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48.60
SKU
978895559369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3/09/27
Pages/Weight/Size 152*223*30mm
ISBN 9788955593693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Contents
서문_ 에르네스토 라클라우
서론

1부 증상

1 마르크스는 어떻게 증상을 고안해냈는가?
마르크스와 프로이트의 형식 분석·
상품형식의 무의식
사회적 증상·
상품 물신·
전체주의적 웃음·
이데올로기의 한 형태로서의 냉소주의·
이데올로기적 환상·
믿음의 객관성·
‘법은 법이다’·
알튀세르의 비판가, 카프카·
현실의 토대로서의 환상·
잉여가치와 잉여향유·

2 증상에서 증환으로
증상의 변증법
실재로서의 증상·

2부 타자 속의 결여

3 케 보이
정체성
동일시(욕망 그래프의 하단)
동일시를 넘어서(욕망 그래프의 상단부)
사회적인 환상을 ‘횡단하기’

4 당신은 항상 두 번 죽는다
두 죽음 사이
반복으로서의 혁명
‘최후의 심판이라는 관점’
주인에서 지도자로

3부 주체

5 실재의 주체는 어떤 주체인가?
‘메타언어는 없다’
남근 기표
대상으로서의 ‘바르샤바에 있는 레닌’
실재로서의 적대
자유의 강요된 선택
대립항들의 일치
또 다른 헤겔식 농담
‘실재의 응답’으로서의 주체
S(A/), a, Φ
……하다고 가정된 주체
가정된 지식
‘오류에 대한 두려움은 …… 오류 그 자체이다’
‘따라서 초감각적인 것은 현상으로서의 현상이다’

6 ‘실체로서 뿐만 아니라 주체로서’
숭고함의 논리
‘정신은 뼈이다’
‘부는 자기이다’
정립 반영, 외재적 반영, 규정적 반영
전제를 정립하기
정립을 전제하기
Author
슬라보예 지젝,이수련
오늘날 가장 논쟁적인 철학자이자 ‘동유럽의 기적’이라 불리는 세계적 석학. 슬로베니아의 수도 류블랴나에서 태어나 류블랴나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파리8대학교에서 정신분석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컬럼비아대학교, 프린스턴대학교, 파리8대학교, 런던대학교 등 대서양을 넘나들며 세계 주요 대학에서 강의했다. 현재는 슬로베니아 류블랴냐대학교 사회학연구소에서 선임연구원, 버크벡연구소 인류학 소장을 역임하고 있다.

1989년 국제적 명성을 안긴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을 세상에 내놓은 이후, 급진적 정치이론, 정신분석학, 현대철학에서의 독창적 통찰을 바탕으로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 대중문화를 자유롭게 꿰어내며 전방위적 지평의 사유를 전개하는 독보적인 철학자로 자리매김했다.

저서로 『실재의 사막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처음에는 비극으로, 다음에는 희극으로』, 『새로운 계급투쟁』 등이 있고, 공저로 『거대한 후퇴』, 『지속 가능한 미래』, 『나의 타자』 등이 있다.
오늘날 가장 논쟁적인 철학자이자 ‘동유럽의 기적’이라 불리는 세계적 석학. 슬로베니아의 수도 류블랴나에서 태어나 류블랴나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파리8대학교에서 정신분석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컬럼비아대학교, 프린스턴대학교, 파리8대학교, 런던대학교 등 대서양을 넘나들며 세계 주요 대학에서 강의했다. 현재는 슬로베니아 류블랴냐대학교 사회학연구소에서 선임연구원, 버크벡연구소 인류학 소장을 역임하고 있다.

1989년 국제적 명성을 안긴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을 세상에 내놓은 이후, 급진적 정치이론, 정신분석학, 현대철학에서의 독창적 통찰을 바탕으로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 대중문화를 자유롭게 꿰어내며 전방위적 지평의 사유를 전개하는 독보적인 철학자로 자리매김했다.

저서로 『실재의 사막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처음에는 비극으로, 다음에는 희극으로』, 『새로운 계급투쟁』 등이 있고, 공저로 『거대한 후퇴』, 『지속 가능한 미래』, 『나의 타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