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현대사회를 무한 경쟁 시대라고 한다. 새로운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개발되고 로봇이 인간을 대체할지도 모른다고 하는 이 시대에 가만히 있는 것은 후퇴를 의미한다. 한편에서는 이런 긴장에서 벗어나 여유로운 삶의 중요성을 역설하지만, 이미 지난 역사가 증명하듯 뒤처진 자는 역사에서 사라지기 마련이다. 결국 역사의 다음 장은 처절한 혁신을 이룬 자들의 몫이기 때문이다. 동명의 다큐멘터리 [강제혁신]을 연출한 EBS 이주희 PD는 전작 『강자의 조건』에 이어 또 한 번 정치와 권력의 문제를 집요하게 파고든다. 이를 위해 세계적인 석학들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더욱 심층적으로 풀어나간다.
사람들은 스티브 잡스의 깔끔한 프레젠테이션과 애플의 세련된 디자인만 보고 혁신을 우아하고 낭만적인 것으로 착각하지만 이는 혁신의 결과물일 뿐이다. 혁신은 누군가를 짓밟고 올라서는 일이기에 잔인하고 폭력적일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전쟁터는 피비린내 나는 혁신의 역사를 가장 선명하게 드러내주는 장소다. 전쟁에서의 실패는 곧 죽음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전쟁터는 그 어떤 곳보다 승패가 명료한 혁신의 현장이기 때문이다.
언제나 그렇듯 혁신의 현장에는 한 무리의 기득권자와 반역자가 존재한다. 권력을 가진 자는 자리를 지키고 싶어 하며, 그 옆에는 호시탐탐 이를 노리는 자가 존재한다. 그리고 전쟁터에 ‘화약혁명’이라는 새로운 혁신의 바람이 불어왔을 때, 누가 권력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한 국가의 운명은 달라졌다. 혁신으로 쫓겨날 자가 이끄는 나라의 미래는 이미 후퇴의 전조를 밟고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혁신에서의 권력이란 역사를 재편하는 핵심 조건이며, 그런 의미에서 힘의 총체인 전쟁터에서의 혁신을 살펴보는 일은 가장 강력한 역사의 교훈과 마주하는 일이다.
Contents
들어가는 말
- 중요한 것은 아이디어가 아니다
PART Ⅰ 혁신은 기득권을 공격한다
과거의 전쟁, 엘리트 전사의 시대
- 천적이 없는 전사, 몽골
- 몽골의 재앙이 이슬람을 덮치다
- 선택받은 엘리트 노예, 맘루크
- 군대를 위해 존재하는 국가
몽골 vs 맘루크, 아인잘루트에 모이다
- 골리앗의 연못으로 꾀어내다
- 유인된 자를 기다리는 참혹한 패배
새로운 전쟁, 화약 제국 오스만의 등장
- 전쟁의 폭풍이 시작되다
- 이슬람 세계의 태양은 하나다
오스만 vs 맘루크, 전쟁의 패러다임이 바뀌다
- 백전노장 맘루크의 생애 마지막 전투
- 전세를 뒤엎은 오스만의 비밀 무기
정체성, 전쟁의 승패를 가르다
- 화약을 증오한 권력자, 맘루크
- 불완전한 혁신을 주저한 대가
- 혁신에 자유로운 집단, 오스만
PART Ⅱ 서양 우위의 분기점
전쟁의 발단, 프라하 창문 투척
- 금권 선거로 얻는 왕좌
- 새 종교를 탄압하는 새 황제
30년 전쟁, 진화하는 군대
- 해산도 탈출도 없는 테르시오
- 황제군, 경험에서 교훈을 얻다
- 규모에 대항하는 유연성의 힘
- 스웨덴군, 화약혁명의 미래
