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신인’이라는 평가에 맞춤한” “붉은 불꽃보다 더 뜨거운 파란 불꽃으로 문학을 향해 돌진”(평론가 김미현)하는 평론가 강지희의 첫 책이 문학동네에서 출간되었다. 2008년 조선일보에 한강론이 당선되면서 비평활동을 시작한 강지희의 꼬박 15년의 기다림 끝에 도착한 귀하고도 반가운 첫 평론집이다. 한국문학장의 최전선에서 쉴 결 없이 활동해온 한 젊은 비평가의 단행본이 이제야 당도한 데는 텍스트의 수많은 결을 헤아리고 오래도록 깊이 사랑하는 작가의 고심이 자리하는 한편, 2010년대 중반부터 우리를 덮치며 범람한 ‘페미니즘 리부트’와 ‘촛불혁명’을 통과하며 “낭만주의의 껍데기가 깨어져 나간 자리에서 모든 것이 새롭게 다시 읽”(6쪽)히는 전회의 국면을 온 몸과 마음을 다해 맞이한 연유도 있을 것이다.
강지희의 글은 한 여성 비평가가 21세기 한국과 한국문학에, 누구보다 섬세한 지진계로서 먼저 진동하고, 함께 읽고, 내외부의 흔들림에 충실히 감응하는 방식으로 쓰였다. 『파토스의 그림자』는 동시대 한국문학의 첨단에서 시대의 아픔에 공명하고, 관성적인 낙관에 저항하며, 예기치 못한 절망 속에서도, 기어이 되살아나는 아름다운 생명체처럼 가까스로의 빛과 그림자에 의지해 써내려간 기록이기도 하다. 결코 “소유되거나 통제되지 않는 그림자의 자유로움”(10쪽)으로 하여금 “단정한 에토스”에 포섭되는 대신 “날 선 파토스”(8쪽)로 이행하며 새롭게 써내려간, 여성 문학사의 끝과 시작을 한데 품은 『파토스의 그림자』. 그의 글은 보편으로 환원되지 않는 개별자를 조명하고, 광장에서조차 탈락한 소수자와 함께하는 방식으로, 동시대 문학을 발견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발명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파토스는 번개처럼 등장해 에토스를 깨뜨려버렸다. 기존의 믿음들이 비틀리고 부서지는 것은 두려운 일이지만, 그렇게 찾아온 세계의 공백은 받아들이는 자에 따라 해방의 계기가 되기도 한다. 파토스는 그저 고통스러운 파국과 균열을 만드는 데 그치지 않고, 근본적인 지점에서 역동성과 활기와 함께 효과적인 행동의 동력을 제공한다. _「책머리에」(7쪽)
Contents
책머리에
1부 번뜩이는 천 개의 눈
이 밤이 영원히 밤일 수는 없을 것이다
광장에서 폭발하는 지성과 명랑-2017년 촛불혁명 이후, 미투 운동이 시작되는 광장에서
관조가 아닌, 연루됨을 위해-미투/위드유
2000년대 여성 소설 비평의 신성화와 세속화 연구-배수아와 정이현을 중심으로
경계 위에서-1990년대를 이어가는 여성 문학의 자리
찢어진 광장이라고 쓸 때-윤이형의 『작은마음동호회』
분노의 정동, 복수의 정치학-세월호와 미투 운동 이후의 문학은 어떻게 만나는가
2부 불협화음으로 춤추는 여성들
투명한 밤과 미친 여자들의 그림자-여성 스릴러의 가능성
영원한 샤먼의 노래-배수아의 『뱀과 물』
처음에는 오필리아로, 다음에는 세이렌으로-강화길의 「호수-다른 사람」
잔존의 파토스-김금희의 『너무 한낮의 연애』
끝내 울음을 참는 자의 윤리-최은영의 『내게 무해한 사람』
키클롭스의 외눈과 불협화음의 형식-박민정의 『아내들의 학교』
파열하며 새겨지는 사랑의 탄성-최은미의 『눈으로 만든 사람』
3부 광장을 산책하는 언어
극복되지 않는 몸-퀴어링과 크리핑이 교차하는 자리에서
멜랑콜리 퀴어 지리학-박상영의 『대도시의 사랑법』
세상의 모든 존재들에게, 우산을-황정은의 『디디의 우산』
두 번의 농담과 경이로운 미래-김지연의 『마음에 없는 소리』
풍경-아카이브를 걷는 사람-김봉곤의 『시절과 기분』
동시대성을 재감각하기
4부 환상의 불꽃놀이
환상이 사라진 자리에서 동물성을 가진 ‘식물-되기’-한강의 『채식주의자』
빛을 향해 가는 식물의 춤-한강의 『내 여자의 열매』
구멍 뚫린 신체와 세계의 비밀-신유물론과 길항하는 소설 독해
달의 뒷면, 이형(異形)의 윤리-윤이형론
진화하는 야만이 그대를 부른다-황정은의 『야만적인 앨리스씨』
낭만적 거짓과 잉여적 진실-윤고은의 『알로하』
빛을 선물한 신, 인간이 도달한 어둠-정미경론
당신은 빚지고 있습니까-〈오징어 게임〉과 〈더 체어〉를 겹쳐 읽으며
Author
강지희
1986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으며, 2008년 조선일보를 통해 평론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현재 계간 『문학동네』 편집위원이며 한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1986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으며, 2008년 조선일보를 통해 평론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현재 계간 『문학동네』 편집위원이며 한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