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현대 철학 강의

31가지 테마로 본 현대 영미철학의 흐름과 쟁점
$55.47
SKU
9788955619065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02/13
Pages/Weight/Size 153*225*40mm
ISBN 9788955619065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현대 철학 강의』는 영국의 저명한 철학자 로저 스크루턴이 쓴 현대철학에 대한 주제별 종합 개론서다. 스크루턴이 유수의 영미 대학에서 행한 철학입문 강연들에 기초한 이 책은, 데카르트 이후 현대철학의 주요 흐름과 쟁점을 세세한 학술논쟁이라는 미궁에 빠지지 않으면서 철학 초심자도 알기 쉽게 전해준다. 스크루턴은 철학에 몇 가지 핵심문제가 있다는 상투적 서술방식을 거부하고, 일반 입문서보다 주제를 더 폭넓게 선정한 후 ‘진리’ ‘지식’ ‘존재’ ‘자유’ ‘의미’ 등 31가지 철학의 주요 테마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이야기를 풀어간다.

각각의 키워드를 축으로 관련 철학자들의 사상을 효과적으로 해설하고 있는 이 책이 다루는 범위는 논리학과 형이상학에서부터, 윤리학과 정치철학, 언어철학과 과학철학, 수리철학과 미학에 이르기까지 철학의 거의 전 영역을 아우른다. 스크루턴은 방대한 분량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위트와 도발적인 문제 제기로 독자의 흥미와 적극적인 반론을 유도하는 가운데, 러셀과 비트겐슈타인 식의 간결하고 명쾌한 언어로 어려운 철학 논변들의 요체를 이해하기 쉽게 전달한다. 이 책을 통해 독자는 데카르트 이후 현대철학이 어떻게 전개되어왔으며, 어떠한 성취와 한계가 있었는지, 오늘날의 철학적 상황이 어떠한지를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5
1. 철학의 본질 13
1. 철학이란 무엇인가? / 2. 철학의 주제는 무엇인가?
3. 철학에는 독특한 방법이 있는가? / 4. 선천적인 것과 경험적인 것
5. 철학의 분과 / 6. 철학의 역사와 이념의 역사
2. 회의주의 34
1. 문장, 명제, 진술, 사유, 믿음 / 2. 회의적 문제의 구조
3. 데카르트의 논변 / 4. 일반적 회의주의 / 5. 현상과 실재
3. 다른 몇 가지 이론들 45
1. 관념론 / 2. 검증주의 / 3. 환원주의
4. 경험론 / 5. 합리론 / 6. 실재론 / 7. 상대주의
4. 자아, 마음 그리고 육체 61
마음에 대한 데카르트적 접근 / 의식과 자기의식
육체 무의식 / 오류의 면제
5. 사적 언어 논변 79
1. 배경 / 2. 인식론 대 인간학 / 3. 비트겐슈타인의 논변
4. 칸트와 본체 / 5. 스트로슨과 현대적 접근
6. 뜻과 지시 97
1. 문장의 구조 / 2. 단칭명사와 동일성
3. 뜻과 지시 / 4. 술어와 문장
5. 개관적인 상 / 6. 논리학에서의 혁명 / 7. 형식언어
7. 기술구와 논리형식 115
1. 러셀의 문제 / 2. 러셀의 이론 / 3. 논리형식
4. 수학적 함언 / 5. 마이농의 정글 / 6. 스트로슨의 비판 / 7. 주제 옮기기
8. 사물과 속성 133
1. 특수자 / 2. 보편자 / 3. 보편자의 문제
4. 실재론과 유명론 / 5. 실체 / 6. 개별자
9. 진리 155
1. 실재 / 2. 대응설 / 3. 정합설
4. 실용주의 / 5. 잉여론 / 6. 최소주의 이론
10. 현상과 실재 177
1. 급진적 공격 / 2. 상식의 답변 / 3. 합리론자의 기획
11. 신 189
1. 유일신과 다신 / 2. 신의특성 / 3. 철학자의 신
4. 신의 존재를 위한 논변 / 5. 데카르트의 사다리 / 6. 악의 문제
12. 존재 217
1. 아리스토텔레스 / 2. 분석 철학 존재의 희소이론 / 3. 동일성 없이 존재자는 없다
4. 필연적 존재 / 5. 헤겔 존재의 성가신 이론 / 6. 하이데거와 존재의 불안이론