황제군 vs 스웨덴군, 브라이텐펠트 벌판에서의 조우
- 숙련되었으나 낡은, 설익었으나 새로운
- 방향을 틀어 적을 두 동강 내다
스웨덴군 vs 황제군, 뤼첸에서의 2차전
- 1년 전의 패배를 교훈으로 삼다
- 승패를 뒤집은 반걸음의 차이
혁신을 강제하는 경쟁의 힘
- 이상한 나라의 붉은 여왕 효과
- 전쟁, 죽여야 사는 경쟁
PART Ⅲ 동아시아의 잃어버린 200년
다네가시마에 왜구의 배가 표류하다
- 멸문 직전의 가문에 총이 쥐어지다
- 창조의 어머니, 리버스 엔지니어링
노부나가 vs 다케다, 운명을 바꾼 나가시노 전투
- ‘사카이’를 지배한다는 것의 의미
- 월급받는 조총 부대
- 품위보다 생존이 중요했던 센고쿠시대
조선 vs 일본, 임진왜란의 치욕을 동력으로 삼다
- 가장 잘하는 방식이 최선은 아니다
- 패배를 통해 배우다
명나라 vs 청나라, 영원성에서 맞붙다
- 천혜의 요새에서 적을 기다리다
- 화약 무기로 3일 만에 전투를 끝내다
위기의식, 발전의 속도를 가르다
- 겐나엔부, 모든 하극상을 금하다
- 시마바라의 난, 혐오의 대상이 된 조총
- 대청제국의 시대, 길 잃은 혁신
PART Ⅳ 혁신가의 또 다른 이름, 반역자
청나라 vs 영국, 아편전쟁으로 시작된 근대
- 오랜 평화의 종결
- 통찰은 현실을 직시하는 자에게만 찾아온다
삿초 vs 영국, 근대화에 눈을 뜬 두 차례 전쟁
- 시모노세키 전쟁, 서양 함대의 힘을 절감하다
- 패전 이후 존왕양이의 일신
농민군 vs 상승군, 양무운동을 촉발한 내전
- 태평천국의 난, 언제 망해도 이상하지 않은 나라
- 서양의 신식 무기로 무장하다
충성심, 혁신의 미래를 바꾸다
- 반청 사건은 왜 역사가 아닌 야사가 되었나
- 권력을 거부한 자들의 근대화
- 막부에 대항하는 반역자들의 탄생
- 반막부 정서가 폭발하다
- 반역자들이 이룬 근대화
나가는 말
- 실험실의 천재가 아닌 전쟁터의 전사로
주석
참고문헌
Author
이주희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95년에 EBS PD로 입사했다. 인간의 삶으로서의 역사에 꾸준한 관심을 가지고 역사전문 PD로서 다양한 역사 프로그램을 만들어 왔다. 제작한 작품으로 『역사극장』(2003), 『정치교실』(2004) 등이 있으며, 어린이 역사 드라마 『점프』 (2005-2006)로 서울 드라마 어워드를 수상하기도 했다. 2008년부터 EBS 다큐프라임 『절망을 이기는 철학 - 제자백가』, 『무원록 - 조선의 법과 정의』, 『킹메이커 - 대통령 선거전의 비밀』, 『강대국의 비밀』 등을 제작했으며, 집필한 책으로 『강대국의 비밀』을 도서화한 『강자의 조건』(2014)이 있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95년에 EBS PD로 입사했다. 인간의 삶으로서의 역사에 꾸준한 관심을 가지고 역사전문 PD로서 다양한 역사 프로그램을 만들어 왔다. 제작한 작품으로 『역사극장』(2003), 『정치교실』(2004) 등이 있으며, 어린이 역사 드라마 『점프』 (2005-2006)로 서울 드라마 어워드를 수상하기도 했다. 2008년부터 EBS 다큐프라임 『절망을 이기는 철학 - 제자백가』, 『무원록 - 조선의 법과 정의』, 『킹메이커 - 대통령 선거전의 비밀』, 『강대국의 비밀』 등을 제작했으며, 집필한 책으로 『강대국의 비밀』을 도서화한 『강자의 조건』(2014)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