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르케고르의 『이것이냐 저것이냐』 읽기

$9.72
SKU
978895586509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12/26
Pages/Weight/Size 128*188*20mm
ISBN 9788955865097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키르케고르는 한 개인의 실존의 문제를 가장 우선적으로 취했던 실존주의의 선구자이고 그의 철학의 전 과정이 곧 자신의 개별적 실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은 과언이 아니다. 실존주의자들은 하나같이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는 전제를 가지고 출발하였고 이것은 ‘개별성’ 혹은 ‘개인’을 철학적 사유의 출발점으로 삼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사유주체로서의 인간의 이성’을 앞세운 근대철학으로부터의 이탈이며 이보다 더 멀리 나아가게 한다. 그래서 ‘개인’ 혹은 ‘개별성’은 현대철학의 중요한 한 테제가 된다.



키르케고르의 저작들을 접하면서 실존주의 작품들은 본질적으로 ‘이해’를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삶’을 염두에 두고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즉,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키르케고르의 사유가 정확히 무엇인지 혹은 그가 던지는 메시지는 객관적으로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를 이해하는 것보다 그가 말하고 있는 것을 우리 자신의 삶 안으로 데리고 와서 진지하게 나의 문제로서 고민해 보는 것이다.





Contents
리말 : 우리는 키르케고르와 그의 저작들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_5

1장 사유여정에서 『이것이냐 저것이냐』가 가지는 구성과 성격_21

2장 인생에 대한 실존주의적인 문제제기와 우수(멜랑콜리)의 의미_43

3장 심미적 실존과 실존주의 예술관_57
1. 실존적인 것 혹은 실존적인 삶의 의미_57
2. 심미적인 실존에서 정신적인 것과 고전예술의 본질_69

4장 인생의 비극적 측면과 불행과 행복의 역설_89
1. 비극이 갖는 역설적인 의미_89
2. 그리스적 비극과 현대적 비극_93
3. 비극적인 인물들과 「가장 불행한 사람」_101

5장 「첫사랑」과 「윤작」_123

6장 「유혹자의 일기」와 정신- 심리학적인 분석_143
1. 「유혹자의 일기」의 성격과 내용_143
2. 심미적 의식과 투시의 능력_150
3. 이성 간의 사랑의 의미와 키르케고르의 여성관_157

7장 결혼생활의 목적과 윤리적 실존의 의미_179
1. 키르케고르의 결혼관과 결혼생활의 신성함_179
2. 결혼의 목적과 사랑의 의무_191

8장 인생의 선택과 윤리적 실존의 양태들_199
1. 인격의 의미와 ‘너인 그것이 되라’_199
2. 선택의 문제와 정신의 성실성_208
3. 실존적인 파토스와 선악의 문제_214
4. 정신적으로 규정된다는 것과 세상에서 절망한다는 것_228
5. 자아의 역사성과 윤리적 인생관_238
6. 윤리적 실존에서 보편자와 개별자의 문제_250

9장 종교적 실존의 근본적 태도와 건덕적建德的인 지혜_261

후기_273
인용서적_277
Author
이명곤
경북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의 리옹가톨릭대학에서 토마스 아퀴나스를 전공, DEA학위를 취득하였다. 파리1대학(판테온 소르본)에서 ‘프랑스 철학사’ 관련 DEA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토마스 아퀴나스의 ‘인간학과 영성’에 관한 주제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예술에도 관심이 많아 파리1대학 예술대학에서 조형미술학사 및 석사학위(한국화) 그리고 미학 DEA학위를 취득하였으며, 2014년에 영남미술대전의 초대작가(한국화)로 등단하였다.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연구교수 그리고 경북대학교에서 전임연구원을 거쳐 현재는 제주대학교 철학과에 재직하며 서양고중세철학, 예술철학, 종교철학, 비교철학 등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인간학의 지혜』, 『토마스 아퀴나스 읽기』, 『키르케고르 읽기』, 『철학, 인간을 사유하다』, 『토미즘의 생명사상과 영성이론』, 『역사 속의 여성 신비가와 존재의 신비』, 『키르케고르의 《이것이냐 저것이냐》 읽기』, 『종교철학 명상록: 성인들의 눈물』 등이 있으며, 〈편하게 만나는 프랑스 철학〉 시리즈를 집필했다. 역서로는 『토마스 아퀴나스: 존재의 형이상학』, 『영성의 파노라마』, 『자아와 그 운명』, 『진리론』, 『키르케고르: 신앙의 개념』이 있다.
경북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의 리옹가톨릭대학에서 토마스 아퀴나스를 전공, DEA학위를 취득하였다. 파리1대학(판테온 소르본)에서 ‘프랑스 철학사’ 관련 DEA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토마스 아퀴나스의 ‘인간학과 영성’에 관한 주제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예술에도 관심이 많아 파리1대학 예술대학에서 조형미술학사 및 석사학위(한국화) 그리고 미학 DEA학위를 취득하였으며, 2014년에 영남미술대전의 초대작가(한국화)로 등단하였다.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연구교수 그리고 경북대학교에서 전임연구원을 거쳐 현재는 제주대학교 철학과에 재직하며 서양고중세철학, 예술철학, 종교철학, 비교철학 등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인간학의 지혜』, 『토마스 아퀴나스 읽기』, 『키르케고르 읽기』, 『철학, 인간을 사유하다』, 『토미즘의 생명사상과 영성이론』, 『역사 속의 여성 신비가와 존재의 신비』, 『키르케고르의 《이것이냐 저것이냐》 읽기』, 『종교철학 명상록: 성인들의 눈물』 등이 있으며, 〈편하게 만나는 프랑스 철학〉 시리즈를 집필했다. 역서로는 『토마스 아퀴나스: 존재의 형이상학』, 『영성의 파노라마』, 『자아와 그 운명』, 『진리론』, 『키르케고르: 신앙의 개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