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모 마리아

$19.44
SKU
978895508190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9/07/30
Pages/Weight/Size 188*254*30mm
ISBN 9788955081909
Categories 종교 > 기독교(개신교)
Description
그리스도교 미술연구 총서 4『성모 마리아』는 미술연구 총서의 네 번째 시리즈로 인천가톨릭대학교 조형예술대학에서 집필하였다. 이 책은 카톨릭 신자들에게 어머니의 원형은 예수님의 어머니 '성모 마리아'이다. 동정녀로 예수를 잉태하여 낳고, 그의 삶에 동참하는 마리아는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의 내용을 다루었다.
Contents
‘성모 마리아’를 펴내며

성모 마리아 공경에 대한 신학적 바탕 / 최경영(부산교구 가야성당 주임신부)
들어가는 말
Ⅰ. 성모 마리아께 대한 4대 교리
1. 평생 동정(童貞)
2. 하느님의 어머니(천주의 성모; Theotokos)
3. 원죄 없으신 잉태(무죄한 잉태; 無染始胎)
4. 성모 승천(昇天 Assumption)
Ⅱ. 성모님 영적 모성, 중재자 및 공동구속자 역할
1. 성모님의 영적 모성(인류의 어머니)
2. 중재자
3. 공동구속자
Ⅲ. 마리아적인 준성사
1. 성상과 성화
2. 묵주(?珠)
3. 스카풀라(Scapular: 聖衣)
Ⅳ. 올바른 성모신심
나가는 말

마리아 유형의 성립과 그 유형 / 이진선·김민숙·빈정아(인천가톨릭대학교 조형예술대학)
Ⅰ. 서론
Ⅱ. 마리아의 생애
1. 마리아 이름의 의미
2. 성서 안에서의 “마리아”
3. 성경에서 나타나는 마리아의 생애
Ⅲ. 마리아 도상의 기원
1. 인류의 시작과 함께 일어난 어머니 신(神)에 대한 숭배
2. 마리아 공경과 성상화(聖像畵)
3. 마리아 도상의 확산
Ⅳ. 마리아 도상의 유형
1. 이콘(성상 聖像)의 형성
2. 로마시대 초상화 형식이 이콘에 미친 영향
3. 마리아 도상의 변천
Ⅴ. 마리아 도상의 현대적 해석

마리아, 하느님의 어머니 - 비잔틴 테오토코스(Theotokos)의 이미지 연구 - / 조수정(미술사학 박사)
들어가는 글
1. 성모마리아 이콘의 발전
1) 형태별 분류
2) 기원
3) ‘테오토코스 키리오티사(Theotokos Kyriotissa)
2. 왜 하느님의 어머니인가
1) 이슬람의 반응
2) ‘테오토코스’의 신학적 의미
3) ‘테오토코스 키리오티사’의 역할
3. ‘테오토코스 키리오티사’와 전례
나오는 글

Alle Wege fuhren zu Maria. Die stadtebauliche Bedeutung der Basilika S. Maria Maggiore in Rom / Prof. Dr. Peter Stephan(Freiburg University, German), 번역: 김정락(김종영미술관 학예실장, 미술사학 박사)

파달루페 성모상의 토착화: 정복과 해방의 이미지 / 김진아(서울대미술관 학예실장, 미술사학 박사)
1. 과달루페 성모의 출현(1531)
2. ‘끄리오요’ 계층과 과달루페 컬트의 형성
3. 19세기 독립전쟁: 독립과 평등의 신화
4. 20세기 과달루페상의 대중화: 20세기 멕시코 혁명과 미국의 치카노 인권운동 속에서의 이미지들

In the Name of Other Mothers / Prof. Dr. Flaudette May V.DATUIN(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Diliman, Philippine), 번역: 이정용(전문번역가)
Ⅰ. S/wom Identity
Ⅱ. For Whom the Bell Tolls
Ⅲ. Nanny-Nanay
Ⅳ. Inang Saya: Mother Happy/Mother Dress(de)
Ⅴ. Re/dress
Ⅵ. Stepping Out

한국의 성모상 수용에 관한 고찰 / 기혜경(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Ⅰ. 들어가며
Ⅱ. 가톨릭의 수용과 성모마리아의 시대별 유형
1. 박해시대(1785~1886) : 기적의 메달과 루뒤박의 성모
2. 고딕식 성당과 성모상(1886~1910)
3. 일제시대(1910~1945)
4. 해방이후(1945~)
Ⅲ. 파리외방전교회와 성모성심
Ⅳ. 나가며

マりア·觀音·アマテラ - 近代天皇制國家にねける 「母性」と宗敎的シソボル / 千葉 慶(와포대학 교수), 번역: 박소현(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연구원, 미술사학 박사)
はじめに
1. 脫宗敎化される「母性」
2. 再宗敎化される「母性」
3. 「悲母觀音」 解釋の變容
4. 戰爭と「母性」
ねわりに

한예규의 작품에 나타난 타자와의 상호주체적 관계를 허용하는 어머니 : 루스이리가라이(Luce Inigaray)의 상호주체성 이론을 바탕으로 / 김지혜(조형예술학 박사)
Ⅰ. 서론 : 예술작품에 나타난 어머니상
Ⅱ. 상호주체적 관계를 이끄는 어머니
1) 이리가라이의 태반경제(the placental economy)에 기반한 상호주체성
2) 한에규 작품에서 보이는 상호주체적 관계를 이끄는 어머니
Ⅲ. 상호주체적 감각으로서의 촉각
Ⅳ. 결론
Author
인천가톨릭대학교 조형예술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