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겔의 정신현상학

자유의지, 절대정신에 이르는 길
$14.04
SKU
978895477255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2/30
Pages/Weight/Size 128*188*17mm
ISBN 9788954772556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철학은 이제 실천적 의지의 문제를 다룬다!
자유의지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헤겔의 『정신현상학』을 읽다


헤겔의 『정신현상학』은 근대철학의 두 줄기인 대륙의 합리론과 영국의 경험론을 종합한 칸트의 철학을 비판하며 독자적인 이론을 제시한 책이다. 단적으로 말하면 인간 정신의 형성 과정을 다룬 책이다. 방대한 분량과 체계적인 구조 속에 의식, 자기의식, 이성, 정신, 종교, 절대정신 등 인간 정신의 형성 과정을 다루었기에, 방대함과 난해함으로 그 명성이 높은 철학 저서이다.

이병창 교수는 대학원 시절부터 무려 50년간이나 이 책을 읽고 또 읽었으나 아직도 이해하지 못하는 말들이 많이 남아 있고, 난해성 때문에 분노나 눈물이 나기도 했다고 한다. 27세 청년기 헤겔의 아직 다듬어지지 못한 사유 때문에 나타나는 혼란일까, 아니면 저자가 헤겔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인가. 그럼에도 이 책이 지닌 ‘신비한 매혹’이 있는데, 그것은 저자가 “어릴 때부터 가져왔던 근본적인 의문인 자유의 문제가 다루어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병창 교수는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정신 개념에 대한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그후로 오랫동안 헤겔 철학을 연구하고 그에 관련된 책을 써왔다. 헤겔의 『정신현상학』과 관련해 주석과 해설을 단 저서로 『영혼의 길을 모순에게 묻다』(서문 주해) 『불행한 의식을 넘어』(자기의식 장 주해) 『정신의 오디세이』(자유의지의 개념)를 쓰는 등, 헤겔 철학을 50년간 붙들며 연구해 왔다. 그렇다면, 이렇듯 난해하기로 정평 난 『정신현상학』이라는 산맥을 등정하기 위한 저자의 방법은 무엇일까.

이 교수에 따르면, 헤겔의 역사적 설명은 마치 ‘역사의 드라마를 보는 것’과 같다고 한다. 헤겔은 자유의지가 출현하여 도덕적 자유의지가 되고, 마침내 공동체적 자유의지로 발전하기까지 인간의 역사가 얼마나 견고하게 전진했는가를 보여준다. 역사는 결코 단숨에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그런데도 조금씩 앞으로 나갔다. 앞의 역사에서 출현한 정신은 변증법적으로 새로운 정신으로 발전했다. 그렇게 해서 마침내 정신은 절대정신 즉 공동체적 자유의지에까지 이르게 된다. 다시 말해, 이 교수는 “『정신현상학』은 형식적 자유의지에서 실질적 자유의지를 거쳐 공동체적 자유의지에 이르는 거대한 역사적 드라마”로 볼 것을 제시한다.
Contents
서문

1장 자유의지의 철학자, 헤겔

자유의지의 문제
헤겔과 『정신현상학』
『정신현상학』은 어떤 철학적 문제를 다루는가
자유의지의 문제
도덕적 자유의지에 이르려면

2장 『정신현상학』 읽기

헤겔 철학으로 들어가기
의식
주인과 노예의 투쟁
불행한 의식
관찰하는 이성
근대 사회의 출현
인륜적 정신
법의 시대
근대정신의 출현
칸트의 의무 개념
의무의 모순: 전치
양심의 개념
절대정신

3장 철학의 이정표

요한 볼프강 폰 괴테,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 시대』
장 이폴리트, 『헤겔의 정신현상학』
요하임 리터, 『헤겔과 프랑스 혁명』
게오르크 헤겔, 『법철학』
쇠렌 키르케고르, 『이것이냐 저것이냐』
이병창, 『정신의 오디세이』

생애 연보
참고 문헌
Author
이병창,한국철학사상연구회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수학하고 서울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정신 개념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동아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2011년 2월 명예퇴직 이후 현대사상사연구소 소장으로서 헤겔 철학과 정신분석학 그리고 마르크스주의를 연구하면서 문화 철학 및 영화 철학을 연구했다.

-박사학위 논문: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정신 개념에 대한 연구』(서울대, 2000)
-주요저서: 『영혼의 길을 모순에게 묻다(헤겔 정신현상학 서문 주해)』(먼빛으로, 2010), 『반가워요 베리만 감독님(먼빛으로, 2011)』, 『불행한 의식을 넘어(헤겔 정신현상학 자기의식 장 주해)』(먼빛으로, 2012), 『지젝 라캉 영화』(먼빛으로, 2013), 『청년이 묻고 철학자가 답하다』(말, 2015), 『현대철학 아는 척하기』(팬덤북스, 2016), 『자주성의 공동체』(먼빛으로, 2017), 『우리가 몰랐던 마르크스』(먼빛으로, 2018),
번역: 프리드리히 슐레겔, 『그리스 문학 연구』(먼빛으로, 2014), 마르크스 & 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1, 2권』(먼빛으로, 2019)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수학하고 서울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정신 개념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동아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2011년 2월 명예퇴직 이후 현대사상사연구소 소장으로서 헤겔 철학과 정신분석학 그리고 마르크스주의를 연구하면서 문화 철학 및 영화 철학을 연구했다.

-박사학위 논문: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정신 개념에 대한 연구』(서울대, 2000)
-주요저서: 『영혼의 길을 모순에게 묻다(헤겔 정신현상학 서문 주해)』(먼빛으로, 2010), 『반가워요 베리만 감독님(먼빛으로, 2011)』, 『불행한 의식을 넘어(헤겔 정신현상학 자기의식 장 주해)』(먼빛으로, 2012), 『지젝 라캉 영화』(먼빛으로, 2013), 『청년이 묻고 철학자가 답하다』(말, 2015), 『현대철학 아는 척하기』(팬덤북스, 2016), 『자주성의 공동체』(먼빛으로, 2017), 『우리가 몰랐던 마르크스』(먼빛으로, 2018),
번역: 프리드리히 슐레겔, 『그리스 문학 연구』(먼빛으로, 2014), 마르크스 & 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1, 2권』(먼빛으로,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