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 이황

사단칠정론, 성학십도, 무진육조조
$13.93
SKU
978895220600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7/01/30
Pages/Weight/Size 136*193*20mm
ISBN 9788952206008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인간이 타고난 선한 본성을 어떻게 현실에서 구현할 수 있는가?’ 이것이 퇴계의 화두였다. 퇴계는 ‘사단’이라는 순수한 도덕적 정감이야말로 어둠의 세계를 뚫고 내려오는 빛줄기라고 보았다. 그리하여 사단의 형이상학적 근거를 확립하기 위해 정밀한 이론체계를 구축했다. ‘사단칠정논변’이라고 부르는 기대승과의 논쟁을 통해 중국의 주자학이 조선 성리학으로 정립될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되었다. 퇴계와 더불어 쌍벽을 이루는 율곡도 퇴계학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했다. 하지만 퇴계를 형이상학적 논변에 치중한 관념론자로 보아서는 곤란하다. 그는 유능한 관료와 원로대신으로서, 군주의 마음을 바로잡아 올바른 정치를 이루려 온 힘을 쏟았다. 『성학십도』와 「무진육조소」는 실천하는 지성으로서의 퇴계의 면모가 오롯이 드러난 글들이다. 우리는 이 글들을 통해, 위대한 학자이자 실천하는 정치가였던 퇴계를 만날 수 있다.
Contents
1부 시대·작가·사상
1장 어둠의 시대, 사회기-지식인으로 산다는 것
퇴계에 이르는 길
삶의 향기

2장 마음에 대한 성찰-사단칠정론
왜 마음인가
리기론
사단과 칠정
사단칠정에 관한 리기론적 해석

3장 자연에 대한 이해-태극론
태극의 의미
태극론

4장 현실의식과 경사상
현실의식
수양론과 경사상

5장 퇴계사상의 계승과 발전
퇴계학파
주요 저서

2부 본문
1장 사단칠정론
사단과 칠정을 리와 기로 나누는 것은 잘못이라는 고봉의 비판
퇴계가 고봉에게 답함(사단칠정을 논한 첫 번째 편지)
퇴계가 고봉에게 답함(사단칠정을 논한 두 번째 편지)

2장 성학십도
심통성정도설
경재잠

3장 무진육조소
무진육조소

3부 관련서 및 연보
퇴계 관련서
퇴계 연보

Author
최영진
연세대학교 특임교수이다.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사무차장보, 주 코트디부아르 유엔 평화유지임무단(UNOCI) 대표, 외교안보연구원장, 외교부 차관, 주 오스트리아 대사, 주 유엔대사, 주미 대사,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사무차장을 역임했다. UNOCI에서의 활동은 코트디부아르의 민주화와 통일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연세대에서 의과대학 4년을 수료하고,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다. 프랑스 파리1대학에서 국제관계 박사학위를 받았다. 《신 조선책략》(2013), 《코트디부아르 위기》(프랑스어 2015), 《동서양 문명 비교》(영어 2015, 폴란드어 2018, 중국어 2018) 등을 출간했다.
연세대학교 특임교수이다.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사무차장보, 주 코트디부아르 유엔 평화유지임무단(UNOCI) 대표, 외교안보연구원장, 외교부 차관, 주 오스트리아 대사, 주 유엔대사, 주미 대사,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사무차장을 역임했다. UNOCI에서의 활동은 코트디부아르의 민주화와 통일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연세대에서 의과대학 4년을 수료하고,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다. 프랑스 파리1대학에서 국제관계 박사학위를 받았다. 《신 조선책략》(2013), 《코트디부아르 위기》(프랑스어 2015), 《동서양 문명 비교》(영어 2015, 폴란드어 2018, 중국어 2018) 등을 출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