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의 고려말을 직접 현지 조사한 것을 바탕으로 이 언어의 문법을 체계적으로 기술하여 그 특성을 밝히는 동시에, 이를 현대 한국어의 문법과 대조하여 서로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밝혀 제시한 것이다.
제1장에서는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개관하고 그간의 고려말에 대한 연구사를 기술하였다. 제2장에서 제5장에 걸쳐서는 조사 체계와 어미 체계를 중심으로 고려말의 문법 현상을 기술하였다. 먼저 조사에 대해서는 격조사를 중심으로 목록을 확인하고 그 기능을 밝히고 이어서 보조사, 접속조사, 문장종결조사에 대해서도 역시 목록을 확인하고 그 기능을 밝혔다. 아울러 조사의 생략 현상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졌다. 특히 구어의 경우 조사의 실현이 상정되지만 실현되어 있지 않아 생략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조사의 생략 현상의 비율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는 고려말의 어미를 기술하였다. 종결어미와 접속어미, 그리고 명사형어미, 관형사형어미, 부사형어미에 대해 목록을 확인하고 그것으로 실현되는 문법범주의 기능을 밝혔다. 문장종결어미의 경우 어미별로 분포 비율을 계량적으로 분석하고 그 경향을 해석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현대 한국어 문법 형태와 대조를 시도하여 각 항목마다 제시하였다. 제6장은 주체높임법, 시제법, 인용문, 부정문 그리고 어순 등에 대한 문법 특성을 제시하였으며, 제7장에서는 이들을 종합하여 맺음말로 삼았다.
Contents
머리말
I. 연구 개관
1. 연구 목적
2.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사
2.1. 연구 대상
2.2. 연구 방법
2.3. 연구사
3. 분석 자료
4. 고려말의 성격
Ⅱ. 조사
1. 조사 목록
1.1. 격조사
1.2. 보조사
1.3. 접속조사
1.4. 문장종결조사 ‘??예’
2. 조사 생략
2.1. 조사 생략 일반
2.2. 격조사 생략
2.3. 보조사 생략
2.4. 접속조사 생략
3. 조사 축약
4. 정리 및 대조
Ⅲ. 종결어미
1. 종결어미와 의향법
2. 서술문
2.1. 고유한 서술어미에 의한 서술문
2.2. 범용어미에 의한 서술문
2.3. 접속어미에 의한 서술문
2.4. 문장조각에 의한 서술문
2.5. 정리 및 대조
3. 의문문
3.1. 고유한 의문어미에 의한 실현
3.2. 범용어미에 의한 의문문
3.3. 접속어미에 의한 의문문
3.4. 문장조각에 의한 의문문
3.5. 정리 및 대조
4. 명령문과 청유문
4.1. 명령문
4.2. 청유문
4.3. 정리 및 대조
Ⅳ. 접속어미
1. 나열 관계
2. 대조 관계
3. 선택 관계
4. 인과 관계
5. 조건 관계
6. 목적 관계
7. 첨의 관계
8. 결과 관계
9. 보조용언 구문
9.1. ‘??어’ 보조용언 구문
9.2. ‘??고’ 보조용언 구문
9.3. ‘??게’ 보조용언 구문
9.4. ‘??지’ 보조용언 구문
9.5. ‘??다가’ 보조용언 구문
9.6. ‘??어야’ 보조용언 구문
10. 정리 및 대조
Ⅵ. 그 밖의 문법 현상
1. 주체높임과 시제의 선어말어미
2. 인용문
3. 부정문
4. 어순
5. 정리 및 대조
Ⅶ.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고려말 자료 전사
Abstract
찾아보기
발간사
Author
권재일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및 대학원 언어학과 졸업(문학박사),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교수, 저서로는 '국어의 복합문 구성 연구', '한국어 통사론', '한국어 문법의 연구', '한국어 문법사', '언어학과 인문학', '국어지식탐구', '한반도와 중국 동북 3성의 역사 문화', '한반도와 만주의 역사 문화', '구어 한국어의 의향법 실현방법', '20세기 초기 국어의 문법'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및 대학원 언어학과 졸업(문학박사),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 교수, 저서로는 '국어의 복합문 구성 연구', '한국어 통사론', '한국어 문법의 연구', '한국어 문법사', '언어학과 인문학', '국어지식탐구', '한반도와 중국 동북 3성의 역사 문화', '한반도와 만주의 역사 문화', '구어 한국어의 의향법 실현방법', '20세기 초기 국어의 문법'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