13. 필연성과 선천성 244
1. 경험론자의 견해 / 2. 칸트 / 3. 크립키
4. 콰인 / 5. 필연성과 가능 세계들
14. 원인 266
1. 흄의 문제 / 2. 인과와 법칙 / 3. 법칙과 반사실적 조건문
4. 인과성과 결정 / 5. 인과와 확률 / 6. 인과성과 시간
15. 과학 281
1. 몇몇 ‘해결책들’ / 2. 헴펠의 역설 / 3. 과학적 방법
4. 이론과 이론적 용어 / 5. 실질적 본질과 자연종 / 6. 귀추법
7. 확률과 증거 / 8. 확률과 과학적 실재론 / 9. 다시 흄의 법칙 / 10. 과학적 세계관
16. 영혼 320
1. 데카르트 재검토 / 2. 1인칭과 3인칭 관점 / 3. 지향성 4. 무의식에 대한 주석 / 5. 물리주의의 변형들 / 6. 창발 속성과 수반
7. 자아 / 8. 영혼의 통일성
17. 자유 348
1. 인과성과 결정 / 2. 신의 예지 / 3. 나는 달리 할 수 있었는가?
4. 자유와 성격 / 5. 양립가능론 / 6. 책임 / 7. 인격과 동물 / 8. 칸트의 견해
18. 인간의 세계 364
1. 지향적 상태의 변형들 / 2. 과학의 세계 / 3. 비자연종
4. 지향적 이해 / 5. 마법과 오류 / 6. 의도 / 7. 의지
19. 의미 385
1. 의미와 단언 / 2. 그라이스의 이론 / 3. 언어행위 / 4. 의미의 이론이란 무엇인가?
5. 진리와 단언가능성 / 6. 외재적 관점 / 7. 실재론과 규칙 준수하기 / 8. 다른 종류의 의미
20. 도덕 415
1. 도덕적 담론의 논리 / 2. 실천이성 / 3. 공리주의 / 4. 결과주의
5. 칸트의 접근법 / 6. 주인, 노예 그리고 측면제약 / 7. 흄의 공감
8.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 / 9. 도덕적 세계
21. 생명, 죽음 그리고 455
1. 생명 / 2. 인격 동일성 / 3. 실존과 본질
4. 죽음 / 5. 죽음의 두려움 / 6. 적당한 때의 죽음 / 7. 죽음의 신비
22. 지식 482
1. 지식이란 무엇인가? / 2. 조건들은 필요한가? / 3. 조건들은 충분한가?
4. 신뢰성 이론들 / 5. 외재주의와 회의주의 / 6. 지식의 가치와 변형
23. 지각 499
1. 인식론적 물음 / 2. 소박실재론과 표상이론 / 3. 정신적 표상
4. 지각의 분석 / 5. 현상론
24. 상상 518
1. 상상과 정신적 이미지 / 2. 창조적 상상 / 3. 상상의 세계
4. 환상과 상상 / 5. 상상의 지각 / 6. 표상 / 7. 상상과 규범성
25. 공간과 시간 539
1. 유클리드와 시각적 기하학 / 2. 힐베르트와 공리체계 / 3. 비유클리드적 공간
4. 상대적이고 절대적인 공간 / 5. 얼마나 많은 공간들이 있는가? / 6. 시간의 신비
7. 시간의 비실재성 / 8. 그 논변에 대한 응답들 / 9. 시간과 1인칭
10. 과정과 생성 / 11. 영원 / 12. 천구의 음악
26. 수학 579
1. 수학의 본성 / 2. 논리주의 / 3. 러셀의 역설 / 4. 수학의 우선성
5. 집합론 / 6. 수란 무엇인가? / 7. 이론과 메타이론
27. 역설 601
1. 함언의 역설 / 2. 실질적 역설 / 3. 거짓말쟁이 역설
4. 더미의 역설 / 5. 아킬레우스 / 6. 아킬레우스 / 7. 무한의 역설
8. 역설의 역할
28. 객관정신 626
1. 사회계약 / 2. 전통적 반론들 / 3. 집단선택과 보이지 않는 손
4. 사회적 선택의 역설 / 5. 일반의지, 헌법, 국가 / 6. 정의 / 7. 법
8. 자유 / 9. 소유 / 10. 제도
29. 주관정신 662
1. 이성의 관심 / 2. 미학적 태도 / 3. 취미의 이율배반
4. 목적과 가치 / 5. 종교적 경험 / 6. 상상과 설계 / 7. 자연화된 인식론
30. 악마 691
1. 부정과 도덕법칙 / 2. 도덕의 계보학 / 3. 소외 / 4. 그들
5. 악의 평범함 / 6. 제도의 인격성 / 7. 삼위일체 / 8. 해체 / 9. 다시 집으로
31. 자아와 타자 725
1. 역사의 단편 / 2. 자기지시의 문법 / 3. 제2성질
4. 의식의 문법 / 5. 자아의 사회적 구성

