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달마상법의 예하를 우리나라의 사례로써 소설화하여 알기 쉽게 나타냈다. 달마상법이란, 첫째 기본인상에 해당하는 머리와 이마, 눈, 코, 잎, 이, 귀 등의 중요부위를 관찰하며, 얼굴을 3등분하여 상정, 중정, 하정으로 길흉을 살핀다. 둘째 황도십이궁으로 살피는 방법이다. 셋째, 얼굴 각 부위의 혈색을 살피는 찰색이다. 넷째, 신체의 각 부분과 동작이나 호흡과 식사, 걸음걸이, 안은 모양과 누운 모양 등을 관찰하는 것이다.
Contents
남자 얼굴의 흑점도
여자 얼굴의 흑점도
관상의 십이궁
논흔문
육부삼재삼정도
구주팔괘간지도
사학당과 팔학당
오관도
여는 글
가문을 일으킨 한명회의 검은 사마귀
남이는 스물 일곱에 요절한 식한
눈에 광채가 있고 입이 단아한 심희수
남편을 살린 아내의 관상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