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4월 15일, 전 국민을 충격으로 몰아넣은 ‘세월호’의 비극이 발생한 날이다.
여전히 의문과 의혹은 풀리지 않은 채로 비극은 현재진행형이다. 이 날의 충격은 사람들뿐만 아니라 언론계에도 영향을 끼쳤다. 모든 언론사들이 속보 및 특종 경쟁을 펼쳤다.그러나 서로 제일 빠르다는 경쟁이 오보와 거짓, 허위 등으로 밝혀져 사람들을 다시금 충격에 빠지게 했다.
그로부터 정확히 1년 후,
2015년 4월 15일 JTBC 뉴스룸에선 고인이 된 성완종 씨의 육성이 생방송으로 흘러나왔다. 이미 [경향신문]이 다음날 오전, 성완종 씨의 녹취록 전체를 공개하겠다고 밝힌 상황에서 JTBC의 석연치 않은 녹취록 입수와 공개는 국민의 알권리와 언론 윤리, 지나친 특종 경쟁 등 다양하게 얽힌 생각거리를 우리에게 던져주었다.
1년 사이에 우리에게 벌어진 두 사건으로 인해 언론에 대한 신뢰와 어디까지 뉴스를 믿어야하나, 국민들은 혼란에 빠졌다. 뉴스는 공정해야만하고, 편파는 있어선 안 되는 것이 맞지만 작금의 현실은 이 모든 것을 혼란에 빠지게 했다. 사람들이 뉴스를 더 이상 무비판적으로 소비 당하는 것이 아닌 적극적으로 소비해야만 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
Contents
프롤로그 ‘진실 보도’로 연결되지 않는 자기반성, 자위행위일 뿐!
1장 신문을 읽어드립니다
| 신문 판갈이에 속지 마라 | 민감한 대형 이슈는 금요일 오후에 터뜨려라
| 수도권과 지방 뉴스는 내용이 다르다 | 기자도 때로는 소설을 쓴다 | 가판으로 간을 본다 | 인터넷 신문에 마감이란 없다 | 어뷰징으로 검색을 장악하라 | 파란닷컴의 출몰, 스포츠 신문사의 엄청난 오판
| 21세기 마감은 과거와 다르다 | 구호뿐인 디지털 퍼스트, 언론의 미래는 암울하다
| 광고 자본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기사 | 자본과 권력 편에 서는 전형전인 디지털 라스트 전략 | 트렌드를 반영 못하는 현재의 시청률 산정 방식 | 뉴스 화면을 구해라
| 시청률이 잘 나오는 사건 사고 뉴스를 늘려라 | 방송사 지배 구조를 보면 통제 및 규제의 답이 나온다 | 권력으로부터 완벽히 독립하라 | 대통령이 생사를 쥔 인사권 | 징계+감시+통제
2장 MBC를 읽어드립니다
| 엠본부의 역사 | MBC가 망가진 이유 | 징계받을까봐 무섭다
3장 SBS를 읽어드립니다
| SBS의 세습 경영 | SBS가 MBC, KBS에 비해 개념 방송? | 이대로라면 SBS의 미래도 어둡다
4장 종편을 읽어드립니다
| 지상파 방송을 장악하는 것이 임무 | 종편의 사기 행각
| 비용이 적게 드는 방송 비율을 높여라 | 콘텐츠 경쟁력은 말뿐인 종편
| 프로그램이 방송사보다 우선인 콘텐츠의 시대
| 손석희로 이미지 개선된 JTBC의 한계 | 성완종 파문과 JTBC
| 정권이 바뀌면 이런 식의 종편은 위태롭다 | 종편의 미래
| 종편 뉴스를 보기 전, 조중동 사주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라
| 공정 보도의 방패막이가 없는 종편 | 족벌 체제로 움직이는 조중동
| 더 이상의 특혜를 바라지 마라
5장 경제 신문을 읽어드립니다
| 철저하게 기업친화적인 한국의 경제 신문 | 기업의 광고로 생존하는 신문 시장
| 전경련의 대변인인 〈한국경제〉 | 경제적 이해관계에 따라 제작되는 경제 신문
6장 〈한겨레〉, 〈경향신문〉을 읽어드립니다
|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진보 매체들 | 삼성, 광고로 언론을 쥐락펴락하다
| 점점 약해지는 내부 비판 시스템 | 광고가 없으면 신문사 운영이 안 된다
| 비판으로만 그치지 말자 | 폐쇄적인 언론 문화가 개선되어야 한다
| 지배 구조를 보면 언론사의 건강도가 보인다 | 진보 언론의 위기가 언론의 위기다
| 대안 언론도 함께 가는 동반자다 | 엘리트 의식에 빠지기 쉬운 주류 언론
7장 대안 언론을 읽어드립니다(뉴스타파, 국민TV, 고발뉴스 등)
| 누구든 비판할 수 있는 자세가 중요하다 | 공정하게 편파적인 것이 가장 공평한 것
| 대중과 진솔하게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