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사회학을 논하기 전에 다음의 세가지 원칙을 지키고자 했다. 첫째는 이론과 실제를 조화 시키는 것이며, 둘째는 교구 사회학을 극복하는 것, 셋째는 기존 한국적 종교사회 현상에 관한 연구 업적들을 가능한 수렴하는 것이다. 종교는 혼자 믿는게 아니라, 더불어 함께 경험하는 것이다. 성경이나 불경을 읽고, 기도와 염불만 홀로 한다고 해서 신자가 되는게 아니다. 교회나 절에 나가 거기에 연관된 공동체의 일원이 되었을 때 실질적인 종교인이 된다. 그래서 기독교의 '코이노니아', '불교의 '승가', 이슬람의 '움마'와 같은 공동체들은 종교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소다. 이 책은 그러한 종교공동체들의 근본적인 의미, 조직구조, 변동 및 주변 사회와의 관계들은 이른바 '종교사회학'이라는 틀 안에서 펼쳐 보이고 있다.종교사회학은 무엇보다도 종교를 살아 움직이는 현상으로 다룬다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고전 이론부터 첨단 이론까지를 체계적으로 담론화하였으나, 종교공동체들의 다양한 측면들을 살펴보고 실제양상을 이해해 보려는 데에 궁극적인 관심이 깔려있다.
Contents
서문
제1장 사회적 맥락에서 본 종교
1. 베버와 종교 정의의 문제
2. 뒤르켐의 종교 정의
3. 본질적 정의와 기능적 정의
4. 마르크스의 종교론
5. 종교사회학적 종교 정의의 의미
제2장 사회유형과 종교형태
1. 상관성에 관한 고전적 이론
2. 상징체계와 사회구조의 연관성
3. 권력구조와 신 개념의 상관성
4. 종교진화론
5. 상관성의 진정한 의미
제3장 종교사회학의 발달과정
1. 종교사회학 성립의 사상적 배경
2. 종교사회학의 고전적 이론 정립
3. 교구사회학의 문제
4. 미국 종교사회학의 발달
5. 동양적 종교사회학 연구
제4장 종교사회학의 의미와 연구방법
1. 종교사회학의 기본적 의미
2. 신학 대신 등장한 초기 사회학
3. 버거의 종교사회학 방법론
4. 벨라의 상징적 실재주의
5. 종교사회학의 반성
제5장 종교조직의 유지
1. 기능이론의 기초
2. 종교조직과 기능이론
3. 갈등이론
4. 의미이론
제6장 종교조직의 유형
1. 고전적 교회-교파 이론
2. 교파 개념 논쟁
3. 교파 형성발전 이론
4. 교회-교파 이론의 반성적 평가
제7장 종교의 세속화
1. 세속화 이론의 두 고전적 모델
2. 두 고전적 모델의 한계
3. 현대의 세속화 이론
4. 세속화 이론의 새 모델
제8장 종교의 다원화
1. 종교다원주의의 개념
2. 비종교적 차원의 양상들
3. 종교 외적 차원의 양상들
4. 종교 내적 차원의 양상들
5. 종교간 차원의 양상들
6. 한국적 종교다원주의
제9장 종교와 정치
1. 종교와 사회통합
2. 정교관계 유형론
3. 매개구조론
4. 공민종교론
5. 종교인의 정치의식
제10장 종교와 법
1. 종교의 법적 정의
2. 종교자유의 원칙
3. 정교분리의 원칙
4. 종교단체의 법적 지위
5. 국가의 법적 종교통제
제11장 종교와 경제
1. 마르크스의 종교와 경제론
2.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3. 베버 주제에 대한 비판과 쟁점 전개
4. 종교와 경제 관계의 경험적 연구
5. 유교 윤리와 동아시아의 경제발전
6. 한국 근대화와 유교 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