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탄소중립과 그린뉴딜의 정치
제1장 지방과 그린뉴딜: 지방분권과 지방정부 자율성을 중심으로
제2장 탄소중립, 그린뉴딜과 개인적 경험의 중요성
제3장 탄소중립, 여론의 동향과 결정요인
제4장 탄소중립사회 전환을 위한 사회적 합의: 공정한 전환이란?
제5장 탄소중립과 미래세대
제6장 그린뉴딜, 대학과 녹색일자리
제7장 탄소중립과 원자력에너지 정치: 국제적 현황과 한국의 사례
제8장 녹색건축물을 통한 탄소중립 시대로의 전환: 그린뉴딜을 중심으로
제9장 탄소중립과 기업: RE100
제10장 한국의 탄소중립과 친환경 자동차 정책
제11장 유럽연합 탄소국경조정 도입 추진에 따른 쟁점 분석
제2부 탄소중립과 그린뉴딜 비교 정치
제12장 한국의 탄소중립과 그린뉴딜 정치: ‘그린 한반도’ 구상
제13장 EU와 독일의 탄소중립: 에너지 정책을 중심으로
제14장 영국의 탄소중립 정책의 특징과 국내적 시사점
제15장 미국의 그린뉴딜: 진보적 시민운동의 그린뉴딜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미국 일자리 계획’까지
제16장 캘리포니아의 기후변화 정책과 정치: 환경과 경제의 통합
제17장 아세안의 탄소중립 정책과 그린뉴딜
제18장 일본의 탄소중립과 그린뉴딜 정치
제19장 중국의 탄소중립 정치와 미중 기후변화 협력
제20장 호주의 탄소중립과 재생에너지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