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몇 가지 독일어문학 작품에 대한 개론서. 저자가 소개하듯, 독자들이 보다 높은 수준에서 문학을 “즐기면서 비판할 수 있고 비판하면서 즐길 수 있게” 될 때, 또 자신의 독서 경험을 구두로나 문서의 형태로 설득력 있게 전달할 수 있을 때 문학읽기의 정수에 닿을 수 있을 것이다. 진정한 독서란 즐기거나 평가하는 것 이상이며 감정이입적으로 추체험하는 방식이든, 작품의 핵심을 짚고 정곡을 찌르며 공감을 하는 방식이든 또는 자기 나름으로 작품을 재구성하는 방식이든, 독자는 문학작품 그 자체를 새롭게 창조해내는 형태로 읽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문예학적 수단과 방법들을 체계적으로 소개하고자 하는 이 책은 독일문예학의 여러 가지 대상 영역과, 문학 이론 및 문학 연구 방법론 그리고 문예학상의 각종 용어들을 특정 방법론이나 이론에 치우침이 없이 비교적 중립적으로 설명한다.
Contents
머리말
1. 문학과 문예학
1.1. 용어와 개념
1.2. 기초적 문제제기와 기본개념들
1.3. 문학적 의사소통
1.4. ‘문학’ 개념의 변천
1.5. 텍스트 비평과 간행
2. 독일문학사
2.1. 용어의 문제: ‘시대’의 개념
2.2. 고대 문학
2.3. 중세 문학
2.4. 르네상스,인문주의,종교개혁 시대
2.5. 바로크 문학
2.6. 계몽주의 문학
2.7. 슈투름 운트 드랑
2.8. 고전주의
2.9. 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사이
2.10. 낭만주의
2.11. 사실주의 문학
2.12. 자연주의
2.13. 세기전환기의 독일문학
2.14. 표현주의
2.15. 바이마르 공화국과 제3제국 시대의 문학
2.16. 1945년부터 통독까지의 독일문학
2.17. 통독 이후의 독일문학
3. 장르론
3.1. 용어의 문제: 여러 가지 장르개념
3.2. 장르론의 역사
3.3. 서정문학
3.4. 서사문학 또는 서술적 산문
3.5. 극문학
4. 수사학과 문체론
4.1. 문체론과 시론의 중요 개념
4.2. 수사학과 시론
4.3. 수사학의 역사
4.4. 수사학의 체제
4.5. 수사학과 문체론
5. 문학과 상호매체성
5.1. 방법론과 기본개념
5.2. 문학과 조형예술
5.3. 문학과 음악
5.4. 종합예술작품
5.5. 문학과 영화
5.6. 문학과 라디오
6. 문학이론 및 연구방법론
6.1. 독일문예학사 개관
6.2. 독일문예학의 성립
6.3. 실증주의적 문학이론
6.4. 정신사적 연구 방법
6.5. 국수주의?민족주의 문학이론
6.6. 작품 내재적 해석 이론
6.7. 수용미학과 텍스트사회학
6.8. 정신분석학적 문예학
6.9. 구조주의?후기구조주의?해체주의
6.10. 문학의 사회사 또는 문학사회학
6.11. 담론분석 이론
6.12. 체계이론
6.13. 매체학적 문학이론
6.14. 문화학적 문예학
7. 문예학 논문 작성법
7.1. 논문의 성격과 종류
7.2. 주제 선정과 자료 수집
7.3. 논문의 형식적?체제적 구성 요소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