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간접투자자들이 안고 있는 고민에 대해 명쾌하고 올바른 해답을 제시하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은 좋은 펀드를 고르는 노하우를 시작으로 환매시기를 가늠하는 법, 펀드의 수익률과 운용구조, 그리고 각종 경제신문과 언론에 오르내리는 간접투자와 관련된 알쏭달쏭한 용어와 특징, 투자 전략에 대한 대답을 알기 쉬운 Q&A 형식으로 쉽고, 재미있게 담아내고 있다.
펀드는 물론 부동산 리츠, CMA ,MMF,ELS, ETF, CD 등 각종 파생상품의 정보와 특징, 투자전략을 모두 수록하고 있으며 간접투자와 관련해 환헤지와 환노출의 차이점이라든가, 샤프지수, 젠센의 알파, 정보비율 그리고 퇴직연금확정급여형(DB) vs. 확정기여형(DC)' 등 초보자들이 알기 어려운 투자관련 용어 설명도 TIP으로 곁들이고 있어 투자의 시대, 올바른 간접투자와 새로운 투자전략을 모색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1장. 간접투자란?
01 간접투자가 좋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02 간접투자로 기대할 수 있는 평균수익률은 어느 수준인가요
03 묻지마 투자를 극복하는 투자방법을 알려주세요
04 어떤 펀드가 좋은 펀드인가요
05 손절매도 말처럼 쉽지 않고, 적당한 이익을 취하기도 어렵고 어떻게 하면 투자를 잘 할 수 있을까요
06 금리와 환율의 움직임으로 시장의 흐름을 판단할 수 있나요
07 어떻게 하면 환매하기에 적절한 시기를 판단할 수 있을까요? 그 노하우 좀 알려주세요
08 펀드는 장기투자라고 하는데요, 과연 장기투자를 하면 시장을 이길 수 있나요
2장. 간접투자 시대의 펀드
09 펀드는 어떤 구조로 운용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10 펀드수수료와 관련해 여러 회사들이 나눠져 있는데, 각 회사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 건가요
11 펀드가입 어떻게 해야 하나요
12 펀드가입할 때 훌륭한 판매사직원을 가려내는 방법과 상담요령을 알려주세요
13 환헤지, 하는 게 좋을까요? 안 하는 게 좋을까요
14 투자설명서에서 읽고 얻어야 할 정보는 무엇인가요
15 펀드투자 과정에서 중점적으로 체크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16 펀드투자할 때 꼭 지켜야 할 투자원칙을 알려주세요
17 펀드비용과 수익률 계산은 어떻게 하나요
18 자산운용보고서를 받았습니다. 무엇부터 챙겨보고 점검해야 하나요
19 펀드평가지표 보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3장. 간접투자상품증권편
20 공격적인 투자자한테 적합한 주식형펀드, 유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21 은행금리 이상의 수익을 보장하는 펀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모두 알려주세요
22 원금손실은 없으나 적당한 수익도 있었으면 합니다. 이런 펀드 추천 좀 해 주세요
23 해외펀드, 어느 정도 비중으로 투자해야 적절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을까요
24 어린이펀드, 어떻게 골라야 아이의 장래에 도움이 될까요
25 기업구조선진화에 따라 지주사펀드가 좋다고 하는데요? 어떻게 운용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26 공모주펀드에 대해 알려주세요
27 배당주펀드, 과연 안정성과 수익배당까지 모두 얻을 수 있는 펀드인가요
28 장기주택마련저축/펀드, 과연 투자자에게 유리한 상품인가요
29 노후대비용으로 연령대에 따라 알아서 투자해주는 펀드가 있다고 하는데요, 어떤 건가요
30 인덱스펀드, 장기투자시 과연 성장형펀드 못잖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나요
31 세금혜택도 보고 연금도 탈 수 있는 펀드상품을 알려주세요
32 정액적립식과 임의적립식, 어떤 차이가 있나요
4장. 간접투자상품파생상품편
33 파생상품펀드, 배보다 배꼽이 큰 상품이라는데, 어떤 특성이 있는지 자세히 알려주세요
34 단기금융상품 MMF, 일반 은행의 보통예금과 어떤 차이가 있나요
35 종합자산관리계좌 CMA, 어떻게 하면 해당 상품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까요
36 MMDA, MMF가 CMA와 비교해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37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 정확히 운용되는 시스템펀드가 있다고 하는데요, 어떤 건가요
38 손실을 절대 내지 않기 위한 절대수익추구형펀드에 대해 알려주세요
39 헤지펀드, 정말 그렇게 위험한 상품인가요? 어떤 특별한 점이 있나요
