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인간이란 무엇인가

오성 정념 도덕 본성론
$19.44
SKU
9788949705200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9/08/01
Pages/Weight/Size 153*224*40mm
ISBN 9788949705200
Description
데이비드 흄이 1739~40년 출판한 대표적인 철학서로, 오성·정념·도덕의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흄은 3부작에서 인간본성을 밝혀내고 그 본성에 바탕을 두어 ‘인간이란 무엇인가?’ 곧 ‘인간학’체계를 세우려 한다. 흄은 그 방법으로 경험과 관찰을 통해 인성론(人性論)을 규명하고 있다.

「오성(지성)의 본성」에서 지각의 본성, 상상의 본성, 인과관계의 본성, 회의(懷疑)의 본성 등 네 가지를 설명하고, 「정념(감정)의 본성」에서 ‘이성은 감정의 노예’라는 유명한 구절이 대변하듯이, 이성은 감정을 통제하지 못하고, 다만 감정에 따를 뿐이다. 「도덕의 본성」에서 도덕적인 아름다움과 자연적인 아름다움은 관념에 의해 파악되기보다는 느껴지는 것이고 공감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Contents
제1편 오성

머리글

1부 관념과 그 기원, 구성·연관·추상
2부 시간과 공간 관념
3부 지식과 개연성
4부 회의적 철학 체계와 그 밖의 철학 체계

부록
신념에 대하여 … 298
인격의 동일성에 대하여 … 302

제2편 정념

1부 긍지와 소심
2부 사랑과 미움
3부 의지와 직접 정념

제3편 도덕

1부 일반적인 덕과 부덕
2부 정의와 불의
3부 그 밖의 덕과 부덕

흄의 생애와 사상

Ⅰ 흄의 시대와 생애
Ⅱ 흄의 사상
흄 연보
Author
데이비드 흄,김성숙
에든버러의 스코틀랜드계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난 흄은 어려서부터 역사, 문학, 철학에 빠졌으며, 수학과 자연철학에도 관심이 많았다. 이미 20대 후반인 1739~40년에 『인간본성론』을 출간하였고, 이외에도 『인간 오성에 관한 탐구』(1748), 『도덕의 원리들에 관한 탐구』(1751), 『자연종교에 관한 대화』(1779; 사후 출간) 등 다양한 주제의 저술을 남겼다. 또한 총 여섯 권으로 구성된 『영국사』(1754~62)로 철학자로서의 명성 못지않게 대중의 인기를 얻기도 했다. 한편, 흄은 평생 학자로만 살지는 않았다. 1763~65년에는 프랑스 주재 영국 대사관의 대사 비서로 시작해 대리대사를 지냈으며, 영국으로 돌아와서는 지금의 외무부 차관을 역임하기도 했다.

흄의 주저인 『인간본성론』의 원래 기획에는 오성, 정념, 도덕에 이어 비평(criticism)을 주요 주제로 다루는 글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 비록 이 기획은 실현되지 않았지만, 그의 미학이론의 핵심이 「취미의 기준에 대하여」와 「비극에 대하여」 등에 담겨 있다.
에든버러의 스코틀랜드계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난 흄은 어려서부터 역사, 문학, 철학에 빠졌으며, 수학과 자연철학에도 관심이 많았다. 이미 20대 후반인 1739~40년에 『인간본성론』을 출간하였고, 이외에도 『인간 오성에 관한 탐구』(1748), 『도덕의 원리들에 관한 탐구』(1751), 『자연종교에 관한 대화』(1779; 사후 출간) 등 다양한 주제의 저술을 남겼다. 또한 총 여섯 권으로 구성된 『영국사』(1754~62)로 철학자로서의 명성 못지않게 대중의 인기를 얻기도 했다. 한편, 흄은 평생 학자로만 살지는 않았다. 1763~65년에는 프랑스 주재 영국 대사관의 대사 비서로 시작해 대리대사를 지냈으며, 영국으로 돌아와서는 지금의 외무부 차관을 역임하기도 했다.

흄의 주저인 『인간본성론』의 원래 기획에는 오성, 정념, 도덕에 이어 비평(criticism)을 주요 주제로 다루는 글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 비록 이 기획은 실현되지 않았지만, 그의 미학이론의 핵심이 「취미의 기준에 대하여」와 「비극에 대하여」 등에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