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한자음의 연구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0/08/13
Pages/Weight/Size
148*210*20mm
ISBN
9788955568400
Categories
국어 외국어 사전 > 한자/옥편
Description
한국한자음에 관한 최초의 종합적 연구서.
16~18세기의 문헌들에서 한국한자음 자료들을 수집하여 중국음운학의 관점에서 聲類와 韻類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중세 한국한자음이 a, b, c, d층의 중층적 구조를 보임과 그 주층이 b층으로서 『慧琳音義』에 보이는 唐代 長安音을 반영한 것임을 증명한 점이 돋보인다.
Contents
1. 서론
1.1. 한자음의 이식(移植)
1.2. 한국 한자음의 기원
1.2.1. Maspero의 학설
1.2.2. 有坂秀世 박사의 학설
2. 자료
2.1. 고대 한자음 자료
2.2. 훈민정음
2.3. 동국정운
2.4. 전래 한자음 자료
2.4.1. 효경언해
2.4.2. 훈몽자회
2.4.3. 천자문
2.4.4. 신증유합
2.4.5. 경서 언해
2.4.6. 운서
2.4.6.1. 화동정음통석운고
2.4.6.2. 삼운성휘
2.4.6.3. 규장전운
2.4.6.4. 전운옥편
3. 총론
3.1. 방법
3.2. 한국어 음운사 개요
3.2.1. 현대 한국어의 음운
3.2.2. 중기 한국어의 음운
3.2.3. 중기 한국어로부터 현대 한국어로의 변천
3.3. 한자음의 전승
3.4. 음절의 구조
4. 성류(聲類)
4.1. 총론
4.2. 각론
4.2.1. 아음(牙音)
4.2.1.1. 견모(見母)
4.2.1.2. 계모(溪母)
4.2.1.3. 군모(群母)
4.2.1.4. 의모(疑母)
4.2.2. 후음(喉音)
4.2.2.1. 효모(曉母)
4.2.2.2. 갑모(匣母)
4.2.2.3. 영모(影母)
4.2.2.4. 우모(羽母)
4.2.2.5. 유모(喩母)
4.2.3. 설두음(舌頭音)
4.2.3.1. 단모(端母)
4.2.3.2. 투모(透母)
4.2.3.3. 정모(定母)
4.2.4. 설상음(舌上音)
4.2.4.1. 설상음[삼등](舌上音[三等])
4.2.4.1.1. 지모[삼등](知母[三等])
4.2.4.1.2. 철모[삼등](徹母[三等])
4.2.4.1.3. 징모[삼등](澄母[三等])
4.2.4.2. 설상음[이등](舌上音[二等])
4.2.4.2.1. 지모[이등](知母[二等])
4.2.4.2.2. 철모[이등](徹母[二等])
4.2.4.2.3. 징모[이등](澄母[二等])
4.2.5. 니모(泥母)ㆍ낭모(娘母)ㆍ일모(日母)ㆍ래모(來母)
4.2.5.1. 니모(泥母)
4.2.5.2. 낭모(娘母)
4.2.5.3. 일모(日母)
4.2.5.4. 래모(來母)
4.2.6. 치두음(齒頭音)
4.2.6.1. 정모(精母)
4.2.6.2. 청모(淸母)
4.2.6.3. 종모(從母)
4.2.6.4. 심모(心母)
4.2.6.5. 사모(邪母)
4.2.7. 정치음[삼등](正齒音[三等])
4.2.7.1. 조모(照母)
4.2.7.2. 천모(穿母)
4.2.7.3. 신모(神母)
4.2.7.4. 심모(審母)
4.2.7.5. 선모(禪母)
4.2.8. 정치음[이등](正齒音[二等])
4.2.8.1. 장모(莊母)
4.2.8.2. 초모(初母)
4.2.8.3. 상모(牀母)
4.2.8.4. 산모(山母)
4.2.9. 순음(脣音)
4.2.9.1. 방모(?母)ㆍ비모(非母), 방모(滂母)ㆍ부모(敷母), 병모(?母)ㆍ봉모(奉母)
4.2.9.2. 명모(明母)ㆍ미모(微母)
4.3. 총괄
5. 운류(韻類)
5.1. 총론
5.2. 각론
5.2.1. 개모(介母, M)
5.2.1.1. 직음(直音)ㆍ개구(開口)
5.2.1.2. 직음(直音)ㆍ합구(合口)
5.2.1.3. 요음(拗音) ‘--’와 ‘--’(開口)
5.2.1.4. 요음(拗音) ‘--’와 ‘--’(合口)
5.2.2. 운미(韻尾, F)
5.2.2.1. 양운(陽韻) : 平聲, 上聲, 去聲
5.2.2.2. 양운(陽韻) : 入聲
5.2.2.3. 음운(陰韻)
5.2.3. 주요 모음(V) : A-韻類
5.2.3.1. A-운류(韻類) : 一等
5.2.3.2. A-운류(韻類) : 二等
5.2.3.3. A-운류(韻類) : 四等과 三等(甲)
5.2.3.4. A-운류(韻類) : 三等(乙)과 三等(f)
5.2.4. 주요 모음(V) : B-韻類
5.2.4.1. 진섭(臻攝)
5.2.4.2. 심섭(深攝)
5.2.4.3. 증섭(曾攝)
5.2.4.4. 지섭(止攝)
5.2.4.5. 류섭(流攝)
5.2.4.6. 통섭(通攝)
5.2.4.7. 우섭(遇攝)
5.2.5. 성조(聲調, T)
5.3. 총괄
6. 결론
6.1. 한국 한자음의 모태론
6.2. 한국 한자음으로부터 본 한국어 음운사
부록: 자료음운표
용어 찾아보기
Author
고노 로쿠로,이진호
동경제국대학 언어학과를 졸업한 후 경성제국대학 조수와 조교수를 역임했으며 일본에서는 동경교육대학(현 츠쿠바 대학), 天理대학, 大東文化대학에서 교수로 근무했다. 일본 학사원 회원, 東洋文庫 이사 등으로도 활동했다. 한국어와 중국어에 대해 연구했는데 특히 한국어 음운사 방면에서 중요 업적을 많이 냈다.
동경제국대학 언어학과를 졸업한 후 경성제국대학 조수와 조교수를 역임했으며 일본에서는 동경교육대학(현 츠쿠바 대학), 天理대학, 大東文化대학에서 교수로 근무했다. 일본 학사원 회원, 東洋文庫 이사 등으로도 활동했다. 한국어와 중국어에 대해 연구했는데 특히 한국어 음운사 방면에서 중요 업적을 많이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