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은 우리의 먹기를 어떻게 틀 짓는가

먹기의 감정사회학
$35.64
SKU
978894607576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25
Pages/Weight/Size 153*224*10mm
ISBN 9788946075764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학
Description
맛집 열풍, 음식 향수, 혼술, 슬로푸드운동 등
인간의 먹기 행위에서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감정사회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다

이 책은 먹기 행위를 감정사회학적 시각에서 연구한 첫 저작으로, 저자는 감정이 우리의 먹기 행위를 어떻게 틀 짓는지, 그리하여 감정이 우리의 먹기 양식과 삶의 양식을 어떻게 규정하는지를 분석한다. 제1부에서는 맛집 열풍, 음식 향수, 음식 취향의 형성에서 작동하는 감정동학을 고찰한다. 제2부에서는 사회적 연대의 토대로서의 함께 먹기와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서 혼밥과 혼술이 발생한 감정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 같은 현상에 내포된 사회학적 의미를 탐색한다. 제3부에서는 국가의 먹기 정책, 슬로푸드운동, 동물권리운동을 가치정치의 맥락에서 포착하고, 먹기 양식을 변화시키는 감정 메커니즘을 연구한다.
Contents
제1부 맛집 열풍, 음식 향수, 음식 취향

제1장 맛집 열풍: 맛집 찾기의 감정사회학
제2장 음식 향수: ‘어머니 손맛’의 사회동학과 감정동학
제3장 음식 취향의 미학 투쟁: 감각과 감정의 대립

제2부 함께 먹기와 혼자 먹기

제4장 식사와 사회적 연대: ‘함께 먹기’의 감정사회학
제5장 혼술의 감정동학: 탈사회 시대의 하나의 취향?

제3부 먹기, 감정, 가치정치

제6장 음식과 먹기의 감정정치: 공포와 희망의 변증법
제7장 슬로푸드 운동의 가치정치와 감정동학
제8장 동물권리운동의 가치정치와 먹기의 감정동학
Author
박형신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간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 고려대학교 인문대학 사회학과 초빙교수 등을 지냈다. 지금은 다시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연구교수로 일하고 있다. 사회이론, 감정사회학, 음식과 먹기의 사회학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정치위기의 사회학』(1995),『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2015, 공저), 『오늘의 사회이론가들』(2015, 공저),『에바 일루즈』(2018)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고전사회학의 이해』(2018),『은유로 사회 읽기』(2018), 『감정과 사회관계』(2017), 『탈감정사회』(2014),『낭만적 유토피아 소비하기』(2014, 공역), 『음식의 문화학』(2014, 공역),『낭만주의 윤리와 근대소비주의 정신』(2010, 공역),『문화사회학이론을 향하여』(2004, 공역) 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간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 고려대학교 인문대학 사회학과 초빙교수 등을 지냈다. 지금은 다시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연구교수로 일하고 있다. 사회이론, 감정사회학, 음식과 먹기의 사회학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정치위기의 사회학』(1995),『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2015, 공저), 『오늘의 사회이론가들』(2015, 공저),『에바 일루즈』(2018)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고전사회학의 이해』(2018),『은유로 사회 읽기』(2018), 『감정과 사회관계』(2017), 『탈감정사회』(2014),『낭만적 유토피아 소비하기』(2014, 공역), 『음식의 문화학』(2014, 공역),『낭만주의 윤리와 근대소비주의 정신』(2010, 공역),『문화사회학이론을 향하여』(2004, 공역)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