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동양편과 서양편 총 2부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마다 덕윤리의 역사적 전개에서 중요하고 주목할 만한 시각을 제시한 철학자들을 다룬다. 동양편에서는 일곱 명의 철학자를, 서양편에서는 다섯 명의 철학자를 다룬다. 서양편은 플라톤(기원전 427-347)의 윤리학에서 출발한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 로부터 물려받은 윤리학의 문제를 보다 확장된 철학의 지평에서 천착하길 시도한다. 그는 소크라테스가 개인적으로 실천했던 돌봄의 윤리를 국가적 차원에서 실행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을 세우느라 고심한다. 이런 식으로 덕의 윤리학은 덕의 정치학으로 확장된다.
Contents
책을 펴내며
Ⅰ. 서론
1. 덕윤리에 대한 역사적 연구 _ 13
2. 덕윤리의 귀환과 그 의미 _ 16
3. 덕의 어원과 번역 _ 26
4. 책의 구성과 내용 _ 45
Ⅱ. 플라톤 -덕 개념의 이상주의적 정초
1. 들어가는 말 _ 63
2. 소크라테스의 문제 _ 67
3. 덕의 탐구 _ 79
4. 영혼의 덕 _ 93
5. 덕과 정치 _ 120
6. 나가는 말 _ 133
7. 원전 읽기 _ 138
Ⅲ. 아리스토텔레스 -덕윤리의 고전적 체계화
1. 들어가는 말 _ 175
2. 행복의 정치학 _ 177
3. 행복의 분석 _ 190
4. 덕의 장인 _ 206
5. 지성의 아크로폴리스 _ 220
6. 나가는 말 _ 229
7. 원전 읽기 _ 233
Ⅳ. 마키아벨리 -덕 개념의 현실주의적 전환
1. 들어가는 말 _ 269
2. 문제의 전위: ‘좋은 삶’에서 ‘삶’으로 _ 272
3. 마키아벨리의 존재론: 동일한 것의 반복 _ 279
4. 욕망의 인간학 _ 283
5. 군주의 덕 _ 288
6. 나가는 말 _ 293
7. 원전 읽기 _ 296
Ⅴ. 스피노자 -덕윤리의 근대적 옹호자
1. 들어가는 말 _ 315
2. 욕망의 인간학과 고전적 인간 본성 모델에 대한 계보학적 비판 _3 19
3. 인간 본성 모델(자유와 합리성)의 계보학적 재구성 _ 327
4. 자유인과 정치 _ 342
5. 나가는 말 _ 348
6. 원전 읽기 _ 350
Ⅵ. 니체 -덕 개념의 미학적 전화
1. 들어가는 말 _ 369
2. 도덕과 진리에의 의지 _ 374
3. 도덕의 계보, 혹은 가치들의 가치에 대한 탐구 _ 377
4. 힘에의 의지 _ 382
5. 고귀한 인간 유형 _ 390
6. 니체의 덕 개념의 주요 특징 _ 395
7. 덕의 정치, ‘위대한 정치’ _ 407
8. 나가는 말 _ 411
9. 원전 읽기 _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