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 이이는 어떤 사상가보다도 교육 문제에 심혈을 기울인 정치가이자 교육자였다. 그것은 [격몽요결] [학교모범] [성학집요] [해주향약] [은병정사학규] 등, 일생에 걸쳐 점철된 그의 교육 이론 제시와 현장 실천에서 잘 드러난다. 유교의 지성인으로서 율곡은 자신의 사회적 책무성을 걸고 교화와 감화를 통해, 일탈된 일상의 인간 삶을 변화시키고, 합리적인 삶을 연출하려고 몸부림쳤다. 이 책은 그런 율곡의 사상과 신념, 교육에 거는 기대 등을 통해, 인간 사회의 변화 가능성을 타진한 율곡의 교육론을 성찰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자경문? ?화책? ?[성학집요] [격몽요결] [학교모범] ?은병정사학규? ?서원향약? ?해주향약? 등 개인의 다짐에서 국민교육 지도자교육 사회교육에 이르기까지 율곡이 교육을 말하고 실천한 부분들을 종합적으로 분석 검토하였다
율곡은 ?자경문?에서 자기 인생의 방향을 기초한다. 그것은 정치가로서 국민의 삶을 인도하는 [향약]에서 교육자로서 국민교육을 고민하는 [학교] 설치에서 자기다짐을 넘어 현실의 실천으로 드러난다 이를 통하여 조선시대 교육의 보편적 체계를 이해하고 교육사상가로서 율곡의 정신 그의 교육적 지향이 어떠한지를 성찰하며 한국 교육의 여러 문제를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면 한다.
Contents
* 머리말
제1장 개항기 조선의 미곡시장과 유통 _ 1
1. 조선 후기의 미곡시장과 유통 _ 3
2. 개항과 미곡 수출시장의 형성 _ 18
3. 일제 統監府 시기 미곡시장의 변화 _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