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수의 문학은 가버릴 것으로 도래하는
가버린 것의 슬픔 앞에 속수무책의 사랑을 주문한다.” _신수정(문학평론가)
매일의 겸허한 노동-쓰기로 포개어지는 시간의 연대
문학평론가 정홍수의 세번째 평론집 『가버릴 것들을 향한 사랑』이 문학동네에서 출간되었다. 제24회 대산문학상을 안겨준 전작 『흔들리는 사이 언뜻 보이는 푸른빛』 이후 9년 만의 신작 평론집이다. “구체적인 삶의 지문(指紋)을 과하지 않은 미문(美文)에 담아”낸 “문학에 대한 희망과 믿음을 포기하지 않기에 긍정적이고 책임감 있는 평론”이라는 당시의 심사평은 그의 세번째 평론집 『가버릴 것들을 향한 사랑』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이에 더하여 작품과 작가를 향한 신실한 시선은 매일의 겸허한 노동으로서의 쓰기로 이어지고, 종내 ‘안타까움의 미학’이라고 부를 법한 특유의 비평세계를 축성하는 데 이른다.
이번 책의 제목 ‘가버릴 것들을 향한 사랑’은 정홍수 미학을 설명하는 결정적 한 문장일 것이다. 구체적 텍스트에서 삶의 구체성을 길어내 독자들의 품에 안겨주는 그의 쓰기 속에서, 이미 ‘가버린 것들’은 현재형으로 되살아나 새롭게 움트기 시작한다. 나아가, 생생한 눈앞의 삶-글에서 ‘가버릴 것들’을 움키듯 읽어내고, 미세한 떨림과 조짐에 반응하며 써내려가는 그의 글은, 과연 “속절없는 시간을 향한 문학의 안간힘이자 마지막 표정이라고 할 만하다”.(신수정) 그 시간-들의 중첩과 연대 속에서 문학은, 삶은, 사랑은 잇대어지고 또 순환하는 것이리라.
‘가버린 것들’만이 아니라 ‘가버릴 것들’이 있는 시간. 그 사이를 잇대는 사랑이라는 말. 과거의 틈입에도 열려 있지만 가버릴 시간, 아직 오지 않은 미래에도 개방되어 있는 현재를 시의 몸으로 살아간다는 것. 처음의 굴절과 상실, 가지 못한 길의 회한, 현재의 누추와 불안, 기다림과 약속의 실패, 그래서는 이미 도래한 것들의 좌절 속에서 미래를 감싸는, 그 모든 시간의 성실한 누적과 포갬으로만 가능한 어떤 세계. 그런 시간의 연대 안에서라면 시인의 말대로 “모두가 다시 일어나 새로운 시작의 힘이 되기를 기다”리는 일이 일어날 수도 있을까. 스스로도 잘 알지 못한 채로 그런 시작의 힘을 기다렸다는 생각이 들었고, 문학을 읽고 문학에 대해 쓰는 시간이 그런 사랑으로 잇대어지기를 소망해보았다. _「책머리에」에서
Contents
책머리에
1부
위기의 비평, 위기의 문학사-김윤식
삶, 말, 글의 섞임 그리고 전체를 향하여-서정인
‘다르게 말하기’의 세계-윤흥길
순진성의 경이, 그리고 사랑-김종철
개인, 시대 그리고 문학의 증언-황석영
그렇게 구체적으로 말해줘 고마워요-필립 로스
2부
단절과 침묵 그리고 ‘이어짐’의 상상력-‘문학의 정치’를 생각하며
이중의 시대착오와 사적 기억의 시간-정지돈과 심윤경
다가오는 것들, 그리고 ‘광장’이라는 신기루-황정은과 김혜진
전체로서의 현실을 열기 위해-편혜영과 윤대녕
고통의 공동체-권여선과 은희경
현실, 역사와의 대면-지난 십 년 한국 소설의 흐름
역사의 귀환과 ‘이름 없는 가능성들’의 발굴-후쿠시마 료타와 성석제
한국문학은 무엇이 되고자, 혹은 무엇이 아니고자 했는가?-그 격렬한 예로서의 1980년대
3부
다성으로 모아낸 시대의 풍경-이서수의 「미조의 시대」
무서운 의식의 드라마가 숨기고 있는 것-최윤의 「소유의 문법」
권여선 소설에 대한 세 편의 글
빛과 어둠의 원무 너머-정지아의 『자본주의의 적』
울음, 그리고 나와 너에게로 가는 길-김이정의 『네 눈물을 믿지 마』
역사로부터의 소외와 맞서는 문학의 자리-이혜경의 『기억의 습지』
진하지 않은, 얇디얇은 맛-심아진의 『신의 한 수』
잘못 울린 종소리, 새의 말을 듣는 시간-한수영의 『바질 정원에서』
모호함을 껴안는 시간-이승주의 『리스너』
마음의 접속면을 따라가는 소설의 시선-김금희의 『경애의 마음』
파르마코스, 속죄양/구원자의 발명-이승우의 『독』
지하실의 어둠, 혹은 기계체조 인형과 함께 남은 시간-고영범의 『서교동에서 죽다』
‘세상에서 가장 비싼 소설’을 기다리며-김민정의 『홍보용 소설』
여성적 살림의 세계와 기다림의 강물-김홍정의 『금강』
타자의 자리를 묻다-오수연의 『부엌』
4부
‘바다’와 ‘아이’가 동행하는 ‘형이상학적 서정’의 깊이-장석의 『해변에 엎드려 있는 아이에게』
서성임, 가버릴 것들을 향한 사랑-최정례
화엄을 잃고 사랑의 길에서-박철의 『없는 영원에도 끝은 있으니』
먼 곳에서부터 먼 곳으로-황규관의 『리얼리스트 김수영』
반딧불이를 따라가는 네오 샤먼-임우기의 『네오 샤먼으로서의 작가』
한국문학 비평의 ‘재장전’-강경석의 『리얼리티 재장전』
Author
정홍수
1963년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대 국문과를 졸업했다. 1996년 『문학사상』 신인상에 평론이 당선되며 비평활동을 시작했다. 평론집 『소설의 고독』 『흔들리는 사이 언뜻 보이는 푸른빛』, 공편저로 『소진의 기억』이 있다. 2016년 대산문학상을 수상했다.
1963년 부산에서 태어나 서울대 국문과를 졸업했다. 1996년 『문학사상』 신인상에 평론이 당선되며 비평활동을 시작했다. 평론집 『소설의 고독』 『흔들리는 사이 언뜻 보이는 푸른빛』, 공편저로 『소진의 기억』이 있다. 2016년 대산문학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