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신뢰 철학/영웅이란 무엇인가

$16.20
SKU
978894971780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7/01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49717807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에머슨이 사상가·강연가로서 크게 성공한 원숙기에 자신있게 세상에 내놓은 저작이 바로 이 책의 『영웅이란 무엇인가』(Representative Men, 1849)이다. 이 저작은 본디 연속강연으로 고향인 보스턴에서 발표한 내용이 그 바탕이 되고 있다. 에머슨 사상의 총결산·집대성이라 할 수 있는 『영웅이란 무엇인가』는 지극히 다채로운 사상의 만화경으로서 다면체와 같은 느낌이 있다. 여기서 다루어진 나폴레옹, 괴테, 셰익스피어, 스베덴보리, 플라톤과 같은 위인의 진용이 바로 인류를 대표하는 각 분야 최고봉이란 점에서 누구나 놀라게 된다.

하지만 이 저작은 단순히 위인전 선집도, 칼라일식 ‘영웅숭배론’도 아니다. 에머슨은 인류가 낳은 위인들의 개성과 진면목을 더없이 훌륭한 필치와 깊은 이해, 해박한 지식으로 상세하게 묘사한 뒤, 각 장의 맨 끝에서 예상 밖의 신랄한 비평 안목으로 각 위인들의 어두운 면도 언급하고 있다. 이 책을 숙독, 음미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밑바탕에는 ‘걸출한 위인은 더없이 높은 예지, 근원적으로 하나인 것을 저마다 개성에 따라서 대표하고 사람들에게 영광의 빛을 나누어 준다’라는 기본사상이 담겨져 있다. 『영웅이란 무엇인가』의 가장 큰 매력은 인류의 대표자인 위인이 결코 고정된 존재가 아니고 어디까지나 ‘더 앞을 걷고 있는 상대적인 영웅’에 지나지 않으며 모든 사람에게 영원히 진보의 길이 열려 있다는 견해일 것이다.
Contents
자기신뢰 철학

자신감을 살려라…25
나의 길…51
나의 사랑…?61
나의 일기…77
런던내기의 나라…98
에이브러햄 링컨…104
농사짓기…110
시골생활…121
보상을 생각해 본다…139
자연에 대하여…163
역사란 무엇인가…211
하늘과 땅, 그리고 사람으로서의 길…240

영웅이란 무엇인가

제1장 시대정신을 품고 등장한 슈퍼리더-세속의 영웅 나폴레옹

대중의 소망을 구현한 나폴레옹 … 289
‘자연아’와 ‘교양인’ … 291
‘나야말로 운명의 점지를 받아들인 자’ … 293
어떤 장애도 단호하게 물리쳐 의지를 관철한다 … 295
궁지에서 벗어나는 유일한 수단은 용기와 창의 … 297
넘치는 투지에 버팀목이 된 사려분별 … 299
중산계급 엘리트들이 그에게서 발견한 것 … 300
유능한 인재를 존경하는 마음 … 302
능력의 뛰어 넘어 활약하는 사람을 보면 한없는 용기가 샘솟는다 … 305
나폴레옹에게서 배우는 최대의 교훈은 ‘용기’ … 307
지적인 토론을 좋아한 나폴레옹 … 309
민중의 미덕도 악덕도 한몸에 갖추고 … 311
그의 야망을 꺾어 몰락시킨 것 … 314

제2장 위대한 자아완성의 초인-문학가 괴테

‘제2의 창조’를 위한 재능 … 317
위대한 행동은 내적인 영성(靈性) 깊이에서 넘쳐 난다 … 320
시대가 선택한 인간 … 322
무엇이든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스스로 확인한 괴테 … 324
『빌헬름 마이스터』는 지혜의 보고 … 327
진정으로 전하고 싶다면 걸맞은 표현방법이 생긴다 … 329
무엇에나 관심을 보인 ‘자아완성의 달인’ … 330
발생한 사실에서 어떻게 교훈을 얻을 것인가 … 332
인류의 지적 유산을 받아들여 혼을 풍요롭게 … 335

제3장 인류 최고 향연의 사회자-시인 셰익스피어

위대한 천재는 시대정신을 구현한다 … 337
민중의 마음을 사로잡은 연극이란 엔터테인먼트 … 339
상상의 날개를 펴고 … 341
무진장인 창작력의 비밀 … 344
작품 그 자체가 말하는 역사적 진실 … 346
희곡가의 범위를 뛰어넘은 총합적인 거인 … 348
사물의 본질을 아름다운 운율로 표현하는 ‘창조주’ … 350
서정시인으로서 신선한 자질 … 352
균형감각이 뛰어난 진정한 ‘종교시인’을 … 355

제4장 영적 세계 탐구에 몸 바친 최고 천재학자-신비학자 스베덴보리

‘우리는 어디서 와, 어떻게 살다가, 어디로 가는가?’ … 358
실무가에서 영적인 저작활동으로 … 361
무한한 가능성을 생각케 하는 지성의 거인 … 364
만물의 근원은 하나 … 366
대상에 충실한 리얼리즘의 수법 … 367
‘가장 작은 것에 가장 큰 것이 깃든다’는 사상 … 369
‘만물은 영적인 세계의 상징’이라는 법칙 … 370
영적인 실제 체험에 바탕을 둔 리얼리티 … 373
만물의 본질적인 기능은 서로 비슷하다 … 376
영계에서는 마음 상태가 그대로 현실화한다 … 377
도덕과 지성의 밸런스 … 380
신학에 대한 고집에서 낳게 된 지옥관 … 382
선한 마음이야말로 천국·지옥을 가르는 유일한 ‘인도’ … 384
스베덴보리의 위대한 공헌 … 387

