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총서는 저자의 박사학위 논문 “특허침해 손해액 산정법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통계학적 분석 및 온라인기술가치평가시스템의 활용사례를 중심으로-”를 보완한 것이다. 실제 우리 법원에서 특허침해의 손해배상액은 어떻게 산정되고 있는지 구체적 양태를 분석하고 그로부터 개선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제5장 온라인 기술가치평가시스템을 통한 특허침해 손해액산정 가능성
제1절 개요
제2절 스타밸류(STAR-value) 시스템 개관
제3절 감광드럼 기어기술 특허침해 소송
제4절 현금흐름할인 모델을 활용한 침해자이익액 산정: 감광드럼 기어기술
제5절 로열티공제 모델을 활용한 실시료 상당손해액 산정: 감광드럼 기어기술 사건
제6절 소결
제6장 특허침해 손해액 산정법의 개선방안
제1절 개요
제2절 기술가치평가 방법론 활용 가능성
제3절 재량에 기한 상당손해액 조항 적용 방식의 개선
제4절 변론주의와의 관계 및 석명권
제5절 소결
제7장 결 론
제1절 연구결과 요약
제2절 연구의 한계와 지향점
참고문헌
학위논문에 기초한 논문 게재 알림
부록: 분석대상 제1심 판결문
판례 색인
Author
최지선
학력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박사(지적재산권법 전공)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 박사(경제지리 / 산업입지 전공)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졸업(특성화: 의료 / 과학기술과 법)서울대학교 대학원 문리 석사(경제지리 전공)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학사
경력 현 법무법인 선린 변호사 / 변리사 / 기업?기술가치평가사현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과학기술입법지원회 위원현 서울대학교 시간강사 <예술과법> 강의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전 대통령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책연구위원전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기술과법센터 연구원
학력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박사(지적재산권법 전공)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 박사(경제지리 / 산업입지 전공)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졸업(특성화: 의료 / 과학기술과 법)서울대학교 대학원 문리 석사(경제지리 전공)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학사
경력 현 법무법인 선린 변호사 / 변리사 / 기업?기술가치평가사현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과학기술입법지원회 위원현 서울대학교 시간강사 <예술과법> 강의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전 대통령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책연구위원전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기술과법센터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