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이후의 새로운 사회』는 김수행 교수의 정년퇴임을 기념하기 위해 엮어낸 책으로, 네 개의 부의 1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사회주의 이론으로서 마르크스와 엥겔스, 레닌, 그리고 시장사회주의자들이 묘사하는 새로운 사회를 다룬다. 제2부는 사회주의의 역사와 현실로서 소련, 중국, 북한, 유고슬라비아의 사회주의를 해명한다. 제3부는 서유럽 사회민주주의 이론과 실제를 독일과 스웨덴을 예로 삼아 고찰하며, 마지막 제4부에서는 새로운 사회를 위한 초석들이 자본주의에서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여러 가지 측면에서 고찰한다.
Contents
머리말(Ⅰ): 신정완
머리말(Ⅱ): 김수행
집필자 소개
제1부 사회주의 이론
제1장 마르크스와 엥겔스 _ 김수행(서울대 교수)
1. 그들의 연구과제와 자본주의 이후의 새로운 사회
2. 새로운 사회의 내용
3. 『자본론』은 ‘과학적 사회주의’의 이론인가?
4. ‘새로운 사회’의 명칭은?
5.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현재성
제2장 레닌의 사회주의 _ 김윤자(한신대 교수)
1. 러시아의 후진성과 레닌의 이행이론
2. 국가자본주의론과 레닌의 이행이론
3. ‘전시공산주의’에 대한 평가
4. 신경제정책과 후기 레닌의 이행이론
제3장 시장사회주의론 _ 강신욱(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1. 서론
2. 시장사회주의의 의미와 시장사회주의론의 이론적 과제
3. 시장의 도입을 둘러싼 소련의 논쟁
4. 사회주의 계산논쟁
5. 시장사회주의의 실험: 유고와 헝가리의 경험이 남긴 문제
6. 새로운 시장사회주의 모형
7. 시장사회주의론의 성취와 과제
제2부 사회주의의 역사와 현실
제4장 소련경제체제의 내적 구조와 발전 그리고 위기 _ 김계환(한국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
1. 서론: 사회형성의 다양성과 소련 경제 시스템
2. 소련경제의 내적 작동구조
3. 소련 경제체제의 기본관계 및 경향성
4. 소련경제의 내생적 진화와 내적 긴장들: 경향과 진동
5. 소련 시스템의 정체경향과 그 원인
6. 결론
제5장 개혁 개방 이후 중국의 경제 추격 _ 이근(서울대 교수)
1. 중국은 어떻게 성공했나? ‘연해 주도의 외향적 발전 모델’
2. 그러면 중국의 기적과 한강의 기적은 뭐가 다른가?
3. 외국기업을 능가하는 중국기업들
4. 그런데 왜 중국을 가짜라고 하는가?
5. 동아시아 모델을 건너뛰고 영미식으로 가는 중국
6. 시나리오와 전망
7. 한국의 대응
제6장 북한 사회주의의 현실과 전망 _ 김석진(한국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
1. 북한 사회주의의 위기
2. 북한 사회주의 경제의 현실
3. 북한체제 실패의 원인
4. 교훈과 전망
제7장 유고슬라비아의 시장사회주의의 전개과정과 문제점 _ 김창근(경상대 연구교수)
1. 머리말
2.유고슬라비아 자주관리의 전개과정
3. 유고슬라비아의 경제적 성과
4. 유고슬라비아 시장사회주의의 문제점
5. 유고슬라비아 자주관리에 대한 평가
6. 결론
제3부 서유럽 사회민주주의의 이론과 실제
제8장 독일 사회주의 노동운동의 역사적 경험과 실천적 함의 _ 강신준(동아대 교수)
1. 서론: 독일 사회주의 노동운동의 역사적 지위
2. 노동운동의 이론적 구조와 실천적 어려움
3. 독일 사회주의 노동운동의 기원: 라살(Lassalle)주의와 마르크스주의의 결합
4. 조건의 변화와 노동운동의 대응: 합법화와 모순 및 갈등
5. 노선 논쟁의 결말: 바이마르 혁명과 파산
6. 전후의 변천: 파산의 교훈과 고데스베르크 강령, 전후 독일 사민주의 노선
7. 종합적 함의
제9장 스웨덴 사회민주주의 _ 신정완(성공회대 부교수)
1. 스웨덴 사회민주주의의 국제적 위상
2. 스웨덴 사회민주주의에 대한 스웨덴 학계의 평가들
3. 스웨덴 사회민주주의의 이념
4. 스웨덴 사회민주주의의 정책
5. 스웨덴 사회민주주의에 대한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