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이 책에서 조선 후기 북학파의 화이일론(華夷一論)적 세계관과 관련하여 유학의 화이사상을 종교성, 윤리성보다는 중세국제이데올로기라는 차원에서 다루고 있다. 그럼으로써 한국의 도덕철학의 원형인 유학적 가치를 객관화하려고 한다.
화이사상은 종래의 비합리적이고 비과학적인 천원지방?천동지정의 우주관과 세계관에 기반한 것이다. 사실 잘못된 이념은 어떤 권위의 요청에서 비롯되며 그 권위는 역사적으로 끊임없이 비호되기 마련이다.
북학파의 화이일론의 현대적 의미는 이러한 문화강권주의에 대한 억제와 저항에 있다고 하겠다. 화이일론이 과거의 전통 시대에는 특권적 중심 문화를 향한 소외된 주변 문화의 권리찾기였다면, 이제 그것은 우리는 하나라는 상호 동일성의 평화공존의식이라 할 것이다. 이 책에서 독자는 북학파의 화이일사상이 현대의 반강권화를 위한 우리 민족의 소중한 비판적 문화 유산임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Contents
글을 쓰게 된 취지
첫째 마당
들어가는 말
둘째 마당
북학사상의 형성 요인
셋째 마당
조선후기 존화양이적 대청의식
1. 화이의 개념과 변천
2. 북벌론과 문화자존의식
넷째 마당
북학파의 화이일론적 세계관
1. 철학적 토대
1) 낙학과 북학의 사상적 계기
2) 서구 과학사상의 영향
2. 중세 화이론의 극복
1) 홍대용의 경우
2) 박지원의 경우
다섯째 마당
북학파의 주체의식과 북학의 현실구현론
1. 근대 지향적 민족주체의식의 각성
1) 홍대용의 자주적 역사?대외 인식
2) 박지원의 주체적 영토관과 문학관
2. 북학의 현실구현론
1) 문정분리론
2) 학화양이론
여섯째 마당
맺는 말
參考文獻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