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 읽기

$11.34
SKU
978895586599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2/28
Pages/Weight/Size 129*175*30mm
ISBN 9788955865998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누구든 플라톤 철학을 제대로 이해하고자 한다면 그가 쓴 대화편을 읽어야 한다. 철학이라는 학문이 하나의 큰 건물이라면 그 건물의 현관이 바로 플라톤 철학이다. 철학에 입문하려면 우선 플라톤 철학을 지나야 하는 것이다.

플라톤 입문서를 자처하는 이 책은 몇몇 대화편을 검토하는 방식으로 독자들을 플라톤 철학에로 이끌려고 한다. 플라톤 철학은 입문서만 읽어서는 제대로 입문할 수 없다. 입문서를 통해서 대화편에 가닿아야 한다. 이 책의 목표는 독자들을 될 수 있는 대로 플라톤 철학 가까이로 이끌고 플라톤 대화편들을 읽겠다고 마음먹게 하려는 데 있다.
Contents
1장 태어났고, 썼고, 죽었다

1. 소크라테스와의 만남과 소크라테스의 죽음
2. 사유를 전달하는 두 통로
3. 왜 대화인가

2장 편지, 지중해를 건너다

1. 재구성의 주춧돌, 편지
2. 플라톤이 시칠리아로 간 까닭
3. 시라쿠사이 대장정의 의미

3장 스승을 증언하다

1. 소크라테스, 법정에 서다
2. ‘다이모니온의 소리’는 죽음을 피하라고 말하지 않았다
3. 죽음은 좋은 것일 가능성이 크다

4장 죽음을 성찰하다

1. 소크라테스의 최후
2. 노여움과 두려움 없이 맞이하는 죽음
3. 혼을 돌본다는 것
4. 죽음의 연습으로서의 철학

5장 아름다운 나라, 훌륭한 나라를 찾아서

1. 플라톤의 정치 체험
2. 누가 다스려야 하는가
3. 바람직한 공동체의 교육 프로그램
4. 플라톤의 나라와 대동사회
5. 동굴의 비유와 이데아 이론
6. 에르의 열이틀 저승 여행

6장 사랑을 말하다

1. 아름다운 고전 『심포시온』
2. 심포시온과 아곤
3. 에로스와 파이데라스티아
4. 사랑의 힘과 불후에 대한 의지
5. 아리스토파네스의 딸꾹질과 뮤지컬 [헤드윅]
6. 사랑의 양가성과 아름다움의 사다리

7장 마그네시아의 법을 세우다

1. 마지막 열정
2. 교육 국가를 지향하다

8장 학문과 교육의 상징이 되다

1. 지혜의 샘 아카데미아
2. 아카데미아의 유산

9장 플라톤 해석의 한 방향 ― 튀빙겐학파

1. 출발을 알리는 두 권의 책
2. 오해를 부르는 이름
3. 논쟁의 중심에 선 두 권의 책
4. 몇 가지 쟁점
5. 다시 튀빙겐으로
Author
이강서
성균관대학교 철학과와 같은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했다. 1993년 독일 뮌헨대학교에서 플라톤 철학 주제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96년 이래 전남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08년 9월부터 2009년 8월까지 독일 튀빙겐대학교 방문교수를 지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서양고대철학과 형이상학이다.

지은 책으로는 『플라톤 철학과 그 영향』(공저, 서광사 2001), 『생각하고 토론하는 서양철학 이야기 1: 고대―서양철학의 탄생』(책세상 2006), 『철학, 문화를 읽다』(공저, 동녘 2009), 『철학의 전환점』(공저, 프로네시스 2012), 『죽음을 생각한다는 것―고대희랍의 죽음 이해』(모시는사람들 2015)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대화의 철학 소크라테스』(한길사 2004), 『진리의 현관 플라톤』(한길사 2004), 『지중해 철학기행』(효형출판 2007), 『플라톤 철학과 헬라스 종교』(아카넷 2011), 『철학적 사유의 근본 주제들 1』(공역, 전남대출판문화원 2018) 등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철학과와 같은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했다. 1993년 독일 뮌헨대학교에서 플라톤 철학 주제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96년 이래 전남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08년 9월부터 2009년 8월까지 독일 튀빙겐대학교 방문교수를 지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서양고대철학과 형이상학이다.

지은 책으로는 『플라톤 철학과 그 영향』(공저, 서광사 2001), 『생각하고 토론하는 서양철학 이야기 1: 고대―서양철학의 탄생』(책세상 2006), 『철학, 문화를 읽다』(공저, 동녘 2009), 『철학의 전환점』(공저, 프로네시스 2012), 『죽음을 생각한다는 것―고대희랍의 죽음 이해』(모시는사람들 2015)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대화의 철학 소크라테스』(한길사 2004), 『진리의 현관 플라톤』(한길사 2004), 『지중해 철학기행』(효형출판 2007), 『플라톤 철학과 헬라스 종교』(아카넷 2011), 『철학적 사유의 근본 주제들 1』(공역, 전남대출판문화원 2018)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