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내셔널리즘의 사상사

전시-전후체제’를 넘어 동아시아 사상과제 찾기
$49.25
SKU
978895212038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08/31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52120380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동아시아 역사 분쟁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서

동아시아 역사 분쟁의 얽히고설킨 실타래는 어떻게 풀어낼 수 있을까? 그 단서로서 저자가 주목한 것은 바로 ‘내셔널리즘의 사상사’이다. 그것이 인류의 공동선을 밝혀갈 공공의 지식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믿음 아래, 저자는 도쿠가와 막부 말기부터 현재에 이르는 일본 내셔널리즘의 방대한 사상사를 서술한다.

그 연구 관점은 일본의 내셔널리즘이 동아시아와 연결되는 역사적 맥락과 그 의미를 드러낸다. 이는 소모적인 과거사 집착에서 벗어나 미래 가치를 이끌어낼 역사인식의 공통분모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저자는 일본의 좌·우 민족주의가 추동해온 사상사의 실체를 ‘좌우합작’의 관점에서 밝힘으로써 독선적이고 편향적인 진영 논리를 극복하고자 한다.

내셔널리즘이 충돌하고 있는 동아시아에서 저자는 새로운 지역질서를 창출하기 위한 사상과제를 탐구한다. 이 책의 사상과제는 ‘반미/반일/혐한/혐중/좌익/우익’의 적대적 대립을 넘어서 지피지기와 역지사지, 그리고 자타상생의 역사적 가능성을 찾으려는 것이다.
Contents
책머리에

서장 일본 내셔널리즘과 마주하며
1. 글로벌 관점과 내셔널리즘의 사상사
2. 탈제국, 탈식민, 탈냉전의 비전과 민주주의
3. 일본 내셔널리즘을 조망하는 시점

제1장 근대 일본의 내전과 역사 기억의 변주
1. ‘개국 대 양이’에서 막번체제의 해체로
2. 막부 개국의 ‘결과’로서 메이지유신
3. 초망굴기의 민족주의와 천황 상징
4. 무사들의 반란과 자유민권운동
5. ‘막말 유신’과 ‘통합’의 내셔널 히스토리
6. ‘내전’에 대한 기억의 변주

제2장 청일·러일전쟁과 동아시아의 체제변혁
1. 남 탓을 멈추고, 동시대사의 ‘숨은 뜻’ 찾기
2. 갑신정변의 실패와 청일전쟁
3. 아시아주의와 민권·국권, 좌우의 혼융
4. 러일전쟁과 전제주의 구체제의 붕괴
5. 국민주의와 국수주의, 보수와 진보의 사이
6. 지사형 사회주의, 사해동포주의와 국체

제3장 우익의 국가주의와 아시아주의
1. 제국주의와 민주주의의 결합과 충돌 속에서
2. 쇼와유신론의 대두와 ‘국체’의 정치적 신격화
3. ‘마왕’과 ‘이단아’, 그리고 ‘광기의 역사’
4. 기타 잇키의 『일본개조법안대강』과 폭력혁명론
5. 이시와라 간지의 쇼와유신과 동아연맹
6. 통제시대와 ‘초민족국가=왕도주의 아시아’의 불가능성

제4장 ‘사회과학-혁명’논쟁과 동아협동체론
1. 담론 환경의 변화와 네트워크의 형성
2. 공산당과 노농파의 ‘민주혁명논쟁’
3. 강좌파의 탄생과 일본자본주의논쟁
4. ‘사회과학-혁명’논쟁의 네트워크
5. 중일전쟁과 ‘동아협동체’의 불가능성

제5장 제국의 낭만과 동아시아 반근대 민족주의
1. 무사들의 로망과 제국의 로망
2. 전향의 시대, 일본낭만파의 탄생
3. 낭만적 ‘이로니’와 동아제국의 낭만
4. 동아시아 민족주의와 반근대 로망
5. 쇼와사논쟁과 일본 근대 재인식

제6장 내셔널리즘의 역사의식과 미의식
1. 좌·우익의 출현과 농본주의 천황제
2. 역사수정주의? 좌우를 잇는 역사관!
3. 우익사상의 정립과 ‘좌우합작’
4. ‘혁명적 울림’의 좌절과 ‘일본미’
5. ‘일본적 이로니’의 서사 효과
6. 우익사상의 역사화와 정치화

제7장 신좌익의 ‘문화대혁명’과 전후민주주의 비판
1. 신좌익의 어제와 오늘
2. ‘패배사’의 이로니와 신좌익 폭력의 ‘세계성’
3. 전후민주주의 비판과 모순의 ‘분열=증식’
4. 신좌익의 마오이즘과 전공투의 조반운동
5. ‘민족적 자각’의 부족과 과잉
6. 문화·농지·생명 방위론, 일상 파괴의 폭력 신화

제8장 반미주체화-아시아 연대의 ‘공동환상’을 넘어서
1. 세기 전환기 일본의 사상지형
2. 반미주체화와 아시아주의의 이중변주
3. 탈냉전의 세계질서와 일본 ‘전후체제’의 균열
4. ‘전략적 친미’를 부정하는 ‘반미보수’
5. ‘진보·혁신’의 깃발은 어디로?
6. ‘반미주체화’에서 핵심 문제는 아시아

종장 동아시아 지역질서를 위한 사상과제를 찾아서
1. 전후 일본의 사상지형, 우익은 없다?!
2. 좌우 편향의 착종과 역사인식의 ‘패자’를 넘어서
3. 저항민족주의의 정언명령과 ‘일본적 이로니’를 넘어서
4. 이민의 역류와 상생의 패러다임을 위해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조관자
서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한 후 일본에서 20년 가까이 공부했다. 일본 중부대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에 재직 중이다. 복지사회로 나가기 위한 교육 콘텐츠의 연구 개발에 관심을 두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일본 내셔널리즘의 사상사』, 『탈 전후 일본의 사상과 감성』(편저), 『일본, 상실의 시대를 넘어서』(편저) 등이 있으며, 『일본 내셔널리즘의 사상사』로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상(2019)을 수상했다.
서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한 후 일본에서 20년 가까이 공부했다. 일본 중부대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에 재직 중이다. 복지사회로 나가기 위한 교육 콘텐츠의 연구 개발에 관심을 두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일본 내셔널리즘의 사상사』, 『탈 전후 일본의 사상과 감성』(편저), 『일본, 상실의 시대를 넘어서』(편저) 등이 있으며, 『일본 내셔널리즘의 사상사』로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상(2019)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