학습안내 747/ 역자 후기 888/ 찾아보기 892
Author
로저 스크루턴,주대중
'에드먼드 버크 이후 가장 뛰어난 영국 보수주의자‘로 평가받고 있는 철학자. 1944년생으로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런던 대학교에서 버크벡 칼리지에서 미학 교수로20년간 가르쳤으며, 이후 보스턴대학교 초빙교수,미국기업연구소 객원연구원. 워싱턴 윤리공공정책센터 선임연구원, 『영국미학저널』 편집워원을 역임했다. 그 외 케임브리지대학, 프린스턴대학, 스탠퍼드대학, 루벵대학 등 세계 각국 명문교육기관에서 초빙된 바 있다. 현재는 버킹엄대학교 인문학 연구소(The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에서 미학과 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68혁명을 직접 목격하면서, 당시 마르크스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대표되는 반문화?반이성 운동에 맞서 활발한 사회운동가로 두각을 나타냈다. 냉전이 한창이던 1979-1989년에는 소련 통제하의 동유럽에서 반체제 대학들의 지하학술네트워크 설립을 후원했다. 이 때문에 한때 동유럽에서 억류, 추방당했으나 1998년 그 공로를 인정받아 체코 정부로부터 건국 훈장을 받기도 했다

지금까지 철학, 미학, 정치학에 관한 40여 권의 책을 썼으며, 주요 저서로는 『현대철학강의』, 『보수주의의 의미』, 『예술과 상상』, 『긍정의 오류』등이 있다.
'에드먼드 버크 이후 가장 뛰어난 영국 보수주의자‘로 평가받고 있는 철학자. 1944년생으로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런던 대학교에서 버크벡 칼리지에서 미학 교수로20년간 가르쳤으며, 이후 보스턴대학교 초빙교수,미국기업연구소 객원연구원. 워싱턴 윤리공공정책센터 선임연구원, 『영국미학저널』 편집워원을 역임했다. 그 외 케임브리지대학, 프린스턴대학, 스탠퍼드대학, 루벵대학 등 세계 각국 명문교육기관에서 초빙된 바 있다. 현재는 버킹엄대학교 인문학 연구소(The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에서 미학과 철학을 가르치고 있다. 68혁명을 직접 목격하면서, 당시 마르크스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대표되는 반문화?반이성 운동에 맞서 활발한 사회운동가로 두각을 나타냈다. 냉전이 한창이던 1979-1989년에는 소련 통제하의 동유럽에서 반체제 대학들의 지하학술네트워크 설립을 후원했다. 이 때문에 한때 동유럽에서 억류, 추방당했으나 1998년 그 공로를 인정받아 체코 정부로부터 건국 훈장을 받기도 했다

지금까지 철학, 미학, 정치학에 관한 40여 권의 책을 썼으며, 주요 저서로는 『현대철학강의』, 『보수주의의 의미』, 『예술과 상상』, 『긍정의 오류』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