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하고 존경스러운 것을 사랑하는 것은 쉽고도 쉬운 일이다.
경멸의 대상을 사랑하는 것이야말로 진짜 사랑, 진짜 윤리이다.”
인간과 문학과 시대를 거듭 끌어안는 우정으로서의 문학-장(場)
문학평론가 서영채의 네번째 평론집 『우정의 정원』이 문학동네에서 출간되었다. 2012년 세 번째 평론집 『미메시스의 힘』 이후 꼬박 10년 만의 평론집이다. 한국문학장의 버팀목과 같은 존재이자, 다정한 목소리로 인문학으로 안내하는 길잡이인 평론가 서영채. 그가 길잡이가 되어 불을 밝히고 또 헤쳐나간 문학의 궤적이 한국문학의 이정표에 다름 아님을 독자들은 이번 책을 통해 더욱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논리는 가볍게, 느낌은 단단하게, 문장은 부드럽게. 과연 ‘서영채라는 수사학’이라고 표현해도 좋을 그의 특장의 글쓰기는 문학을 닮아 그리고 글쓴이를 닮아 여전히 품이 넓고 나긋나긋하다.
이번 책의 제목 ‘우정의 정원’은 에피큐리언들의 공동체를 뜻하는 ‘케포이필리아(Kepoi-philia)’에서 왔다. 이는 “낙천적인 유물론자들의 생활공간”이자, 이곳에서의 우정은 “함께 농사지으며 지식을 몸으로 탐구하는 공동체의 공기”(「우정의 정원」)와 같은 것이라 작가는 말한다. 그의 표현을 빌려 “한 발 더 나아가자면”, 지난 30여 년간 서영채가 만들고 쓴 수많은 ‘지음’ 속 만난 이들이 모두 우정의 상대였음을, 그들과 만나 함께 만들어나간 장(場)의 또다른 이름이 바로 정원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으리라. 서영채가 10년에 걸쳐 가꾼 이 우정의 정원 속에는 잎이 울울한 아름드리 거목에서부터 갓 연둣빛 잎을 보이기 시작한 신예에 이르기까지, 다채롭고도 이채로운 면모로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Contents
책머리에
1부
이 희미한 삶의 실감
죽음의 눈으로 보라-고전을 읽는다는 것
1990년대, 시민의 문학-『문학동네』 100호에 즈음하여
충동의 윤리-“실패한 헤겔주의자” 김윤식론
재난, 재앙, 파국-기체 근대와 동아시아 서사
인물, 서사, 담론-문학이 생산하는 앎
2부
관조의 춤사위-복거일의 『한가로운 걱정들을 직업적으로 하는 사내의 하루』에 관한 몇 가지 생각
2019년 가을, 은희경에 대해 말한다는 것
스피노자의 비애-다소곳한 이야기꾼 정소현에 관하여
박화성, 목포 여성의 글쓰기
한글세대 이청준의 미션
3부
순하고 맑은 서사의 힘-최은영의 『쇼코의 미소』
신진기예 백수린의 작가적 가능성-백수린의 『폴링 인 폴』
무서운 사랑의 미메시스-이승우의 『사랑이 한 일』
이 집요한 능청꾼의 세계-성석제의 『이 인간이 정말』
이문구, 고유명사 문학-이문구의 『공산토월』
4부
2022년 여름, ‘K-’ 시대와 한국문학
루카치 『소설의 이론』 세 번 읽기
텍스트의 귀환-『무정』 『금색야차』 『적과 흑』을 통해 본 텍스트 생산의 주체와 연구의 윤리
국학 이후의 한국문학사와 세계문학-조동일의 작업을 중심으로
우정의 정원
Author
서영채
1961년 목포에서 태어났다. 현재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비교문학 협동과정에서 문학과 이론을 강의한다. 한신대학교 문예창작학과에서 17년간 일했고, 1994년 계간 『문학동네』를 창간하여 2015년까지 편집위원을 지냈다.
『소설의 운명』 『사랑의 문법』 『문학의 윤리』 『아첨의 영웅주의』 『미메시스의 힘』 『인문학 개념정원』 『죄의식과 부끄러움』 『풍경이 온다』 『왜 읽는가』 등을 썼다. 고석규비평문학상, 소천비평문학상, 팔봉비평문학상, 올해의 예술상 등을 수상했다.
1961년 목포에서 태어났다. 현재 서울대학교 아시아언어문명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비교문학 협동과정에서 문학과 이론을 강의한다. 한신대학교 문예창작학과에서 17년간 일했고, 1994년 계간 『문학동네』를 창간하여 2015년까지 편집위원을 지냈다.
『소설의 운명』 『사랑의 문법』 『문학의 윤리』 『아첨의 영웅주의』 『미메시스의 힘』 『인문학 개념정원』 『죄의식과 부끄러움』 『풍경이 온다』 『왜 읽는가』 등을 썼다. 고석규비평문학상, 소천비평문학상, 팔봉비평문학상, 올해의 예술상 등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