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장군 신집평과 조선실학자 신후담

$21.60
SKU
978894996755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12/08
Pages/Weight/Size 152*224*20mm
ISBN 9788949967554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신집평(?執平) 대장군과 하빈(河濱) 신후담(?後聃)에 대하여

본서는 우리나라 거창 신(?)씨가 낳은 걸출한 두 인물에 대한 두가지 논문을 담았다. 첫 번째는 13세기 몽골의 고려 침략 시기에 이에 맞서서 항전과 외교에 큰 성과를 내고 순국한 고려 고종 때의 대장군 신집평(愼執平)의 활동에 관한 왜곡된 역사해석을 바로잡았다. 두 번째 논문은 문명론적(文明論的), 거시사회사의 문명사적(文明史的) 관점에서 하빈의 『돈와서학변(遯窩西學辨)』만을 고찰했고, 이 과정을 통해서 하빈의 『서학변』과 하빈 신후담의 사상의 문명사에서의 위상 탐구를 시론하려고 한다.
Contents
책 머리말

제1부 신집평(?執平) 대장군의 고려 국가주권 수호활동과 순국

Ⅰ. 머리말 : 문제의 제기
Ⅱ. 신집평 대장군의 가계와 신분
Ⅲ. 몽골의 고려침입과 신집평
1. 몽골의 고려 침입
2. 고려의 항몽권 대응전략과 강화도로의 임시 천도
3. 신집평 장군의 등장
Ⅳ. 신집평 대장군의 고려 국가주권 수호활동과 외교의 성공
1. 몽골의 제6차 침입과 차라대의 수군 편성 시작
2. 신집평의 ‘국왕친조’의 ‘태자입조’로의 교체 및 몽골군 철수 외교의 성공
3. 광복 후 신집평(?執平)의 김수강(金守剛)으로의 교체시도 비판
Ⅴ. 신집평 대장군의 동북면 항몽전과 순국
1. ‘태자입조’의 불실행과 몽골의 재침입
2. 신집평 동북면 병마사 휘하의 안변 영풍전투 승리
3. 조휘·탁청 등 지방 아전의 몽골·여진군 내통과 반역자들의 구실 조작
4. 신집평 병마사 등의 순국
Ⅵ. 신집평 병마사 전사 순국에 대한 고려시대 평가의 편린
Ⅶ. 동북면 반역세력과 신집평 대장군에 대한 평가 왜곡
Ⅷ. 맺음말 : 왜곡된 역사의 시정

제2부 하빈(河濱) 신후담(?後聃) 『서학변(西學辨)』의 문명론적 연구

Ⅰ. 머리말 : 문제의 한정
Ⅱ. 17·18세기 동양문명과 서양문명의 종교·세계관·이념의 만남
1. 17세기 ‘예수회’ 선교사의 동양문명 만남과 ‘적응주의(adaptationism)’ 방식 선교
2. 17·18세기 초 조선왕국에 들어온 서학
3. 동양문명 유학으로부터의 신후담(?後聃)의 대응
Ⅲ. 신후담의 문제제기와 이익과의 서학토론
1. 서학의 이중구조: 서도(西道)와 서기(西器, 技, 과학기술)
2. 하빈 신후담의 문제제기와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답변
3. 하빈과 성호의 제2차 및 제3차 토론
4. 하빈과 성호의 제4차 토론
5. 하빈의 이식(李?) 및 이만부(李萬敷)와의 토론
Ⅳ. 하빈의 서학 ‘아니마(anima, 영혼)’설 검토
1. 서학의 아니마(anima, 영혼) 불멸설 검토
2. 서학의 아니마(영혼) 실체설 검토
3. 하빈의 서학 ‘아니마’ 능력설(能力說)의 검토
4. ‘아니마’ 존엄(尊嚴)의 천주상사설(天主相似說) 검토
5. 하빈의 서학 지미호(至美好, 최고선)설 검토
Ⅴ. 하빈의 서학의 ‘천주(天主)’ 학설 검토
1. 『천주실의(天主實義)』의 용어 채용 동기 파악
2. 천주의 천지(天地)·만물(萬物) 창조(創造)설 검토
3. 서학의 유학 ‘태극(太極)’설 비판과 세인(世人) 천주(天主)오해설 검토
4. 인간 영혼 불멸설의 재검토
5. 귀신과 인간 영혼 차이설과 만물일체설의 검토
6. 윤회(輪回)설과 천당·지옥설의 검토
7. 인성(人性) 본선(本善)과 서학의 오론 교정
8. 천주강생(天主降生)설 검토
Ⅵ. 하빈의 서학 세계지리·종교·교육제도 검토
1. 『직방외기(職方外紀)』의 세계지리 소개 검토
2. 서양 종교(천주교)의 검토
3. 서양 학교제도와 교육제도 검토
Ⅶ. 맺음말: 하빈의 서학의 도(道)·기(器) 구분론과 실학사상의 특징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신용하
서울대학교 문리대 사회학과를 졸업(1961)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1964)와 사회학 박사(1975)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교수(1965~2003)를 정년퇴임한 후, 한양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울산대학교 석좌교수(2003~2018)를 거쳐서, 현재는 서울대학교 명예교수(2003~현재)와 대한민국학술원 회원(2012~현재)으로 있다. 『독립협회연구』,『한국독립운동사 연구』,『3.1운동과 독립운동의 사회사』,『한국민족운동사연구』,『신간회의 독립운동』,『한국근대사회사연구』,『한국의 독도영유권 연구』,『고조선 국가형성의 사회사』,『한국민족의 기원과 형성』,『고조선문명의 사회사』 등 다수 저서가 있다.
서울대학교 문리대 사회학과를 졸업(1961)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1964)와 사회학 박사(1975)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교수(1965~2003)를 정년퇴임한 후, 한양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울산대학교 석좌교수(2003~2018)를 거쳐서, 현재는 서울대학교 명예교수(2003~현재)와 대한민국학술원 회원(2012~현재)으로 있다. 『독립협회연구』,『한국독립운동사 연구』,『3.1운동과 독립운동의 사회사』,『한국민족운동사연구』,『신간회의 독립운동』,『한국근대사회사연구』,『한국의 독도영유권 연구』,『고조선 국가형성의 사회사』,『한국민족의 기원과 형성』,『고조선문명의 사회사』 등 다수 저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