세 가지: 청빈, 겸손, 순결 / 93
7. 오만과 과학기술 / 97
8. 금욕주의의 문제 / 99
9. 금욕주의의 자기모순 / 101
10. 해석학의 문제: 관점주의 / 103
11. 심리학적, 생리학적인 모순: 삶의 긍정이면서 부정이다 / 105
12. 치료가 아니라 질병의 확산이다 / 112
13. 금욕주의는 정신착란이다 / 120
14. 주인본능과 노예본능 / 123
15. 금욕주의 해석학: 하나의 이상의 절대화, 특권화 / 127
16. 현대과학과 금욕주의 / 128
17. 자유정신: “진리는 없다. 모든 것이 허용된다” / 129
18. 예술 대 과학: 삶의 긍정, 삶의 부정 / 134
19. 생명의 법칙: 자기 극복과 자기 지양 / 137
20. 해석학의 의미 문제 / 138

작품설명 / 143
Author
강용수
고려대학교 철학과 졸업,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취득,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에서 「니체의 문화철학(Nietzsches Kulturphilosophie)」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국내에서는 한국해석학회 총무, 한국니체학회 총무를 역임했으며 현재 고려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논저로는 「쇼펜하우어의 행복론」, 「실존주의 철학과 철학 상담」, 「우연적 연대성에 대한 연구」, 「니체의 선택적 존재론 연구」, 『니체의 《도덕의 계보》 읽기』 등이 있고, 최근에는 인간이 어떻게 행복할 수 있는가를 실존철학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철학과 졸업,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취득,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에서 「니체의 문화철학(Nietzsches Kulturphilosophie)」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국내에서는 한국해석학회 총무, 한국니체학회 총무를 역임했으며 현재 고려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논저로는 「쇼펜하우어의 행복론」, 「실존주의 철학과 철학 상담」, 「우연적 연대성에 대한 연구」, 「니체의 선택적 존재론 연구」, 『니체의 《도덕의 계보》 읽기』 등이 있고, 최근에는 인간이 어떻게 행복할 수 있는가를 실존철학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