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라 다카시

평민 재상의 빛과 그림자
$10.58
SKU
978895224076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2 - Mon 04/2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4/17 - Mon 04/2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8/30
Pages/Weight/Size 120*190*20mm
ISBN 9788952240767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일본 정당정치의 상징이자
식민지 통치의 설계자 하라 다카시,
한국의 시선에서 그를 분석한다

식민지 관제의 설계자, 3·1 운동 당시 일본 수상으로 돌아오다
명실상부한 정당내각과 보통선거 시기상조론의 모순
식민지 무관총독제 폐지와 ‘내지연장주의’의 본질

외무성 통상국장으로서 1892년 조선 출장, 청일전쟁 후 외무차관으로서 조선총독부 관제의 기본 틀이 되는 타이완총독부 관제 제정에 참여, 1896년 조선공사 역임 등, 하라 다카시만큼 식민지 이전의 한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온 사람도 드물 것이다. 이토 히로부미, 사이온지 긴모치를 이어 입헌정우회 제3대 총재를 역임하면서 일본 정당정치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인물이다. 그러나 그 비중에 비해 한국에는 널리 소개되지 못하였다. 식민지 총독무관제와 헌병경찰 철폐, ‘내지연장주의’에 의한 동화정책 강화, 한국의 관점에서 하라 다카시의 식민지 통치정책을 살펴본다.
Contents
머리말·‘정당정치의 상징’ 일본 근대사의 중심인물

제1장 하라 다카시와 그의 시대

제2장 제1차 외무성시대와 농상무성 시대

제3장 제2차 외무성시대와 한국

제4장 입헌정우회 창당과 정치인 하라의 탄생

제5장 하라 다카시 내각과 3·1 운동

맺음말·정치 인식의 한계, 그리고 완전한 동화를 지향하는 식민지 통치
Author
김영숙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일본사학과에서 일본근현대사를 전공하였으며,『 일본 외교에서의 새로운 국제질서의 모색-만주사변에서 일소중립조약까지』로 박사학위(문학박사)를 받았다. 저서로 『근대 일본의 동아시아정책』(2009), 『하라 다카시 평민 재상의 빛과 그늘』(2019)이 있으며, 역서로는 『만주사변에서 중일 전쟁으로』(2012), 『폭주하는 일본의 극우주의-재특회, 왜 재일 코리안을 배척하는가』(2015), 『재특회(在特會)와 일본의 극우-배외주의운동의 원류를 찾아서』(2016)가 있다. 현재 동북아역사재단 초빙 연구위원이다.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일본사학과에서 일본근현대사를 전공하였으며,『 일본 외교에서의 새로운 국제질서의 모색-만주사변에서 일소중립조약까지』로 박사학위(문학박사)를 받았다. 저서로 『근대 일본의 동아시아정책』(2009), 『하라 다카시 평민 재상의 빛과 그늘』(2019)이 있으며, 역서로는 『만주사변에서 중일 전쟁으로』(2012), 『폭주하는 일본의 극우주의-재특회, 왜 재일 코리안을 배척하는가』(2015), 『재특회(在特會)와 일본의 극우-배외주의운동의 원류를 찾아서』(2016)가 있다. 현재 동북아역사재단 초빙 연구위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