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듯 몰랐던 한국 문화

$33.79
SKU
978894608274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12/20
Pages/Weight/Size 153*224*10mm
ISBN 9788946082748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한국에 대해 어디까지 알고 있니?
한국학의 대가 최준식 교수의 한국 문화유산 탐방기

이 책은 40년 넘게 한국인의 삶과 죽음, 문화를 연구해 온 한국학자이자 종교학자 최준식 교수가 한국의 위대한 문화유산 가운데 20개를 선정해서 각 유산에 담긴 역사와 의의를 재미있게 설명한 글이다. 최준식 교수는 크게 ‘문화’, ‘생활’, ‘자연’ 3개의 카테고리 아래 20개의 세부 주제를 정하고, 그 주제와 관련된 장소를 여행하면서 각 주제의 인문·문화적 배경을 소개한다.

먼저, ‘문화’에서는 왕실 문화, 샤머니즘, 불교, 유교, 기독교 등 한국인의 정신을 형성한 종교를 주로 다루고, ‘생활’에서는 음악, 회화, 음식, 건축, 의복 등 의식주와 관련된 한국인의 생활문화를 다룬다. ‘자연’에서는 한국의 자연과 관광을 대표하는 지역으로 서울, 통영, 제주를 다룬다.

20개의 유산이 보유한 문화적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여행과 인문학을 접목한 이 책은 한국인은 물론 외국인들에게도 한국 문화를 더 깊이 이해하도록 돕는 안내서가 될 것이다.
Contents
1부 CULTURE

1장 한국의 왕실 문화: 수도 서울에서 만나는 경복궁과 창덕궁
2장 한국인의 근본 신앙: 성성하게 살아 있는 샤머니즘과 굿
3장 한국인의 오래된 큰 믿음: 문화재의 70퍼센트는 불교 것! 불교와 절
4장 한국인의 가치관: 마음을 빚은 큰 가르침, 유교와 학교
5장 한국인의 조상 숭배 문화: 600년을 이어 온 종묘대제와 문묘제례
6장 한국인의 새로운 믿음: 근현대사를 품은 그리스도교 문화를 찾아
7장 한국인이 자랑하는 최고의 문화유산: 세종이 준 선물, 한글과 『훈민정음』
8장 세계를 계속 놀라게 하는 한류: 상수(常數)가 된 연예 문화

2부 LIFE

9장 한국의 전통음악: 늘 가까이에 있는 한류의 뿌리
10장 한국의 전통 회화: 그림으로 피어난 사람들의 이야기
11장 한국의 그릇: 700년간 보유해 온 하이테크
12장 한국의 복식: 21세기 거리에 가득 찬 새로운 한복 물결
13장 한국의 음식 문화: 서서히 부상하는 또 하나의 한류, 한식
14장 한국의 전통 술: 한국인의 남다른 술 사랑
15장 한국의 건축과 주거 문화: 중국 가옥과 판연히 다른 형태인 한옥
16장 한국의 전통 마을: 진짜 한옥마을 속으로
17장 한국의 고도, 천년 수도 경주: 벽 없는 박물관, 도시 전체가 세계유산

3부 NATURE

18장 한국의 풍수: 산과 강이 흐르는 명당, 서울
19장 한국의 섬과 바다: 섬과 바다와 문화가 만나는 곳을 찾아
20장 한국의 세계자연유산 제주도: 내외국인 모두 좋아하는 세계적인 명승지
Author
최준식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이며, 국내 죽음학 연구의 선구자이자 종교학자이다. 서강대학교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고 미국 템플 대학교 대학원에서 종교학을 전공했다. 1992년에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교수로 부임하면서 한국 문화에 대해 폭넓은 공부를 시작했다.

1990년대 중반에 ‘국제한국학회’를 만들어 김봉렬 교수, 고 오주석 선생 등의 동학들과 더불어 한국 문화를 다각도로 연구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사단법인 ‘한국문화표현단’을 만들어 우리 예술 문화를 공연 형태로 소개하는 운동을 해오고 있다. 2013년에는 한국 문화가 중심이 된 복합문화공간인 ‘한국문화중심(K-Culture Center)’을 만들어 한국 문화 전반을 대중들에게 알리는 일을 하고 있다.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한국의 고유 종교들을 연구해 종교학의 저변을 넓혔고, 죽음학의 불모지였던 국내에 한국죽음학회를 발족하여 많은 연구 성과를 내놓았다. 이를 통해 인간의 죽음과 무의식, 초의식, 전생, 사후세계 등과 같은 주제를 학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을 다졌다.

주요 저서로 『한국 문화 교과서』, 『한국의 종교, 문화로 읽는다』, 『다시, 한국인』, 『한국 음식은 ‘밥’으로 통한다』, 『예순 즈음에 되돌아보는 우리 대중음악』, 『한국 문화 오리엔테이션』, 『한 권으로 읽는 우리 예술 문화』, 『종묘대제』, 『경복궁 이야기』,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죽음학 강의』, 『한국 종교사 바로 보기』 등이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이며, 국내 죽음학 연구의 선구자이자 종교학자이다. 서강대학교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고 미국 템플 대학교 대학원에서 종교학을 전공했다. 1992년에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교수로 부임하면서 한국 문화에 대해 폭넓은 공부를 시작했다.

1990년대 중반에 ‘국제한국학회’를 만들어 김봉렬 교수, 고 오주석 선생 등의 동학들과 더불어 한국 문화를 다각도로 연구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사단법인 ‘한국문화표현단’을 만들어 우리 예술 문화를 공연 형태로 소개하는 운동을 해오고 있다. 2013년에는 한국 문화가 중심이 된 복합문화공간인 ‘한국문화중심(K-Culture Center)’을 만들어 한국 문화 전반을 대중들에게 알리는 일을 하고 있다.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한국의 고유 종교들을 연구해 종교학의 저변을 넓혔고, 죽음학의 불모지였던 국내에 한국죽음학회를 발족하여 많은 연구 성과를 내놓았다. 이를 통해 인간의 죽음과 무의식, 초의식, 전생, 사후세계 등과 같은 주제를 학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을 다졌다.

주요 저서로 『한국 문화 교과서』, 『한국의 종교, 문화로 읽는다』, 『다시, 한국인』, 『한국 음식은 ‘밥’으로 통한다』, 『예순 즈음에 되돌아보는 우리 대중음악』, 『한국 문화 오리엔테이션』, 『한 권으로 읽는 우리 예술 문화』, 『종묘대제』, 『경복궁 이야기』,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죽음학 강의』, 『한국 종교사 바로 보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