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사람들은 억압적인 체제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을까?” “북한에서 저항은 과연 일어날 수 있을까?” “북한 민주화의 주체는 누구일까?” 이것은 북한 인권 문제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갖게 되는 질문일 것이다. 탈북민 출신 연구자이자 『북한 사람 이해하기』(2021)의 저자는 이 책에서, 낮에는 전체주의 공포 체제에 굴복해 순응하다가 밤에는 온갖 불법 행위를 벌이는 북한 사람들의 이중적인 생활양식을 ‘일상의 저항’으로 파악한다. 또한 1990년대 이후 시장 경제의 주체로 부상한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이러한 이중성을 대변한다고 본다.
매일매일 일상의 저항을 주도하는 세력으로서 북한 여성에 주목하는 한편, 북한 여성이 겪는 구조적인 차별과 폭력의 심각한 인권 침해 실태를 밝혀내고 있다. 탈북민으로서 북한 체제의 트라우마에 대해 연구해 온 저자는 북한에서의 삶과 탈북 경험을 바탕으로 북한 여성의 생애 주기별 발달 단계를 심층적으로 그려내고, 북한에서 움트기 시작한 작은 저항의 불씨가 민주화의 결정적 순간으로 발화할 수 있도록 상상력을 자극한다.
Contents
시작하는 글
1. 북한 인권에 대한 사유
2. 북한 여성 인권에 대한 단상
3. 감사의 글
서장 한반도 트라우마
1. 트라우마 기억과 정서
2. 기형적 분단국가(1): 북한판 전체주의
3. 기형적 분단국가(2): 허약한 민주주의
4. 소결론: 회복으로 가는 길
1장 가부장제 지배에 묶인 몸
1. 가부장제 불평등
2. 북한 여성의 기억
3. ‘여자다움’으로 길들이기
4. 소결론: 여자들의 반란
2장 북한 아이 ‘항상 준비!’
1. ‘북한 아이’ 만들기
2. 아이들 생활 풍경
3. 집이 무서운 아이들: 학대와 방임
4. 소결론: 아이들의 마음
3장 결혼 생활 트라우마
1. 장군님 대가정 아내의 형상
2. 가정 폭력을 숙명이라 여기는 아내
3. 아내 폭력의 아픈 실상
4. 소결론: 힘없는 아내들의 힘
4장 조선의 어머니가 된다는 것
1. 행복의 꽃 혁명적 어머니
2. 엄마의 기억: 사랑과는 거리가 먼
3. ‘나쁜 엄마’ 기억에 갇힌 엄마
4. 소결론: 그럼에도 엄마는 강했다
5장 두만강 기억: 두만강 슬픈 연가
1. 일제 식민 지배의 한을 노래하다
2. 탈북민 슬픈 연가
3. 탈북 여성의 수난
4. 소결론: 그렇게 오래 떨어지고 추락했으나
6장 ‘탈북자’에 갇힌 여성의 기억
1. 분단이 만든 ‘이념적 생명체’
2. 선택, 희망, 차별성의 공간에서
3. 탈북 여성의 삶은 아프다
4. 소결론: 삶이 그녀를 속일지라도
종장 여성과 북한 민주화
1. 후기 전체주의, 북한판 전체주의
2. 북한 여성들의 힘
3. 북한 민주주의 싹을 틔우자
참고문헌
Author
감희
북한에서 태어나 자라나고 공부했다. 그러나 소위 적대 계급 출신이었기에 많은 제약과 고통을 받아오다가 북한을 탈출해 한국에 들어왔다. 2017년 탈북 여성의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학에서 비전임 교수로 있으면서 북한 체제와 인간 트라우마 이해, 한반도 트라우마 치유와 회복을 위한 평화와 인권, 용서와 화해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북한 사람 이해하기: 북한에서는 왜 민주화운동이 일어날 수 없는가』(2021), 『용서와 화해에 대한 성찰』(2018, 공저) 등이 있다.
북한에서 태어나 자라나고 공부했다. 그러나 소위 적대 계급 출신이었기에 많은 제약과 고통을 받아오다가 북한을 탈출해 한국에 들어왔다. 2017년 탈북 여성의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학에서 비전임 교수로 있으면서 북한 체제와 인간 트라우마 이해, 한반도 트라우마 치유와 회복을 위한 평화와 인권, 용서와 화해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북한 사람 이해하기: 북한에서는 왜 민주화운동이 일어날 수 없는가』(2021), 『용서와 화해에 대한 성찰』(2018, 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