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부의 옛 관부와 읍성에는 근래에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일부는 복원되고 있으나 일부는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퇴락 일로에 처했습니다. 교사校舍로 사용되던 집경전 터는 근근이 그 유지를 확보하고 있으나 주변에 새로운 건물을 짓기 위해 발굴이 진행되고 있고, 일제 강점기 때 소실된 정조 어필의 비각은 아직 건립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읍성 향일문의 남북 일부는 복원하였으나 동북 성우城隅 주위는 마무리 발굴 작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과거 동헌東軒 건물은 사찰 건물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경관 중건은 요원하기만 합니다. 또한 악부의 전래 노래와 여인들의 한 맺힌 삶을 이대로 덮어둘 수 없었습니다. 이런 점에서 경주 관부의 복원은 많은 시일이 필요하겠지만 자료만이라도 먼저 정리해야 한다는 작은 의지는 차마 꺾을 수 없었습니다.
1980년 초만 해도 개인 소장의 고문서가 많이 나왔으며 고서점도 여러 군데 있었습니다. 필자는 고문서의 가치를 모른 채 다만 개인 문집을 수집하기 시작 했습니다. 대구와 안동 등지를 다니며 꾸준히 노력한 결과 경주문집의 수량과 범위를 대충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하여 『경주문집해제』(2004)를 집대성하여 출간하였습니다. 경주지역 개인 유가 문집류를 정리한다는 취지도 있었으나 그 근본적인 배경은 경주부의 고문헌이 워낙 찾을 길이 없었으므로, 이들 문집 속에 관련 자료가 다수 전할 것으로 추정한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같은 추정은 목적한 바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으며 결국 경주의 작은 자산으로 남게 되었습니다. 앞서 『경주선생안』(2002)을 국역하였으며, 『경주읍성과 관부』(2018, 공저, 3책)를 발간하며 경주부의 문헌은 어느 정도 정리되었다고 생각합니다.
Contents
들어가며 / 5
Ⅰ. 경주 동헌慶州 東軒
1. 머리말 / 14
2. 경주 동헌의 배치 / 17
3. 경주부윤의 임무 / 22
4. 경주 동헌의 역사 / 33
1) 고려 시대 / 33
2) 조선 시대 / 38
3) 근대 변천사 / 45
5. 법장사法藏寺 건물 / 51
6. 맺음말 / 55
1951년 경북 경주에서 태어나 동국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교육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85년 3월부터 경주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하여 2012년 2월에 퇴임했다. 경주문화원 부설 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 경주시사 편찬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경주문화원장, 경상북도문화재위원이다. 지은 책으로 『경주문집해제(慶州文集解題)』, 『돌에 새긴 백성의 마음(朝鮮時代 慶州府 善政碑)』, 『경주읍지(慶州邑誌)』, 『운암실기(耘庵實紀)』, 『춘포유고집(春圃遺稿集)』, 『경주유교문화유적』, 『경주의 옛 지도』, 『또 다른 경주를 만나다』, 『경주읍성과 관부』(공저) 등이 있다. 제17회 경주시문화상(학술부문)(2005)을 수상했다.
1951년 경북 경주에서 태어나 동국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교육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85년 3월부터 경주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하여 2012년 2월에 퇴임했다. 경주문화원 부설 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 경주시사 편찬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경주문화원장, 경상북도문화재위원이다. 지은 책으로 『경주문집해제(慶州文集解題)』, 『돌에 새긴 백성의 마음(朝鮮時代 慶州府 善政碑)』, 『경주읍지(慶州邑誌)』, 『운암실기(耘庵實紀)』, 『춘포유고집(春圃遺稿集)』, 『경주유교문화유적』, 『경주의 옛 지도』, 『또 다른 경주를 만나다』, 『경주읍성과 관부』(공저) 등이 있다. 제17회 경주시문화상(학술부문)(2005)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