제5장 압도적인 지혜의 총합 프로듀서-철학자 플라톤

시대를 통째로 이해한 플라톤 … 388
진정한 전기는 내면의 역사 속에 있다 … 390
‘사상의 난립상태’에 마침표를 찍다 … 392
철학 그 깊숙한 곳에 있는 두 개의 근본사실 … 394
‘모순의 통합’에 의해 본질을 입체적으로 파악한다 … 397
자유분방한 상상력에 버팀목이 되는 치밀한 실증정신 … 399
자신의 사상을 전하려는 열의 … 401
이상과 상식을 양립시키는 종합감각 … 403
자기 자신의 진실된 모습을 파악하는 용기를 … 404
교양이나 교육의 가치를 존중한다 … 406
젊은이 개개인이 지니고 있는 천성을 길러낸다 … 407
‘한없는 것’에 대한 숭배하는 마음 … 409
사상계의 두 거인?소크라테스와 플라톤 … 411
인정사정없는 논쟁의 달인 … 413
사제 2대에 걸친 ‘모순의 통합’ … 415
깊은 존경심으로 보지 않으면 위대한 것은 보여지지 않는다 … 417

마지막 장 위인과의 만남으로 자신의 사고방식도 위대해진다

청년의 꿈 … 418
위인의 감화는 인생의 난제를 푸는 열쇠 … 419
위인들의 활약을 마음의 양식으로 한없이 풍요로운 인생을 … 420
위인전을 읽는 공덕 … 423
미망(迷妄)에서 벗어나 마음을 해방하는 진리 … 426
이런 세상에서는 더더욱 진정한 마음의 평화와 자유를 … 427
시대의 막힌 상황을 깨는 새로운 발상 … 428
누구나 노력에 따라 큰 인물이 될 수 있다 … 430
다양한 개성을 통합하는 궁극의 예지 … 432
인류사를 채색하는 위인들의 정신적인 유산 … 433

에머슨의 생애와 작품
에머슨의 생애와 작품들…?437
랠프 월도 에머슨 연보…?455
Author
랠프 에머슨,정광섭
19세기 초월주의 운동의 중심인물로 미국 최초의 철학자이자 시인이다. ‘에머슨이 없었다면 진정한 의미의 미국 문학은 탄생할 수 없었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미국 문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미국 사상사를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인물로 그가 제시한 자기신뢰, 민권 개념 등은 지금도 미국인들의 의식 속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그의 철학은 ‘미국의 가장 중요한 정신’으로 높게 평가되고 있으며, 링컨은 그를 ‘미국의 아들’이라고 칭송하기도 했다. 1803년 보스턴의 목사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엄격한 도덕률과 신앙심이 충만한 분위기에서 자랐다. 하버드대학교 신학부를 졸업하고 1829년 유니테리언파 보스턴 제2교회 부목사가 되었다. 정통 교리에 집착하지 않고 다양성과 자유를 찬미하던 그는 교회와의 충돌이 잦아졌고, 결국 목사를 그만두고 유럽 여행을 떠나 밀, 콜리지, 칼라일, 워즈워드 등 당대의 지식인과 친분을 맺었다. 1834년 미국으로 돌아와 메사추세츠 주 콩코드에 정착해 저술활동에 전념하면서 초월주의자 클럽을 발족해 미국 초월주의 철학사조를 발전시켰다. 탁월한 대변자로서 ‘콩코드의 철학자’로 불리는 에머슨은 40여 년간 1,500회 이상의 강연으로 개인주의 철학을 전파했으며 남녀평등과 노예제 폐지를 주창했다. 미국 학술원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하버드대학교에 명예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882년 콩코드에서 폐렴으로 사망했다. 저서로는 『중세 시대의 종교』 『자연』 『에세이, 제1시리즈』 『에세이, 제2시리즈』 『대표적 인간들』 『영국적 기질』 『삶의 태도』 『5월제 외』 『사회와 고독』 『시집』 『시선집』 『신생』 등이 있다.
19세기 초월주의 운동의 중심인물로 미국 최초의 철학자이자 시인이다. ‘에머슨이 없었다면 진정한 의미의 미국 문학은 탄생할 수 없었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미국 문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미국 사상사를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인물로 그가 제시한 자기신뢰, 민권 개념 등은 지금도 미국인들의 의식 속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그의 철학은 ‘미국의 가장 중요한 정신’으로 높게 평가되고 있으며, 링컨은 그를 ‘미국의 아들’이라고 칭송하기도 했다. 1803년 보스턴의 목사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엄격한 도덕률과 신앙심이 충만한 분위기에서 자랐다. 하버드대학교 신학부를 졸업하고 1829년 유니테리언파 보스턴 제2교회 부목사가 되었다. 정통 교리에 집착하지 않고 다양성과 자유를 찬미하던 그는 교회와의 충돌이 잦아졌고, 결국 목사를 그만두고 유럽 여행을 떠나 밀, 콜리지, 칼라일, 워즈워드 등 당대의 지식인과 친분을 맺었다. 1834년 미국으로 돌아와 메사추세츠 주 콩코드에 정착해 저술활동에 전념하면서 초월주의자 클럽을 발족해 미국 초월주의 철학사조를 발전시켰다. 탁월한 대변자로서 ‘콩코드의 철학자’로 불리는 에머슨은 40여 년간 1,500회 이상의 강연으로 개인주의 철학을 전파했으며 남녀평등과 노예제 폐지를 주창했다. 미국 학술원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하버드대학교에 명예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882년 콩코드에서 폐렴으로 사망했다. 저서로는 『중세 시대의 종교』 『자연』 『에세이, 제1시리즈』 『에세이, 제2시리즈』 『대표적 인간들』 『영국적 기질』 『삶의 태도』 『5월제 외』 『사회와 고독』 『시집』 『시선집』 『신생』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