40 ELS, 수익과 원금보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상품인가요
41 주식시장이 박스권 안에서 움직일 때 가입하면 좋은 펀드가 있다는데 무엇인가요
42 ELS와 ELF, 비슷해서 헷갈립니다. 어떤 특성과 장단점이 있나요
43 ETF상품, 주식과 펀드의 장점을 취한 상품이 맞나요
44 ELD상품, 과연 은행의 일반 예금처럼 원금보장이 되나요
45 실물에 직접투자하는 간접상품을 알고 싶습니다
46 부동산 간접상품에 투자하면 어떤 이득이 있나요
47 부동산투자펀드의 리츠상품은 어떻게 구성되는지, 어떤 점이 유리한지 궁금합니다
48 재간접펀드, 과연 수수료만 높은 악질적인 펀드인가요
49 변액보험은 어떤 상품인지,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알려주세요
50 변액보험, 어떻게 하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을까요
51 퇴직연금펀드 중에 DB'형과 DC'형이 있다고 들었는데요, 어떤 차이가 있나요
52 사모펀드는 공모펀드와 어떻게 다른가요
53 랩어카운트, 무슨 뜻인가요
54 펀드이름은 큰 차이가 없는데 내용 면에서 많은 차이가 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55 다소 공격적인 펀드상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56 펀드 외에 설계가 잘 된 간접투자상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5장. 간접투자는 진화한다
57 한국의 펀드시장, 향후 어떻게 흘러갈까요
58 한국의 펀드시장이 보다 활성화되고 선진화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59 자본시장통합법이 시행되면 투자자에게 어떤 변화가 생기나요
60 선진국에서는 자산관리서비스를 어떻게 하고 있나요
61 간접투자 취득권유인(명칭변경 : 펀드투자상담사) 제도가 신설된다? 하는데요. 향후 제도의 개요와 전망이 어떻게 되나요
Author
조충현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박사과정에 있으며, 수협은행 펀드파트장을 거쳐 현재 한국펀드투자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수년간의 주식투자 경험과 펀드 관련 저술활동을 기반으로 온라인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한국펀드투자연구소(cafe.naver.com/fundsale) 카페를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경제TV 와우넷 전문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KBS, 주간동아, 월간조선, 이데일리, 파이낸셜뉴스, 아시아경제 등 주요언론에서 펀드 관련 내용으로 출연 및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한국경제TV 와우넷과 Joins msn에서 '조충현의 펀드펀치' 상담코너를 운영했으며, 현재는 '펀드투자 데일리'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직장인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간접투자≫ ≪투자자들이 꼭 알아야 할 배부른 펀드 재테크≫ ≪주식형 펀드 제대로 알고 투자하기≫ 등이 있다.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박사과정에 있으며, 수협은행 펀드파트장을 거쳐 현재 한국펀드투자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수년간의 주식투자 경험과 펀드 관련 저술활동을 기반으로 온라인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한국펀드투자연구소(cafe.naver.com/fundsale) 카페를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경제TV 와우넷 전문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KBS, 주간동아, 월간조선, 이데일리, 파이낸셜뉴스, 아시아경제 등 주요언론에서 펀드 관련 내용으로 출연 및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한국경제TV 와우넷과 Joins msn에서 '조충현의 펀드펀치' 상담코너를 운영했으며, 현재는 '펀드투자 데일리'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직장인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간접투자≫ ≪투자자들이 꼭 알아야 할 배부른 펀드 재테크≫ ≪주식형 펀드 제대로 알고 투자하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