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지역공동체 운동의 사례 분석 통한 문제 현실 및 실천 과제 고찰
강원도 원주시로 대표되는 협동조합 모델과 경기도 수원시로 대표되는 거버넌스 모델 등 대안적 모델 집중 조명
현대 한국의 도시들에서는 지역사회의 취약한 공동체성에 기인하는 각종 사회문제가 빈발하고 있다. 또한 그러한 문제 현실을 공동체적 인간관계 네트워크와 활동을 통해 극복하고자 하는 운동적 실천들이 전국 각처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이 책은 도시 지역공동체 운동의 주요 현장들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한국 도시에서의 지역공동체 형성에 연관되어 나타나고 있는 문제 현실은 어떤 것이며, 그 극복을 위한 실천 과제들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 있다. 특히 인류학, 사회복지학, 환경사회학, 건축학 등의 상이한 전공 배경을 가진 필자들이 강원도 원주시로 대표되는 협동조합 모델과 경기도 수원시로 대표되는 거버넌스 모델 등 도시 지역공동체 운동의 두 가지 대안적 모델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서론: 왜 한국 도시에서의 지역공동체 형성에 주목하는가
I. 현대 한국 도시에서 ‘살기 좋은 동네’의 의미와 공동체성
II. 현대 한국의 도시 지역공동체에 대한 현장중심적·학제적 연구의 필요성
1. 기존 이론 및 실천적 방안의 한계
2. 왜 현장중심적·학제적 접근이 필요한가
3. 도시 지역공동체의 핵심적 구성요소들
1) 지역주민 간의 사회적 교류
2) 지역사회 차원의 복지체계
3) 지역정체성
4) 지역주민의 주체적 실천
5) 지역사회의 공간 디자인
III. 도시 지역공동체에 관련한 주요 이슈에 대한 입장
1. 공동연구의 과정에서 생겨난 변화들
2. 공동체/지역공동체/도시공동체/도시 지역공동체 간의 개념 구분
3. 도시 지역공동체 운동에 대한 입장: 원주시와 수원시의 사례에 주목하는 이유
IV. 단행본 저술의 취지와 장별 주요 내용
1. 단행본 저술 취지
2. 장별 주요 내용
V. 도시 지역사회의 공동체성 증진과 공동체 운동
제2장 도시공동체 운동의 흐름과 특성, 새로운 모색
I. 도시에 부는 공동체 바람과 도시공동체 운동의 등장
1. 도시와 공동체 사이에 나타난 새로운 변화
2. 도시공동체로 이어진 공동체적 삶의 열망
II. 한국의 도시화 과정과 도시공동체 운동의 흐름
1. 도시화에 대한 대응으로서 도시공동체 운동의 등장
2. 한국 도시공동체 운동의 흐름
1) ‘적응형’ 도시공동체 운동(1960~1970년대)
2) ‘저항형’ 도시공동체 운동(1980년대)
3) ‘방어형’ 도시공동체 운동(1990년대)
4) ‘창조형’ 도시공동체 운동(1990년대 후반)
III. 도시의 위기와 도시공동체 운동에 대한 새로운 모색
1. 도시 위기 속 도시공동체 운동의 새로운 모델 찾기
2. 경계를 넘어 협력적 관계 맺기에 나선 도시공동체 운동
1) 거버넌스, 참여 주체들 간 협력의 시너지 높이기
2) 네트워크, 자립기반 구축을 통한 지속적인 삶의 관계망 만들기
IV. 협력적 대안모델로서 도시공동체 운동 사례
1. 서울시의 민관협력 거버넌스를 통한 도시공동체 운동
1) 인구 1천만의 대도시 서울이 꿈꾸는 마을공동체
2) 꿈을 현실로, 마을공동체를 향한 입체적 노력
3) 서울의 사례가 주는 시사점
2. 원주시의 협동조합 네트워크를 통한 도시공동체 운동
1) 협동조합 도시 원주의 역사와 현황
2) 네트워크를 통한 협동조합 지역사회와 공동체 만들기
3) 원주의 사례가 주는 시사점
V. 도시공동체 운동의 의미와 과제
제3장 인간 삶 속의 위기, 호혜의 경제로 함께 건너다
I. 도시에서 지역공동체는 가능한가
II. 사회문제의 발생과 그 대응
III. 사회적경제의 부활
IV. 사회적경제의 특성과 한국적 수용
V. 사회적 자본이란 무엇인가
VI. 원주 사례를 통해 보는 사회적 자본의 효능
1. 원주 지역 사회적경제 운동의 역사
2. 사례로 톺아보기
1) 사례: ‘행복한 시루봉’
2) 사례: 원주노인생활협동조합
3. 협연: 협동으로 맺어진 인연
VII. 호혜의 경제가 발전하기 위한 조건
제4장 마을만들기로 꿈꾸는 도시 지역공동체
I. 도시의 변화와 지역공동체
1. 왜 지역이고 공동체인가
1) 예전과 다른 우리의 도시
2) 지역공동체를 담는 도시계획
2. 마을만들기는 왜 필요한가
1) 마을만들기란
2) 마을만들기, 이대로 좋은가
II. 마을만들기로 도시 지역공동체는 무엇을 공유하는가: 수원시 마을르네상스 사업과 서울시 구로구 개봉3동 사례를 중심으로
1. 함께 만드는 마을 공간 및 시설
1) 문제의 장소, 고쳐 쓰기
2) 활력이 떨어진 공간, 다시 쓰기
3) 숨어 있는 공간, 찾아 쓰기
4) 점·선·면, 마을환경 맥락의 확장
2. 함께하는 마을 프로그램
1) 생각의 공유
2) 놀이의 공유
3) 세대의 공유
3. 함께 나누는 마을 경영
1) 마을만들기의 지속을 위한 최소의 자금
2) 마을에서 일하기
3) 지속해서 마을에서 살아가기
III. 마을만들기로 도시 지역공동체는 어떻게 활성화되는가
1. 마을만들기의 준비, 기획단계
1) 어떻게 시작되는가
2) 온도 맞추기
3) 마을조직으로 합의의 조직과 장 마련하기
4) 마을 교육으로 마을만들기의 여건 해독하기
2. 계획과 조성 과정을 통한 기반 다지기, 계획 및 조성 단계
1) 마을만들기 프로세스의 계획, 마을만들기 마스터플랜
2) 마을만들기 워크숍으로 마을만들기의 아이디어 모으기
3) 마을만들기 사업을 통해 실전으로 배우기
4) 총론의 합의 각론의 반대, 성장통 극복하기
3. 끝이 아닌 시작, 성장과 지속의 운영, 운영단계
1) 이 사업 끝나면 난 그만둘래!
2) 마을홍보로 시작되는 네트워크, 함께하는 지속
3) 마을 모니터링, 평가와 대화 강화를 통한 성장
IV. 마을만들기로 꿈꾸는 도시 지역공동체
1. 마을만들기 과정에서 형성되는 도시 지역공동체
2. 모자이크 도시를 그리는 마을만들기의 지혜
제5장 사회적 교류 증진과 도시 지역공동체 형성
I.왜 도시공동체인가
II. 도시의 지역공동체 형성과 마을만들기
III. 작은도서관: 지역공동체 형성의 거점
1. 용인시 작은도서관의 주요 특징
2. 작은도서관의 개관 과정
3. 작은도서관의 운영
4. 작은도서관을 통한 주민의 네트워크 형성
IV. 조합형 교육단체와 도시공동체
1. 칠보산 공동체의 성립과 성격
2. 교육단체와 그 성원들의 특징
3. 교육단체와 다른 단체의 관계
4. 칠보산 공동체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