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기의 시가문학

근대전환기 한국 시가의 대응과 변모
$37.26
SKU
978895213122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6/10
Pages/Weight/Size 153*224*20mm
ISBN 9788952131225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근대전환기, 가사와 시조 문학에 내재한 문학적 생명력에 주목하다

이 책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창작되어 향유된 전통 국문시가를 다룬다. 근대 이전 대표적인 한국 전통 시가 양식이었던 가사와 시조 문학이 시대적 전환기를 맞아 어떻게 고유의 내용이나 형식 요소를 변화하면서 문학 의식의 전이를 이룩했는가를 면밀한 작품 내적 검토와 분석을 바탕으로 밝혔다. 전통 시가가 전환기의 소통 과정에서 겪었던 급격한 변화의 큰 흐름을 매체의 등장과 향유 조건, 독자와 청자의 문제, 장소와 공간적 특성, 주제와 의식 면의 변화를 중심으로, 개별 연구대상에 따라 다각도로 파고들어 구체적으로 실현된 바를 고찰한다.
Contents
책머리에

제1부 근대전환기 가사 문학의 대응과 변모

I 『초당문답가』를 통해 본 전환기 가사의 장르적 변환과 근대성
1. 서론
2. 자료 확정을 위한 이본의 개괄적 검토
3. 각 편의 내용 분석을 통해 본 내적 소통 양상
4. 시어 및 표현의 특징과 『초당문답가』의 주제
5. 마무리

II ‘복선화음가’ 계열 가사의 시대적 대응력과 대중화 방식
1. 서론
2. 두 유형의 서술 구조와 의미
3. ‘복선화음가’ 계열 가사에 나타난 근대성: 타자의 포용과 주체의 확립
1) 새로운 인간형의 창조와 타자에의 시선
2) 여성의 주체 되기: 포용성을 지닌 긍정적 주체로
3) ‘소비’ 욕망의 이중성 혹은 ‘가난’을 통한 연대
4. 마무리

III 조선 후기 가사 속 여성 인물 형상
1. 서론
2. 가사 속 여성 인물의 현실
1) 계기로서의 결혼
2) 고난의 내용과 극복 방식
3) 징벌 또는 보상
3. 가사 속 여성 인물의 욕망
4. 마무리

제2부 근대전환기 시조 문학의 대응과 변모

I 『大韓民報』 시조에 나타난 전환기 전통 시가의 대응
1. 서론
2. 자료의 실상
3. 매체 변화와 내용 특성
1) 시사성의 반영과 현실적 소재로의 접근
2) 고시조의 활용과 전통적 소재의 변용
3) 공감 유도의 표현과 문체의 다양성
4. 종장의 형식 변화와 기능
1) 종장 첫 음보의 성격: 관습적 표현 사용과 3음절어 유지
2) 종장 제2음보의 확장과 음보 첨가
3) 종장 구성 방식 특성: 어순도치와 종결부의 성격
5. 마무리

II 『萬歲報』 소재 「海東永言」의 성격과 시조비평의 의의
1. 서론
2. 자료의 실상
3. 「해동영언」 수록 시조의 전반적 성격
4. 「해동영언」 시조비평의 특성
5. 마무리

III 1910년대 잡지 수록 시조와 시조비평의 성격과 의미
1. 서론
2. 매체의 특성과 시조 수록 양상
3. 잡지 수록 시조와 시조비평의 성격
1) 『신문세계』와 『신문계』 시조
2) 『조선문예』 시조
4. 마무리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조해숙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와 같은 대학 대학원을 졸업했다.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과 겸임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저로 『조선후기 시조한역과 시조사』(2005), 「전승과 향유를 통해 본 〈개암십이곡〉의 성격과 의미」(2003), 「가람 이병기의 시조비평 특징과 고시조선의 의의」(2016), 「반계 유형원의 시조한역에 대하여」(2017)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와 같은 대학 대학원을 졸업했다.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과 겸임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저로 『조선후기 시조한역과 시조사』(2005), 「전승과 향유를 통해 본 〈개암십이곡〉의 성격과 의미」(2003), 「가람 이병기의 시조비평 특징과 고시조선의 의의」(2016), 「반계 유형원의 시조한역에 대하여」(2017)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