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효과의 기초

이론과 연구
$69.12
SKU
978894607570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3/20
Pages/Weight/Size 173*246*15mm
ISBN 9788946075702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Description
미디어 효과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종합적으로 다룬 입문서
이론의 새로운 경향과 연구 사례를 보강한 제3판


20년이 넘는 동안, 『미디어 효과의 기초(Fundamentals of Media Effects, 3rd ed., 2023)』의 주된 목표는 학부생들이 이 매우 중요한 주제를 이해하고, 소화하며, 그 가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미디어 효과에 대한 방대한 양의 문헌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이 책은 중요한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쌓고 주요 연구 분야를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이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능력을 개발하고 더 나은 미디어 제작자, 소비자, 시민이 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책의 기본 목표는 미디어 효과에 대한 방대한 양의 문헌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중요한 토픽을 이해하고 다룰 수 있으며 평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기존 고전적인 연구를 소개하는 데에도 소홀하지 않고, 게임이나 모바일, SNS로 확산된 미디어 현실과 그 연구를 최신 연구까지 모두 반영하면서, 체계적인 구성과 내용의 핵심을 소개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Contents
서문

제1부 개관 및 역사

제1장 미디어 효과의 이해
1. 커뮤니케이션 과정│2. 커뮤니케이션 모델│3. 미디어 효과 측정│4. 기타 미디어 효과 조사방법론│5. 미디어 효과 이론 개관│6. 미디어 효과 연구의 중요성│7. 요약

제2장 미디어 효과에 대한 역사적 증거
1. 미디어 효과에 대한 역사적 우려│2. 매스 미디어로 인한 행동 및 의견 변화에 대한 역사적 증거│3. 요약

제3장 과학적인 미디어 효과 연구의 역사
1. 미디어 효과 연구의 초창기│2. 강력한 효과의 개념│3. 제한된 미디어 효과의 개념│4. 각기 다른 수준의 효과│5. 상호교류적 효과 또는 절충된 효과│6. 몇몇 미디어 효과 연구의 개척자들│6. 효과 연구의 미래│7. 요약

제2부 이론 및 개념


제4장 사회 인지 이론
1. 인간의 독특한 특성│2. 관찰 학습과 모델링│3. 모델링의 효과│4. 미디어 내용을 통한 학습과 모델링│5. 사회적 촉진 혹은 설득│6. 새로운 미디어에 사회 인지 이론 적용하기│7. 상징적 모델링을 통한 확산│8. 사회 인지 이론의 한계점│9. 요약

제5장 기폭
1. 접근성│2. 기폭의 활성화│3. 기폭 효과의 특징과 경계 조건│4. 기폭 모델│5. 폭력적 내용으로 인한 기폭 효과를 높이는 변인들│6. 기폭 연구의 주요 영역│7. 요약

제6장 의제 설정
1. 개념적 뿌리│2. 연구 전통│3. 2차 및 3차 의제 설정 그리고 그 이상│4. 의제 설정의 심리학│5. 현대 미디어 환경에서의 의제 설정│6. 요약

제7장 프레이밍
1. 프레이밍 이론의 기초│2. 프레이밍과 유사 개념 구별하기│3. 프레임 형성과 프레임 설정│4. 프레이밍 연구│5. 프레이밍 연구의 미래│6. 요약

제8장 배양
1. 문화 지표 프로젝트│2. 개념과 비판│3. 배양의 이론적 기초│4. 배양 연구의 다른 영역들│5. 요약

제9장 이용과 충족
1. 매스 미디어의 사회적 기능│2. U&G 연구: 간추린 역사│3. U&G의 가정│4. U&G에 대한 비판│5. 이용과 효과를 설명하는 모델│6. 오락을 위한 미디어 이용│7. 21세기의 U&G 연구│8. 요약

제10장 설득
1. 연구 전통│2. 태도, 정서, 행동, 그리고 설득│3. 설득 모델 및 이론│4. 신념, 태도 및 행동을 연결하는 모델│5. 최근 연구│6. 요약

제3부 주요 연구 영역


제11장 미디어 폭력의 효과
1. 미디어 폭력 연구와 공공정책: 역사와 미래│2. 미디어 폭력 효과 연구에 사용된 주요 이론│3. 미디어 폭력 연구 방법│4. 미디어 폭력의 심리학적 영향│5. 미디어 폭력 즐기기│6. 미디어 폭력은 우려해야 할 정도인가?│7. 요약

