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도시개발, 길을 잃다

대형 개발에 가려진 진실과 실패한 도시 성형의 책임을 묻다
$14.90
SKU
9788952762924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1/09/14
Pages/Weight/Size 148*210*20mm
ISBN 9788952762924
Description
제대로 된 방향성조차 없이 추진되고 있는
대형 개발의 문제점을 생생하게 고발하는 현장 리포트!


로운 환경과 깨끗한 도시 그리고 미래발전적인 거주민들의 변화 등을 내걸고 진행되었던 대형 개발 사업들이 왜 실패를 거듭하는지에 대한 단순한 지적과 비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해법과 대안을 국내외의 성공사례를 토대로 꼼꼼히 짚어내고 있다. 제대로 진척조차 되지 못하고 있는 용산국제업무지구, 돈 없는 사람들은 결코 살 수 없는 뉴타운, 텅 빈 공간으로 허비되고 있는 가든파이브까지… 또다시 겪어서는 안 될 시행착오를 막기 위해 반드시 지나쳐서는 안 될 부분을 이야기하고 있다.

모두가 놀랄 만큼 거대한 투자와 규모로 진행되고 있는 이 프로젝트들이 모두가 놀랄 만큼 부실하게 진행되고, 관리되고 있다는 충격에 앞서 저자는 우리의 도시 개발이 ‘건물과 기업’을 위한 것인지 ‘도시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을 위한 것인지 근본적인 것부터 돌아봐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결국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이 바로 ‘도시’이기 때문이다.
Contents
프롤로그 | 선장 없이 떠난 항해의 결말

제1장
도시 개발, 무엇이 문제인가?
디벨로퍼가 없는 부동산 개발 사업
부동산 사업 참여자들 간의 이해 충돌
디벨로퍼의 자금조달 능력: 자산투자자의 부재
선진국의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다른 국내 프로젝트 파이낸싱
장기 투자자의 부재: 임대보다는 분양만 고수하는 부동산 전략
건설, 건설, 건설 : 짓기만 하면 도시는 완성된다?
* 왜 디벨로퍼인가? 제임스 라우즈와 모리 미노루

제2장
실패한 도시 성형, 용산국제업무지구
섣부른 개발 계획
공익의 가치는 존재하는가?
부동산 시장 분석의 실패
공공 디벨로퍼의 필요성: 보스턴 재개발청의 교훈
* 한강르네상스 계획 : 누구의, 누구를 위한 개발인가?

제3장
돈 없는 당신은 뉴타운에서 살 수 없다.
뉴타운 개발: 서울시의 5퍼센트 광폭 개발
갈수록 드러나는 뉴타운 개발의 문제점
공공관리자제도의 등장과 한계
미국 주택 재개발 정책의 교훈
* 비영리 커뮤니티 개발회사

제4장
부동산 전략의 유무가 가른 희비, 타임스퀘어와 가든파이브
장기적 비전과 치밀한 전략: 타임스퀘어
일방적 개발과 무능한 만용: 가든파이브
타임스퀘어와 가든파이브, 무엇이 다른가?
* 중국의 ‘상하이 신천지’

제5장
뉴패러다임 : 공공민간협동개발
PPD 탄생의 시대적 배경: 중심 도시 다운타운의 몰락
PPD의 등장
PPD 참여 주체: 공공 조직과 민간디벨로퍼 그리고 지역 커뮤니티
PPD 개발 과정
PPD 도시 재개발 사례: 뉴욕 배터리 파크 시티 개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

에필로그 |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이 도시다
Author
김경민
서울대학교 지리학 학사, UC 버클리 정보시스템 석사를 거쳐 하버드대학교에서 도시계획·부동산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보스턴 소재의 상업용 부동산 리서치회사 PPR에서 오피스 가격 예측 모형을 구축하고 글로벌 부동산을 연구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빅데이터 기반 부동산 시장 분석, 글로벌 오피스 비교, 공공민간협동개발 등이다.

지은 책으로는 빅데이터로 부동산 시장을 해부하고 미래 가격을 정확히 예측한 ≪부동산 트렌드 2022≫, ≪2020 부동산 메가트렌드≫, 도시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한 ≪도시개발, 길을 잃다≫, 익선동의 가치를 재조명한 ≪리씽킹 서울≫, 북촌을 개발한 기농 정세권 선생을 다룬 ≪건축왕, 경성을 만들다≫ 등이 있다.

대한민국 최고의 부동산 전문가로서 부동산 입문자와 투자자의 든든한 안내자 역할을 해온 김경민 교수는 하버드 박사를 의미하는 ‘하박’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각종 미디어에서 종횡무진 활동 중이다. 출연한 프로그램으로는 EBS의 〈비즈니스리뷰〉, 〈클래스e〉, MBC의 〈100분토론〉, 부동산 파일럿 〈돈벌래〉, tvN 〈미래수업〉, 유튜브 채널 ‘삼프로TV’ 등이 있다. 또한 유튜브 채널 ‘김경민의 노트’와 부동산 오픈데이터 플랫폼 ‘부트캠프’를 통해 누구나 쉽게 시장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부동산 정보 공유를 위해 힘쓰고 있다.
서울대학교 지리학 학사, UC 버클리 정보시스템 석사를 거쳐 하버드대학교에서 도시계획·부동산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보스턴 소재의 상업용 부동산 리서치회사 PPR에서 오피스 가격 예측 모형을 구축하고 글로벌 부동산을 연구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빅데이터 기반 부동산 시장 분석, 글로벌 오피스 비교, 공공민간협동개발 등이다.

지은 책으로는 빅데이터로 부동산 시장을 해부하고 미래 가격을 정확히 예측한 ≪부동산 트렌드 2022≫, ≪2020 부동산 메가트렌드≫, 도시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한 ≪도시개발, 길을 잃다≫, 익선동의 가치를 재조명한 ≪리씽킹 서울≫, 북촌을 개발한 기농 정세권 선생을 다룬 ≪건축왕, 경성을 만들다≫ 등이 있다.

대한민국 최고의 부동산 전문가로서 부동산 입문자와 투자자의 든든한 안내자 역할을 해온 김경민 교수는 하버드 박사를 의미하는 ‘하박’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각종 미디어에서 종횡무진 활동 중이다. 출연한 프로그램으로는 EBS의 〈비즈니스리뷰〉, 〈클래스e〉, MBC의 〈100분토론〉, 부동산 파일럿 〈돈벌래〉, tvN 〈미래수업〉, 유튜브 채널 ‘삼프로TV’ 등이 있다. 또한 유튜브 채널 ‘김경민의 노트’와 부동산 오픈데이터 플랫폼 ‘부트캠프’를 통해 누구나 쉽게 시장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부동산 정보 공유를 위해 힘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