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사구시 제창자 양득중

$25.92
SKU
978894994980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8/25
Pages/Weight/Size 152*224*30mm
ISBN 9788949949802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실사구시’ 제창자 양득중 연구

덕촌 양득중은 영조에게 ‘실사구시’를 각인시키고, 『반계수록』을 추천했다. ‘실사구시’는 실학의 대명사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실사구시’를 본격적으로 제창한 양득중에 대한 연구가 그 중요도에 미치지 못했던 것 같다. 다행히 2015년 그의 문집인 『덕촌집』의 번역이 있었고, 최근 반계 유형원과 『반계수록』에 관한 연구가 다시 촉진되는 것과 발맞추어 양득중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졌다.

이 책은 2021년 3월 13일 실학박물관과 한국실학학회의 공동주최로 열린 학술대회 ‘실사구시 제창자, 덕촌 양득중’의 발표문을 엮은 것이다.
첫 번째 글(?실학담론의 재구성과 양득중의 실사구시론?)은 이미 발표한 두 글(?조선후기 상업진흥론과 실학담론의 재구성?,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2017. ?양득중의 실사구시와 ?반계수록? 추천?, ?반계유형원과 동아시아 실학사상?, 2018.)에서, 양득중이 피력했던 실사구시론 부분과, 실학담론의 재구성을 시도한 부분을 합성했다.
Contents
책머리에

실학담론의 재구성과 양득중의 실사구시론_김태희

Ⅰ. 머리말
Ⅱ. 실학담론의 역사성과 위기
Ⅲ. 실학담론의 세 가지 명제
Ⅳ. 양득중의 실사구시론
Ⅴ. 맺음말

덕촌 양득중의 가계와 추숭에 관한 연구 _ 김승대

Ⅰ. 들어가는 말
Ⅱ. 양득중의 가계 분석
Ⅲ. 양득중에 대한 사후 추숭
Ⅳ. 나오는 말

덕촌 양득중의 실사구시 학문관과 탕평론 _ 김용흠

Ⅰ. 머리말
Ⅱ. 교유관계와 소론 탕평론
Ⅲ. 실사구시 학문관과 조선후기 실학
Ⅳ. 영조 탕평책과 양득중의 탕평론
Ⅴ. 맺음말

덕촌 양득중의 문학 연구 _ 최윤정

Ⅰ. 서론
Ⅱ. 덕촌 양득중의 작품 평가 기준
Ⅲ. 덕촌 문학의 주제별 특징 양상
Ⅳ. 결론

덕촌 양득중의 논설류(論說類) 작품 연구 _ 최윤정

Ⅰ. 서론
Ⅱ. ?덕촌집? 논설류의 작품 양상
Ⅲ. 논설류 작품에 나타난 주제 의식
Ⅳ. 결론

지역학 저변으로 바라본 덕촌 양득중 _ 김승대

- 남겨진 유적 현황과 과제를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해남?화순 지역의 유적
Ⅲ. 공주?부안 지역의 유적
Ⅳ. 남겨진 과제

덕촌 양득중 초상의 제작과 봉안 _ 이경화

Ⅰ. 서론
Ⅱ. 덕촌 영당의 건립과 영정 봉안
Ⅲ. 양득중 초상의 도상적 의미와 제작 시기
Ⅳ. 양득중 초상의 채용신 이모설 검토
Ⅴ. 결론

찾아보기
Author
김태희,김승대,김용흠,최윤정,이경화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경제학 부전공), 한국학 중앙연구원 정치학과에서 〈정조의 통합정치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조선 후기 정치사상, 특히 실학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다산연구소 소장과 실학박물관 관장을 지냈다. 21세기 오늘 우리를 위한 실학 담론의 재구성을 제안한 바 있으며, 실학 정신이 우리 사회의 기풍으로 자리 잡기를 바라고 있다. 『왜 광해군은 억울해했을까』, 『정약용, 슈퍼히어로가 되다』 등의 청소년 서적을 썼으며, 『정약용의 삶과 글』, 『다산학 공부』(공저), 『반계 유형원과 동아시아 실학사상』(공저) 등의 저서가 있다.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경제학 부전공), 한국학 중앙연구원 정치학과에서 〈정조의 통합정치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조선 후기 정치사상, 특히 실학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다산연구소 소장과 실학박물관 관장을 지냈다. 21세기 오늘 우리를 위한 실학 담론의 재구성을 제안한 바 있으며, 실학 정신이 우리 사회의 기풍으로 자리 잡기를 바라고 있다. 『왜 광해군은 억울해했을까』, 『정약용, 슈퍼히어로가 되다』 등의 청소년 서적을 썼으며, 『정약용의 삶과 글』, 『다산학 공부』(공저), 『반계 유형원과 동아시아 실학사상』(공저) 등의 저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