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술혁신의 사회ㆍ정치적 측면과 기술적ㆍ경제적 측면을 통합하는 하나의 시도이다. 현실의 기술혁신과정에서는 기술의 사회적 구성과정과 기술지식의 축적과정이 동시에 일어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서는 기술선택의 정치적 과정을 다루는 기술사회학적 논의들과 기술학습을 다루는 경제학적 논의들을 통합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고 그것을 구체적인 기술혁신과정에 적용해서 기술정치와 기술학습의 상호작용을 분석했다. 사례분석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이동통신기술개발 과정을 선택했다.
현재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각각 세계 3위, 5위의 생산업체가 되면서 국내 및 국외에서 휴대전화 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의 연구들이 주로 하나의 관점에 서서 기술선택이 이루어지는 정치적 과정만을 살펴보거나 또는 후발국적 상황에서 기술추격을 수행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서 연구를 수행했는데, 이 두 가지 접근들을 통합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Contents
제 1 장 서 론
제1절 문제의 제기
제2절 연구의 대상과 방법
1. 연구의 대상
2. 연구의 방법
제 2 장 선행연구의 검토와 개념적 틀
제1절 선행연구의 검토
1. 기술의 사회적 구성: 기술사회학적 접근
2. 기술과 조직?제도의 상호작용: 조직론적 접근
3. 기술정책과 기술선택: 정치학적 · 정책학적 접근
4. 기술학습과 국가혁신체제: 기술경제학적 접근
제2절 개념적 틀
1. 개념 정의
2. 개념적 틀
제 3 장 우리나라 이동통신산업의 발전과정과 특성
제1절 이동통신산업의 특성과 기술발전과정
1. 이동통신산업의 특성
2. 이동통신산업의 기술발전과정
제2절 우리나라 이동통신산업의 특징
1. 한국이동통신산업의 현황
2. 이동통신산업의 발전과정
제 4 장 디지털 이동전화 기술개발과 상용화 사례분석(1989~1995)
제1절 이동전화 기술개발을 둘러싼 환경
1. 통신산업 정책기조의 변화: 국가독점에서 자유화로
2. 이동전화서비스 수요 급증과 장비산업 기술의 취약
제2절 기술공급정책의 전개: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1. 체신부의 기술공급정책과 그 효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과 CDMA기술공동체의 형성
2. 제2사업자 선정과 이동통신기술개발을 둘러싼 논쟁
3. 상공자원부의 기술공급정책과 효과: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과 GSM기술공동체의 형성
제3절 기술채택정책의 전개: 국가표준의 설정
1. 체신부의 기술채택정책: 제2사업자 선정연기와 CDMA방식의 국가표준화
2. 기술채택정책의 정치과정: CDMA방식 국가표준 채택의 정치과정
3. 기술채택정책의 효과
4. 신규사업자 선정과 국가표준 수용을 둘러싼 갈등
제4절 기술공동체의 형성?발전과 기술학습
1. CDMA, GSM기술개발사업의 개괄
2. 기술공급정책과 CDMA공동체의 기술학습
3. 기술채택정책과 CDMA공동체의 기술학습
4. 기술정책과 GSM공동체의 기술학습
제5절 종합: 이동전화 기술개발의 기술정치와 기술학습
1. 이동전화 기술개발의 기술정치
2. 기술정치와 기술학습
제 5 장 PCS기술개발과 상용화 사례분석(1994~1997)
제1절 PCS기술개발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
1. 제2차 통신산업 구조조정
2. 신규서비스로서 PCS의 도입
제2절 체신부의 기술정책
1. 체신부의 기술정책
2. 기술정책의 효과: 이동전화 기술공동체의 PCS기술공동체로의 확대 · 발전
제3절 PCS 국가표준 결정의 정치과정
1. ‘PCS표준화 추진위원회’의 설치
2. PCS표준논쟁의 전개
3. PCS표준결정의 정치과정과 효과
제4절 종합: PCS기술개발의 기술정치와 기술학습
1. 민간주도의 기술정책과 기술학습
2. 표준결정과 기술학습
3. 이동전화 CDMA/GSM기술개발사업의 효과
제 6 장 종 합
제1절 기술정치의 과정과 효과에 대한 가설들
1. 기술정치과정의 맥락과 패턴
2. 기술정치의 패턴과 기술정치의 효과
3. 기술정치와 지배적 설계
제2절 기술정치와 기술학습의 관계에 대한 가설들
1. 기술정치가 기술학습에 미치는 영향
2. 위기와 기술학습
제 7 장 결 론
제1절 연구의 의의
1. 이론적 의의
2. 실천적 의의
참고문헌__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