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 해양생태학

$67.62
SKU
978895213102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7/30
Pages/Weight/Size 172*245*30mm
ISBN 9788952131027
Categories 자연과학
Description
보이지 않는 바닷속, 해양생태계의 룰에 관한 이야기

학문을 하는 목적은 세상의 이치, 즉 룰을 깨닫기 위한 것이다. 바다에는 어떤 룰이 있어서 해류가 흐르고 수많은 생물들이 공존하면서 살고 있는 것일까? 그리고 어떤 룰에 의하여 수온과 염분이 변하고 해양생물들의 양이 변하는 것일까? 바다에는 수많은 룰들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 책은 이러한 질문을 안고 40년 동안 해양 관련 조사와 연구를 해온 저자의 지식을 담은 연구 결과물이다.

우리는 지구생태계, 태양계생태계, 미디어생태계, 숲생태계 등, ‘생태계’라는 단어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고, 생태계를 정확히 알아야 살 수 있는 세상이 된 것 같은데, 사실 생태계가 무엇인지 정확히 아는 것은 쉽지 않다. 저자는 생태계를 “집이라는 공간, 그 안에 들어 있는 비생물적 물질과 에너지, 여기에 적응하여 살고 있는 생물들의 통합체”라고 정의한다. 해양생태학은 주로 바다라는 집 안에서 일어나는 비생물적 물질과 에너지의 변화, 그리고 생물들의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40억 년의 역사를 가진 바닷속 해양생태계를 이루는 해양생물과 바닷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재미있고 쉽게 전달하고 싶은 저자의 바람을 담아, 곳곳에 유머와 에피소드를 넣어 독자들이 해양생태계의 심해(深海)에서 헤매지 않도록 한다. 자칫 지루할 수 있는 내용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저자의 노고가 담긴 책으로, 해양학 관련 교재로 쓰인 책이지만, 복잡다기한 바닷속을 재미있고 쉽게 설명하고 있어, 해양환경, 특히 지구환경에 관심 있는 독자들도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다.
Contents
머리말

1장 생태계, 쉽게 알 수 있다

1. 해양생태계와 유머, 공통점은?
2. 생태계란 무엇인가? 결국 주거 문제
3. 생태계의 크기, 조정이 가능
4. 생태계 명칭, 특성을 이해하기 쉽게 한다
5.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누가 무슨 일을 하나?
6. 생태계 내 생물들의 보이지 않는 룰rule
7. 생물단위: 종, 개체군, 군집

2장 해양생태계와 육상생태계 구조 비교

1. 어떻게 다를까?
2. 진정한 3차원과 2차원에 가까운 3차원

3장 광합성, 최고의 발명품: 모두를 위한 소재와 연료를 만들다

1. 빛이 필요한 광합성
2. 표층만 밝은 바다, 광합성을 제한하다
3. 해양 광합성 생물의 색소들, 빛의 이용을 증대시킨다

4장 생물은 어떤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나?

1. 탄소, 생물의 근원 물질
2. 질소, 해양의 생산을 좌우한다
3. 인, 적지만 핵심적 성분
4. 해양에서의 질소와 인 분포, 어디에 많나?

5장 생태계 내 생물의 구분

1. 분류학적 구분, 족보
2. 영양방식 구분, 포도당을 어떻게 얻나?
3. 먹이망에서의 역할 구분: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
4. 서식지 및 생활방식으로 구분, 너 집이 어디니?

6장 플랑크톤 왕국

1. 플랑크톤의 정의, 수영선수도 있다
2. 영양방식에 따른 구분

7장 식물플랑크톤, 모두 다 먹여 살린다

1. 남세균류, 30억 살 장수의 상징
2. 규조류, 하루에 10배도 될 수 있다
3. 식물성 미소편모류, 바닷속 비스킷
4. 식물성 와편모류, 가장 영리한 식물

8장 혼합영양플랑크톤, 광합성도 하고 포식도 하고

1. 혼합영양이란? 모든 생물의 꿈
2. 누가 혼합영양을 하나?
3. 일시적인 혼합영양, 진화적 수수께끼

9장 동물플랑크톤, 광합성 생물과 어패류와의 중간자

1. 동물의 역할
2. 동물플랑크톤, 어떻게 나누나?

