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자들이 가진 미학적 윤리와 정치적 올바름 사이의 긴장을 이해하는 비평가.” _천희란(소설가)
“문학을 잘 몰라도, 평론의 언어에 익숙하지 않아도,
삶에 대한 의심으로 시작할 수 있는 문학평론집”
문학평론가 이지은의 『소셜 클럽』이 문학동네에서 출간되었다. 2015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비평활동을 시작한 그의 첫 평론집이다. “말하기를 두려워하고 두려운 말을 하겠습니다”(당선 소감)라는 묵직한 소회로 포문을 연 그의 지난 9년은, 한국문학장의 적소에 적재(摘載)하는 작업을 선보이는 날들이었다. 인간과 텍스트에 관한 지극한 이해와 공감에서 비롯한 혜안, 눙치지 않는 단단한 논리로 하여금 ‘코어’가 있는 비평을 써온 이지은. 『소셜 클럽』은 그의 첫 책이지만 일가를 이루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을 만큼 견고한 개성으로 축조되었다. 더불어 이 책은 기존의 평론집과 사뭇 다른 지점을 향해 기획되고 만들어졌다. 차라리 소설책에 가까운 판형으로, 오직 사회적 문제의식이 드러난 ‘주제론’만으로 묶은 『소셜 클럽』은 첫 평론집으로는 적이 다정한 파격을 감행했다.
제목 ‘소셜 클럽’은 ‘소설(小說)’을 ‘사회적인(social)’ 시각으로 ‘함께’ 읽어보자는 취지로 지어졌다. 세월호 사건, 페미니즘 리부트, 촛불 혁명 등을 거치며 2010년대에는 한국사회뿐 아니라 한국문학장 역시 돌이킬 수 없는 전회의 순간을 맞이했다. 광장과 책장을 넘나들며 치열하게 고민했던 페미니즘, 청년/공정/지방 담론, 역사부정론과 같은 요목들을 두루 성찰하며, 저자는 한국소설을 통해 우리의 삶의 조건과 그것을 은폐하는 이데올로기를 비판적으로 살펴보는 데 할애했다. 경직된 비평 언어나 수사적 향연을 지양하고, 요긴하다기보다 적실한 주제와 텍스트로, 문학과 사회의 불편하지만 흥미로운 진실을 함께 향유하고자 한다. 소설과 소셜이 포개어지는 넉넉한 광장, 문턱도 엄격한 가입 절차도 없는 『소셜 클럽』으로 여러분을 초대한다.
문학이 포착하는 삶의 조건을 드러내어 그 조건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과 함께 고민을 나누고 싶었다. 한쪽에는 역사가, 한쪽에는 동시대 사회가 버티고 있었지만, 나에게는 둘 모두 문학의 영역 안에 있는 것이었다. 여기서 말하는 문학은 구체적으로 세계와 자아의 갈등을 다루는 소설을 의미하는 것이니, 결국 ‘삶’을 중심에 두고 역사와 사회를 오갔다고 할 수 있겠다. (…) 이런 물음들은 나에게 문학과 삶의 연결고리가 되어주었고, 구체적인 삶을 재현하는 오직 문학의 언어만이 포착할 수 있는 삶의 진실에 대해 골몰하게 만들었다. 그리하여 삶을 모순덩어리로 만들어내는 권력의 구조, 그리고 그 속에서 느끼는 감정들. 그것을 해명하는 데 많은 글을 쓰게 되었다. _「책머리에」에서
Contents
책머리에
광장(廣場)과 책-장(冊-場)-황정은의 ‘dd’ 연작과 2010년대의 아카이빙
착한 당신에게 말을 건넵니다.-최근 소설들의 ‘선한’ 물음에 답하며
고유명사가 대명사가 되는 순간-김숨의 『L의 운동화』와 백남기
음모론의 품격
청년 서사의 모색과 한계
‘지방-여성’의 장소는 어디인가
구직-해직의 사이클(cycle)과 연작소설(short story cycle)-이기호의 『눈감지 마라』와 비정규직 장편소설의 불가능성
코그니타리아트(cognitariat)의 블로그
남편과 사파리 파크와 ‘산 자들’
재생산노동력의 상품화와 여성 연대의 곤경-장류진의 「도움의 손길」에 부치는 주석
감염병의 사회적 형식과 돌봄의 탈가족주의
그녀의 ‘진정한’ 이름은 무엇인가-나나
The Vampire Writes Back
여성 재현의 ‘몫’을 묻다
역사적 존재의 탈역사화, 그 ‘불공정’함에 대하여-‘램지어 사태’와 『파친코』 열풍에 대한 비판적 고찰
에일리언 캠프(alien camp)의 지구인들
슬픔의 ‘이곳’에서
다른 세계로
Unreleased Track
두 번의 파묘와 남은 것들
Author
이지은
2015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평론부문에 당선되어 비평활동을 시작했다. 국어국문학을 전공했으며, 서울대학교에서 「일본군 ‘위안부’ 서사 연구」(2023)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학에서 문학과 글쓰기 강의를 하고 있다.
2015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평론부문에 당선되어 비평활동을 시작했다. 국어국문학을 전공했으며, 서울대학교에서 「일본군 ‘위안부’ 서사 연구」(2023)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학에서 문학과 글쓰기 강의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