제12장 성적인 미디어 내용의 효과
1. 성적 내용의 속성│2. 미디어의 성적 내용의 정도│3. 주류 미디어의 성적인 내용에 대한 노출의 효과│4. 소셜 미디어의 성적인 내용에 대한 노출의 효과│5. 매우 노골적으로 성적인 내용에 대한 노출의 효과│6. 성 폭력물에 대한 노출의 영향│7. 성적 스크립트 습득, 활성화, 적용 모델│8. 성적 미디어 내용이 미치는 효과의 매개 변인과 조절 변인│9. 포르노그래피 연구에 대한 우려 사항│10. 요약

제13장 두려움이나 불안감을 유발하는 미디어 내용의 효과
1. 공포에 대한 연구│2. 공포의 매력에 대한 설명│3. 공포 측정│4. 미디어 내용에 두려움 반응을 보이는 이유│5. 공포 반응과 즐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6. 어린이의 공포 반응│7. 두려움에 대처하는 전략│8. 요약

제14장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1. 민주주의에서의 매스 미디어의 기능│2. 20세기의 정치적 미디어 효과에 대한 이해│3. 현대 미디어 환경에서의 정치 커뮤니케이션 효과│4. 정치적 정보원으로서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5. 요약

제15장 건강에 미치는 매스 미디어의 효과
1. 연구 결과│2. 온라인 건강 정보│3. 건강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의 효과│4. 요약

제16장 미디어 고정관념화의 효과
1. 미디어의 소수자 묘사: 되돌아보기│2. 사회적 정보 전달자로서의 미디어: 현재 모습│3. 소수자 수용자의 특성│4. 젠더 고정관념화│5. 미디어 고정관념의 영향│6. 요약

제17장 어린이 교육 미디어의 효과
1. 교육 텔레비전│2. 어린이 미디어를 통한 학습에 대한 핵심 질문│3. 요약

제18장 비디오 게임의 효과
1. 현대의 게이머 살펴보기│2. 폭력적인 비디오 게임의 효과│3. 비디오 게임 중독에 대한 지속적인 논쟁│4. 비디오 게임의 긍정적 효과│5. 요약

제19장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의 효과
1. 온라인에서 얼마나 많은 시간을 보내며 무엇을 하는가?│2. 소셜 미디어 이용의 효과│3. 컴퓨터-매개 커뮤니케이션의 진화│4. 온라인 사회적 자본│5. 사이버 괴롭힘│6. 인터넷 중독│7. 인터넷과 변화하는 직장│8. 요약

제20장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1. ‘벽돌폰’의 탄생│2. 사회적 조정에 미치는 효과│3. 관계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효과│4. 청소년 문화에 미치는 효과│5. 문자 보내기의 효과│6. 공적 공간에서의 사적 사용│7. 직장 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효과│8. 스마트폰 중독과 노모포비아│9. 요약

참고문헌│찾아보기│옮긴이의 말
Author
제닝스 브라이언트,브루스 핀클리어,배현석
알라배마 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커뮤니케이션 연구소 소장.
알라배마 대학교 블랙먼-무디 우수 교수상 수상(2000).
국제 커뮤니케이션 협회(ICA) 회장(2000~).
주요 저서·편저: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1994), ntroduction to Media Communication, 4th ed.(1995), Reinventing Media(1996), Introduction to Media Communication, 5th ed.(1998), Human Communication Theories and Research: Concepts, Contexts, Challenges, 2nd ed.(2000), Television and the American Family, 2nd ed.(2001) 등.
그 외 11개 학술지 편집위원회에서 활동, 현재는 8개 학술지 편집위원이자 『미디어 심리학(Media Psychology)』 창립 공동 편집인, 로렌스 얼바움 출판사(LEA: Lawrence Erlbaum Associates) 학술서 시리즈물 공동 편집인, LEA 커뮤니케이션 교재 시리즈 편집인, LEA 커뮤니케이션 분야 연속 출판물 편집인으로도 활동.
알라배마 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커뮤니케이션 연구소 소장.
알라배마 대학교 블랙먼-무디 우수 교수상 수상(2000).
국제 커뮤니케이션 협회(ICA) 회장(2000~).
주요 저서·편저: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1994), ntroduction to Media Communication, 4th ed.(1995), Reinventing Media(1996), Introduction to Media Communication, 5th ed.(1998), Human Communication Theories and Research: Concepts, Contexts, Challenges, 2nd ed.(2000), Television and the American Family, 2nd ed.(2001) 등.
그 외 11개 학술지 편집위원회에서 활동, 현재는 8개 학술지 편집위원이자 『미디어 심리학(Media Psychology)』 창립 공동 편집인, 로렌스 얼바움 출판사(LEA: Lawrence Erlbaum Associates) 학술서 시리즈물 공동 편집인, LEA 커뮤니케이션 교재 시리즈 편집인, LEA 커뮤니케이션 분야 연속 출판물 편집인으로도 활동.