10장 단세포 원생동물플랑크톤, 원핵생물과 식물플랑크톤의 주요 섭식자

1. 동물성 미소편모류, 원핵생물의 주요 포식자
2. 동물성 와편모류, 뭐든 잘 먹어요
3. 섬모류, 털털한 녀석들
4. 아메바류와 근족류, 위족을 만들다

11장 다세포 후생동물플랑크톤, 어패류의 주요 먹이

1. 해파리, 크지만 플랑크톤
2. 윤형동물, 양식장의 보물
3. 요각류, 바다의 소고기
4. 지각류, 물벼룩
5. 크릴, 고래밥
6. 화살벌레, 정교한 화살
7. 후생동물플랑크톤의 주야수직이동

12장 원핵생물플랑크톤, 재생의 왕

1. 아키아, 열악한 환경을 극복하다
2. 박테리아, 높은 다양성
3. 산소를 좋아하는 원핵생물, 싫어하는 원핵생물
4. 원핵생물플랑크톤, 소중한 먹이가 되다

13장 유영동물, 상위 포식자이자 먹거리

1. 유영동물이란? 물고기, 파충류, 포유류를 포함하다
2. 유영동물, 떠야 산다
3. 유영동물, 숨을 곳이 없는 환경
4. 정어리, 최고의 해양모니터링 프로그램 CalCOFI를 만들다

14장 저서생물 왕국

1. 저서생물이란?
2. 저서생물의 역할

15장 광합성 저서생물, 다양한 저서성 1차생산자

1. 저서미세조류, 퇴적물 속에서 광합성을 하다
2. 대형해조류, 식탁을 풍요롭게 하다
3. 해초, 바다로 되돌아간 풀

16장 저서동물, 엄청난 분화

1. 해면동물, 바다수세미
2. 자포동물, 독침을 가지고 있다
3. 연체동물, 연한 몸체
4. 환형동물, 반지의 제왕
5. 절지동물, 갑갑한 녀석들이 많다
6. 극피동물, 피부 관리가 필요한 방사대칭 동물

17장 저서동물 서식환경과 적응

1. 갯벌에서는 2개의 구멍을 만들다
2. 모래해안에서는 하루에도 몇 번씩 집을 다시 짓는다
3. 바위해안에서는 파도와 건조를 이겨내야 한다

18장 저서동물유생은 소중하다

1. 저서동물유생, 견문을 넓히러 떠난다
2. 유생, 몸집이 커지면 해안가로 돌아와야 한다

19장 생태계의 기능

1. 유기물 생산, 모두를 위한 노력
2. 먹이망, 물질과 에너지를 전달하다
3. 경쟁, 최고의 효율을 지향하다
4. 공생, 재난 극복을 위한 최고의 생존수단
5. 기생, 안전한 자원 확보의 길
6. 에너지, 순환되지 않고 흘러간다
7. 천이, 우점 세력의 이어달리기

20장 해양생태계가 주는 선물

1. 많은 혜택
2. 선물의 지속성

21장 큰 환경변화는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바꿀 수 있다

1. 온난화, 공간 내 에너지 증가
2. 해양산성화, 이산화탄소가 끌어내린 pH
3. 유해물질에 의한 해양오염, 유류와 중금속과 인공물질
4. 부영양화, 영양물질도 너무 많으면 문제가 된다

22장 적조, 완벽한 것들의 부조화

1. 적조, 빨간 밀물과 썰물일까?
2. 적조생물들, 수백 대 일 경쟁을 뚫은 천재들
3. 적조, 어떻게 발생되나?
4. 태풍, 적조 발생을 부추기나 억제하나?
5. 적조, 해양생물에게 어떻게 피해를 주나?
6. 적조 피해 저감 대책은?
7. 누가 글로벌 적조를 만드나?

23장 생태학 원리를 이용한 타 학문에 대한 기여

1. 생태학과 경제학
2. 생태학과 사회학

24장 생태계 모델과 예측

1. 모델의 종류
2. 예측
3. 바둑과 장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정해진
서울대학교 해양학과에서 학사, 석사학위를 받고, 1995년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의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에서 해양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2003년까지 군산대학교 해양학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2003년부터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해양생물학, 특히 해양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해양학과에서 학사, 석사학위를 받고, 1995년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의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에서 해양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2003년까지 군산대학교 해양학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2003년부터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해양생물학, 특히 해양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